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5:56:55

이보르 토르드그레이

<colbgcolor=#006aa7><colcolor=gold> 이보르 토르드그레이
Ivor Thord-Gray
파일:Ivor_Thord-Gray.jpg
출생 1878년 4월 17일
스웨덴 스톡홀름 쇠데르구
사망 1964년 8월 18일
미국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웁살라 대학교 (명예 박사)
직업 군인, 은행장
최종 계급 소장
참전 보어 전쟁
밤바타 반란
이탈리아-오스만 제국 전쟁
신해혁명
멕시코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1921년 포르투갈 쿠데타 시도
베네수엘라 혁명

1. 개요2. 생애
2.1. 남아프리카2.2. 아시아2.3. 제1차 세계 대전2.4. 러시아 내전
3.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스웨덴의 군인으로 20세기 초 여러 전쟁에 참전했다.

2. 생애

2.1. 남아프리카

1878년 스톡홀름 쇠데르구에서 태어났다. 16살이 되던 1893년부터 약 2년간 상선에서 일하다가 영국령 남아프리카로 이주해 농부, 로벤섬 교도관 등으로 일했다. 1899년 보어 전쟁에 참전해 케이프 산악 소총대에서 복무했으며 전쟁 이후 남아프리카 경찰에서 기마병 교관으로 근무했다.

1905년에는 독일 제국의 식민지군에 들어갔고, 1906년에는 영국령 동아프리카 경찰 산하 로이스톤 기병대 소속으로 줄루족의 밤바타 반란을 진압했다.

2.2. 아시아

제1차 모로코 위기가 발생하자, 다시 독일 제국 측으로 싸우길 희망했으나 거절받아 미국령 필리핀의 필리핀 경찰대에 들어가 1년간 복무했다. 필리핀 경찰대에서 나온 이후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수마트라 섬에 위치한 고무회사에서 관리자로 일했다. 그러나 얼마안되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 떠나 프랑스 외인군단에 입대 후 호앙 호아탐의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반란 진압 후 말라야로 가서 다시 고무회사에 취직했으나,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이탈리아-오스만 제국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이탈리아 왕국군에 입대하여 트리폴리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격퇴했다.

이탈리아와 오스만 제국의 전쟁 이후 한창 시끄러웠던 청나라에서 신해혁명에 참여했다.

1913년 판초 비야의 멕시코 혁명군에 합류해 포병대 지휘관으로 활동했다.

2.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 원정군 소속으로 프랑스 전선에 참전해 여러 부대를 지휘했다.

1916년에는 미 육군에 입대해 시어도어 루즈벨트 사단 소속 영국계 미국인 여단 구성을 맡았다.

2.4. 러시아 내전

1918년 10월 캐나다 육군 중령으로 입대한뒤 캐나다 원정군 소속으로 시베리아에 파견되어 정보참모로 활동했다. 약 4개월 후 1919년 2월 알렉산드르 콜차크 러시아국군에 입대해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총사령관 라돌라 가이다 소장을 보좌했다. 5월 제1시베리아돌격사단의 사단장에 임명된 그레이는 11월 기병대령에서 소장으로 진급해 시베리아 임시정부의 대연합군 원정군 외교 및 군사대표를 역임했다. 이때 금을 외국 은행에 매각하는 일을 하여 추후 미국에서 은행을 차리는데에 도움이 되었다. 블라디보스토크 함락 당시 적군 세력에 생포되었으나 1920년 2월 간신히 풀려나 일본 제국을 통해 미국으로 떠났다.

미국에서는 러시아 탈출 당시 몰래 가지고 간 금으로 뉴욕주에 IT 그레이 Co. 라는 은행을 차렸다.

1921년에는 포르투갈에서 쿠데타 시도에 참여하다가 머리에 부상을 입었고, 1928년 베네수엘라 혁명군에 합류해 중장으로 진급했다. 베네수엘라에서의 혁명이 좌절되자, 스웨덴으로 귀국해 회고록을 썼다.

1935년 미국으로 완전히 이주해 플로리다 민병대 소장과 플로리다 주지사의 참모로 일했다.

3.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