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0:10:11

이철승계


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한국민주당 창당
고려민주당 조선민족당 한국국민당
한국민주당 창당 ~ 4당 코뮤니케
민족민주파 한국국민파
4당 코뮤니케 ~ 민주국민당 창당
흥사단 송진우계 김성수계 장덕수계
민주국민당 창당 ~ 민주당 창당
탈당파 흥사단 국민당계 대청계 한민당계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구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 노장파 합작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 중도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5.16 군사정변 ~ 5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5대 대선 ~ 민중당 창당
민주당 국민의당 민정당 자민당
민중당 창당 ~ 한일기본조약 비준
박순천계 유진산계 윤보선계 김준연계
한일기본조약 비준 ~ 신민당 창당
박순천계 신파계 유진산계 김준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71년 전당대회
신파계[1] 이재형계 소장파 유진오계 유진산계 신한계
71년 전당대회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2] 범진산계[3] 유진산계 국민당
2차 진산 파동 ~ 76년 전당대회
신파계 구파계 이철승계 유진산계 민주통일당
76년 전당대회 ~ 5.17 내란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이철승계 신도환계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권당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신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 신민당 꼬마민주계 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 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 동교동 신파 동교동 구파 후단협 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 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 친노 비노 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 친노 정동영계 민주 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 친노 정동영계 민주 손학규계 김한길계 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 정동영계 친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 참여계 민평련 친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 혁통계 민평련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박지원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원외민주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천정배계 구민주계 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원외민주 친문 정세균계 구민주계 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 친문 안희정계 양승조계 호남계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 친문 비문 평화 대안 바른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친명 친문 비문 민생
더시민위성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 친명 친문 친낙 민생
20대 대선 ~ 더불어민주당 분당
친조 친명 친문 비명
더불어민주당 분당 ~ 22대 총선
혁신 친명 친문 비명 새미래
민주연합위성
22대 총선 ~ 현재
혁신 친명 비명

정당별 계파 (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기후민생 · 새민주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이철승계
<colbgcolor=#e6573b> 형성 <colbgcolor=#ffffff,#1f2023> 1971년
해체 1988년[1]
수장 이철승
정치적 이념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반공주의
중도통합론
경제적 이념 시장자유주의
주요 정치인 송원영
이기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민당
신한민주당
해체 }}}}}}}}}

1. 개요2. 상세3. 소속 인물

[clearfix]

1. 개요

신민당, 신한민주당에서 이철승을 따른 계파이다.

2. 상세

1·2차 진산 파동 이후 당내는 범진산계와 반진산계로 나뉘었고, 이철승계는 범진산계의 분파 정도로 주류를 일었다. 다만, 1970년 대통령 경선 때 유진산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 중 지지율이 40%가 넘었던 김영삼을 지지하자, 당시 있던 이철승계가 반발했다. 1차 투표엔 이철승이 탈락했고, 결국 이철승계가 후에 있을 전당대회에서 김대중계가 이철승을 미는 조건으로 김대중을 2차 투표에서 밀어주며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1974년 유진산의 별세와 함께 유진산계가 해체되었고, 이철승계는 원래 이철승을 지지하던 분파와 후에 합류한 중도파로 이루어졌다. 1974년 7월엔 모든 계파가 그랬듯이, 호남에서 압도적이고 서울·경기·강원지역에서 우세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김영삼에게 졌고, 고흥문계와 신도환계, 정일형, 정해영 등과 함께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을 사주했다. 결국 9월에 치러진 임시 전당대회에서 대표최고위원에 선출된다.

1980년 12.12 군사반란 때 신민당이 해산된 뒤 5년간 정계를 잠정 은퇴했다가, 구 신민당 소속, 일부 민주한국당, 민권당 민중민주당 당원들이 김영삼, 김대중을 중심으로 신한민주당을 창당할 때 같이 들어갔다. 그러나 이민우 구상에 동의하여, 양김이 신한민주당을 탈당하고 신당을 창당할 때 남아있었고, 대통령 직선제가 확립되자 이철승은 퇴물로 전락했고, 이듬해 선거에서 낙선하며 이철승계는 해체된다.

3. 소속 인물


[1] 신한민주당 해체. [2] 신한민주당 창당 당시에는 이철승계로 분류됐으나, 1986년 경 상도동계로 이적했다. [3] 신민당에서 독자 세력을 이루고 신한민주당에서도 나름대로 있었으나, 총선 전에 은퇴하면서 이철승계의 이미지가 짙어졌다. [4] 1987년 6월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