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0:57:14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규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1. 개요2. 계가 관련3. 기타4. 패 관련 규칙
4.1. 패 관련 규칙의 예제

[clearfix]

1. 개요

응씨룰이라고도 하는,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쓰는 독특한 룰[1]을 서술한다.

2. 계가 관련

바둑돌 수가 180개씩(바둑판에 돌을 둘 수 있는 점 수는 19²=361이라 여기에 맞춘 것)으로 한정되어 있고, 덤도 일반적인 룰과는 다르다. 가장 합리적이고 공평하며, 처음 배우는 사람이 바둑을 끝내고 계가를 할 때 가장 쉬운 계가법[2]이라고 평가도 받는다. 하지만 바둑판, 돌 등까지 세트로 구매해야 해서[3] 보급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①바둑이 끝나면 중국식 계가법처럼 따낸 돌을 돌려주고 잡힌 돌을 바둑판에서 모두 들어내서, 시작할 때 그 돌이 들어 있던 바둑통에 도로 담는다.
②덤 8점의 반인 흰돌 4알을 흑집에 놓는다(이렇게 해서 사실상 검은돌 184알, 흰돌 176알로 8알 차이).
③흑집은 검은돌 쪽 바둑통에 남아 있는 검은돌로, 백집은 흰돌 쪽 바둑통에 남아 있는 흰돌로 채운다. 여기서 흑집은 검은돌이 살아 있는 영역, 백집은 흰돌이 살아 있는 영역이다.
④검은돌과 흰돌이 180알씩이니 돌이 없는 자리가 하나 남는다. 이게 흑집에 있으면 흑이 이겼다는 뜻이고, 백집에 있으면 백이 이겼다는 뜻이다.
계가 방식은 다르지만, 그 결과는 대부분의 대국에서 중국식 규칙과 똑같이 나온다.

3. 기타

뉴질랜드 룰과 함께, 자살수가 가능한 몇 안 되는 바둑 규칙이다. 보통의 상황에서는 착수를 포기할 수 있으므로 자살수를 두지 않으나, 궁도 안의 내 돌을 없애서 팻감으로 사용 가능한 상황이나 매우 특이한 상황의 수상전에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참고도

초읽기가 없는 대신, 각자 제한 시간 3시간을 주고 그 시간을 넘겨서 사용하면 2점(2집)의 벌점을 부과하며, 벌점 2점 공제를 대가로 20분을 추가로 받는다. 연장은 두 번까지 가능[5]하고, 그것까지 모두 사용하면 시간패가 된다.

2012년 대회까지는 기본 제한시간이 3시간 30분, 추가 시간이 35분이었으며, 세 번까지 연장할 수 있었다[6].

돌가리기(고단자나 연장자가 한웅큼 쥔 흰돌이 홀수인지 짝수인지 맞히기)에서 이긴 쪽이 잡을 돌을 고를 수 있다. 국제바둑대회에서는 응씨배 말고는 LG배에서만 쓰는 규칙이다(다른 대회는 이긴 쪽이 검은돌).

4. 패 관련 규칙

주로 바둑 규칙 연구가인 Robert Jasiek의 자료 및 다음의 바이두 백과 문서를 참고하였다. # 1996년판 규칙으로 설명한다.

초기 응씨룰은 단순한 동형반복 금지만을 사용했지만, 초기 버전 이후의 응씨룰의 패 관련 규칙은 매우 복잡하며, 2020년 현재 인터넷에는 응씨룰의 패에 대해 한국어로 설명한 공신력 있는 자료가 없는 듯 하다. [7] 따라서 이 문서의 내용도 완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규칙에서, 패는 서로 교대하여 따낼 수 있는 모든 모양이다. 예를 들어, 다음 그림의 모양은 모두 패이다. 장생 역시 응씨룰에서는 패로 보며, "쌍열자"로 분류하고 있다. 쌍열자는 장생, 순환패 등으로 존재할 수 있고 돌 세 개를 따내는 삼열자도 다단패와 얽히면 존재할 수 있다.
파일:응씨룰_패.jpg

4.1. 패 관련 규칙의 예제

쟁패와 관련된 예는 다음과 같다.
파일:응씨룰_쟁패_삼패.jpg
위에서 서술했듯이, 공배가 없는 삼패는 쟁패이다. 이 그림에서 백이 패를 따내면, 흑은 팻감을 써야 다른 곳의 패를 따낼 수 있다.
파일:응씨룰_쟁패_기본.jpg
보통의 패 규칙과 비슷하게 서로 팻감을 사용해서 패싸움을 할 것이다.
파일:응씨룰_쟁패_장생2.jpg
이 형태의 장생은 쟁패이다. 흑A로 두면 세모 표시된 백 4점이 단수에 몰리게 되며, 백C로 따내면 세모 표시된 흑 전체가 단수에 몰리게 되어 흑B로 다시 따내야 한다. A-C-B-D로 무한정 반복되는데, 응씨룰에서는 이 중 돌이 단수가 되기 때문에 받아야 하는 A, C는 바로 받을 수 없고 팻감을 써야 한다. A-(백팻감)-(흑)-C-(흑팻감)-(백)-B-D-A 와 같이 이어진다.
특이한 예로, 다음 그림이 있다.
파일:응씨룰_쟁패_기타.jpg
적당한 크기의 패가 있다면 백 D, 흑 B, (다른 곳 패따냄), 흑 A, 백 C, (다른 곳 패따냄)으로 반복될 수 있는 모양이다. 패를 따내기 전에 세모 표시된 흑백의 말이 단수에 몰리게 되므로 쟁패이다. 이 경우 백 D를 흑 B로 바로 받을 수 없고 또또 다른 곳에 팻감을 써야 할 것이다.

