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9:37:18

로그인

1. 계정에 접속하는 행위
1.1. 로그인 방법1.2. 나무위키 로그인1.3. 그 외1.4. 한국식 표현의 경우
2. 편의점 브랜드3. 펌프 잇 업의 수록곡4. 전자 부문 은어5. 관련 문서

1. 계정에 접속하는 행위

파일:yfAJeIu.jpg

Log In / Login

운영체제나 인터넷 사이트 등에서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을 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접속하는 컴퓨터 용어이다. 로그온(log on)이나 사인 인(sign in)[1]으로 쓰기도 한다. 해외 사이트에서 log in이 보이지 않을 경우 log on이나 sign in을 찾을 수 있다. 나무위키는 sign in으로 표기한다. 반댓말은 로그아웃(log out) 또는 로그오프(log off), 사인 아웃(sign out).

로그인을 하기 위해선 사용자가 자기 계정의 소유자라는 것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ID)과 암호(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간혹 이것보다 더 요구하는 경우도 은근 있다. 휴대폰 SMS 인증이나 OTP 인증 등이다. 반대로 소셜로그인처럼 인증을 위해 요구하는 정보가 거의 없을 수도 있다.

1.1. 로그인 방법

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이 로그인 방법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특히 금융쪽에서 많이 보인다.

일반적인 로그인 방법

1.2. 나무위키 로그인

파일:2016-01-17_123911.png

나무위키도 위키인 만큼 모든 사람에게 편집의 기회가 열려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로그인을 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다. 이에 따라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나무위키 문서를 집필하거나 편집을 하고 싶다면 로그인을 하는 게 여러 모로 이득이다. 사실, 나무위키 가입 시 요구하는 사안은 이메일이 전부이기 때문에 로그인을 요구하는 것이 딱히 익명성을 해친다거나 하는 일은 아니다.

다만 리스크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 나무위키 등의 위키 시스템에서는 일부 위키를 제외하고는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CCL 상 저작자 정보 보존을 위해 탈퇴할 수 없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이미 가입이 돼 있다면 이 링크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참고로 나무위키에서 로그인 시 확인되지 않은 기기에서 로그인을 하게 되면 이메일을 통한 자동 인증을 반드시 거쳐야 된다. 구글 OTP를 활성화한 계정은 이메일 대신 구글 OTP의 6자리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회원가입 시 한 번 정한 아이디는 문서 기록의 원활한 저작자 보존을 위해서 변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1.3. 그 외

'로그인하게 만드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뜻은 로그인제 게시판에서 상대방이 올린 글 내용이 틀렸거나 어처구니 없는 내용일 경우, 또는 웃기거나 슬픈 내용일 경우 그 글에 댓글을 달기 위해 로그인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말이다.

조석 마음의 소리 439화에서 상대의 유머를 칭찬하고 나를 높이는 최상급 표현이라 칭했다. 다만 디시인사이드, 일베저장소 등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사이트들은 비로그인 사용자들도 마음껏 글을 올릴 수 있으므로 이런 사이트들은 이런 드립을 찾아보기 어렵다. 티비플의 경우 찜통에 넣기위해 로그인했다는 구름도 종종 달린다.

비밀번호 N회 이상 틀리면 로그인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오히려 이를 악용하여, 특정 계정에 고의적으로 무작위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금지를 먹일 수 있다.

1.4. 한국식 표현의 경우

국립국어원 등에서는 로그인을 대신할 한국어식 표현으로 들어가기나 들어감 또는 입장, 접속 따위를 권장한다.

2. 편의점 브랜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그인(편의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펌프 잇 업의 수록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그인(펌프 잇 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전자 부문 은어

주로 CRT 모니터에 해당되는데, 전원을 꺼도 남아있는 잔상을 지칭하는 은어. 정확한 명칭은 번인(Burn-In)이다.

5. 관련 문서



[1] sign up 회원가입이다. 목록에 없던 사람을 새로 올린다(up)고 생각하면 된다. sign in은 명단에 있는 사람이 필드에 sign(사용자 정보)를 in(넣는다)한다고 생각하면 헷갈리지 않는다. [2] PC에서 로그인시, 스마트폰에서 QR코드를 읽어들이는 방법으로 로그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