교패와 관련된 예는 다음과 같다.
파일:응씨룰_교패.jpg
그냥 평범한 패 규칙과 같이 진행하면 된다.
파일:응씨배_교패_기타.jpg
교패이지만 교자가 돌렸을 때 평범한 패 규칙에 걸려서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전에 교자가 없어진다. 따라서 평범한 패와 같이 진행된다.
파일:응씨배_교패_삼패.jpg
프로기사 대국에서 나온 삼패. 백이 단수를 당하는 쪽이므로 항상 흑이 교자가 된다. 백은 삼패를 돌아가면서 따내기만 하면 되지만 흑은 한 바퀴 돌때마다 교패 규칙에 걸려 팻감이 필요하다. 즉 흑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모양.
파일:응씨룰_사패_교패.jpg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의 계기가 된 이세돌과 구리의 4패빅이다. 백이 둘 차례로, 아랫쪽의 패를 따내면 안정한 교패가 되고, 먼저 두는 쪽이 표시된 돌을 잡으려면 교자가 되기 때문에 무한한 팻감이 필요해진다. 결국 빅과 비슷하게 양쪽의 돌이 모두 남은 형태가 될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한자로는 전만법( 滿). [2] 내 돌이 살아 있는 곳에 내 바둑알을 채우면 몇 집인지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끝나고 나서 집을 세려고 판에 놓은 바둑알을 이리저리 옮길 필요가 없다. 중국식 계가법에서 돌을 180알씩 맞추고, 바둑판에서 살아 있는 돌을 그대로 두고 남은 돌로 각자 영역을 채우는 방식이 바로 전만법이라고 봐도 좋다. [3] 정확히 말하면 가로세로 19줄 바둑판 기준으로 돌을 180알씩 맞춰서 준비하기 어려워서 그렇다. 다른 계가법에서는 바둑돌이 몇 개 모자라도 바둑을 두는 데는 지장이 없기 때문. 그래서 바둑돌을 딱 180알 넣을 수 있는 통(한 층에 36알×5층인 육각기둥형)도 있다(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 이제까지 나온 여러 바둑통, 돌을 꺼낸 모습). 본문에서 말하는 '세트'는 바둑판 밑에 바둑통이 있는 탁자형으로, 걸상까지 한묶음이다(평소에는 탁자로 쓴다). 영상에서는 백 자리에 앉아서 왼손으로 보여줬지만, 오른손잡이 기준이다 - 앉은 자리에서 오른손으로 오른쪽에 있는 작은 육면체 상자(돌을 넣는 통)를 당기면 바둑돌을 집을 수 있고, 밀면 바둑돌을 가로 6알×세로 6알×5층(=180알)으로 가지런히 줄세울 수 있다. 돌 개수만 확실히 맞출 수 있으면 이 규칙을 쓸 수 있다 보니 바둑통에 공이 많이 들어갔다. [4] 그래서 덤(8점)을 한국식으로는 7집 반이라고 한다. 그리고 서로 돌을 놓을 수 없는 공배 주변 돌 배치에 따라 가르는 방식(그래서 [math(\frac14)], [math(\frac34)]점도 나올 수 있고, 공배가 변에 있으면 [math(frac13)], [math(frac23)]점도 나올 수 있었기 때문에 집의 최소단위는 [math(\frac1{12})]점이었다. 제1회 대회 8강전에서 흑인 조훈현이 [math(185 frac5{12})]집, 백인 고바야시 고이치가 [math(175 frac7{12})]집을 내서 조훈현 九단은 흑으로 [math(1 frac56)]점을 이기기도 했다)에서, 중국처럼 반씩 나눠가지기로 바꿨다. [5] 두 번을 쓰면 총 4점(4집) 공제, 총 제한시간 3시간 40분. [6] 세 번을 쓰면 총 6점(6집) 공제, 총 제한시간 5시간 15분. 왜 추가 시간이 35분인가 하면, 3시간 30분을 여섯 등분하면 35분이라서 그렇다(생각시간을 다 쓰면 2집을 빼고 1/6만큼 시간을 더 준다는 규칙이었다). 그리고 처음 대회를 발표할 때는 '생각시간 다 쓰면 바로 시간패'로 하려 했지만, 이것도 반발이 심해서 '생각시간 다 쓰면 2집 빼고 초읽기(그리고 이 초읽기 넘길 때마다 또 2집 빼고 초읽기)'로 타협했다고 한다(그래서 맞수 제1회 응씨배 결승전에서는 초읽기가 나온다). 추가시간은 제2회부터. [7] "응씨룰은 한․중․일 3국룰의 기초에서 인공으로 제작된 룰로서 잉창치의 간단함보다는 완벽한 룰을 만든다는 원칙하에서 3패 등 동형반복에 대해 매우 상세한 분류 규정을 하였으며 단패 뿐만 아니라 여러 복잡한 패도 단행할 수 있게 고안했으며 순환패의 여러 경우에 대해서 권리주장을 하고 사활의 판정을 하기도 하면서 순환을 일방적으로 금지하기도 한다. 즉 패감을 찾고 패순환을 하도록 하며 목적은 무승부를 바둑대국에서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 이는 매우 복잡한 규정과 시도라고 할 수 있겠다." (한ㆍ중ㆍ일 및 응씨바둑룰의 차이점 비교연구. 차일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