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15:08:20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8f,#00d8ff> 제1회
(1927)
제2회
(1932)
제3회
(1937)
제4회
(1949)
제5회
(1955)
레프 오보린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유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야코프 자크
파일:소련 국기.svg
벨라 다비도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아담 하라셰비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6회
(1960)
제7회
(1965)
제8회
(1970)
제9회
(1975)
제10회
(1980)
마우리치오 폴리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타 아르헤리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게릭 올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파일:폴란드 국기.svg
당타이선
파일:베트남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1회
(1985)
제12회
(1990)
제13회
(1995)
제14회
(2000)
제15회
(2005)
스타니슬라프 부닌
파일:소련 국기.svg
케빈 케너1
파일:미국 국기.svg
필리프 주시아노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윤디 리
파일:중국 국기.svg
라파우 블레하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6회
(2010)
제17회
(2015)
제18회
(2021)
제19회
(2025)
제20회
(2030)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조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루스 리우
파일:캐나다 국기.svg
}}}

1. 1위 없는 2위
2. 1위 없는 2위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Юлианна Авдеева | Yulianna Avdeeva
파일:율리아나아브제예바.jpg
본명 율리아나 안드레예브나 아브제예바
Yulianna Andreevna Avdeeva
Юлианна Андреевна Авде́ева
출생 1985년 7월 3일 ([age(1985-07-03)]세)

[[소련|]][[틀:국기|]][[틀:국기|]] 러시아 SFSR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직업 피아니스트
학력 취리히 예술 대학
주요 수상 [ruby(제16회,ruby=2010)]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쇼팽 콩쿠르 1위와 논란4. 쇼팽 콩쿠르 이후5. 레코딩6. 여담

[clearfix]

1. 개요


2010년 쇼팽 콩쿠르 최종 라운드에서의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연주

러시아의 피아니스트로,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후 45년(!)만에 2010년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한 여성 피아니스트이다.

쇼팽 콩쿠르 1위와 그에 따른 후술할 논란, 그리고 주최 측의 실수로 인한 일시적인 무대 정전 사태에도 불구하고 움찔하거나 머뭇거리는 모습 없이 완벽하게 무대를 소화해낸 모습에서 좋은 쪽과 나쁜 쪽 모두로 유명해졌다.[1]

2. 생애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5살에 처음 피아노를 접했다. 이후 러시아 국립 그네신 음악대학에 들어가 수학하다가 스위스로 건너가서 취리히 예술대학을 졸업했다.

3. 쇼팽 콩쿠르 1위와 논란

2010년 쇼팽 콩쿠르 우승 당시 결선 심사에 대해 논란이 제기되었다. '비교했을때 테크닉과 기술적인 부분에서 우위는 아니다' 라는 것.

화려하지는 않아도 차분하고 힘 있는 연주는 분명 장점이었지만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기술적으로 완성되지 않았으며 그에 따른 사소한 실수가 너무 잦았다. 어려운 패시지는 당연하고 전혀 테크닉적으로 어렵지 않은 부분에서도 자주 음을 이탈하는 실수를 냈다. 거기까진 넓은 아량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더라도, 흐름상 중요한 노트들(종지 화성이나 최고음, 오케스트라와 딱 맞아야 할 부분 등)도 너무 자주 틀려버렸다. 이런 국제 콩쿠르에서는 압도적인 장점을 보여주지 않는 이상 너무 잦은 실수는 당연히 감점의 요인이 된다. 몰입하는데 방해가 되니까.

특히나 순위를 결정하는 파이널 라운드에서는 곳곳에서 오케스트라와 엇나가는 모습을 보여줬다. 게다가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득점 했더라도 심사위원들이 '이 참가자는 1등을 줄 만큼의 기량은 되지 않는다'[2] 고 생각한다면 1등은 수여하지 않아도 되는데 그럼에도 덜컥 1등에 선정되었다.

이런 논란이 있었던 탓인지 협주곡 최고연주상을 받은 잉골프 분더가 재수생이라서 우승을 주지 않았다던가 아브제예바를 가르쳤던 중국계 심사위원 푸총(Fu T'song)이 수상자 선정에 깊게 개입했다는 등의 루머가 있었다. 물론 사실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한편 2등은 잉골프 분더(Ingolf Wunder)가 차지했으며 3위는 다닐 트리포노프(Daniil Trifonov)가 차지했는데 현재에는 이 둘이 오히려 훨씬 더 인지도가 높고 연주 활동도 활발하다.

다만 아브제예바 입장에선 변명거리가 없는 건 아니다. 트리포노프와 비교했을 때 트리포노프는 결선에서 아브제예바보다 훨씬 힘빠지는 연주를 보여줬기 때문. 그리고 아브제예바의 해석은 자신만의 색깔이 투명하고 명확하게 들어가 있고 이것이 오케스트라와 잘 조화를 이루는 것도 사실이다. 적어도 음악성과 곡 해석에서만은 아브제예바를 깔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런 점을 조합해 볼때, 쇼팽 콩쿠르 측에서 아브제예바에게 상을 준 이유는 테크닉적인 완성도보다는 음악적인 원숙함 때문으로 보인다.

4. 쇼팽 콩쿠르 이후


쇼팽 콩쿠르 우승 4년 후 연주회 중 슈베르트의 <3개의 피아노 소품 D.946>[3]
2023년 현재 피아니스트 아브제예바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콩쿨 우승으로 억울하게 저평가된 연주자'라고 할 수 있다. 한동안 자격 없는 우승을 한 후 묻혀진 연주자 정도로 알려져 있었는데,[4] 이는 사실과 다르다.

그녀의 연주는 기본적으로 화려한 기교나 강렬한 에너지의 표출과는 거리가 멀다. 대신 흐트러짐 없는 깔끔한 흐름과 편안하고 우아한 음색이 강점이다. 때문에 그녀의 연주는 기교가 돋보이지 않는 대신 굉장히 어렵거나 기교로 떡칠된 패시지도 물 흐르듯 편안하게 들리는 특징을 갖고 있다.

2010년 쇼팽 콩쿠르 우승 당시 우승자격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고 역대 우승자 중 기교적으로 가장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기는 했어도 특유의 차분하고 정돈된 표현력은 나름의 음악성을 인정받았다.[5] 스타일은 많이 다르지만 기교의 과시에 주안점을 두지 않는 곡 해석은 '무(無)기교의 리스트 스페셜리스트'로 각광받았던 호르헤 볼레와 유사하다.

다만 아무래도 청중들을 열광시키기 어려운 연주 스타일 때문인지, 쇼팽 콩쿨 우승자 치고는 연주회 활동이 적은 편이고, 본인의 단독 음반도 2023년까지 마이너급 레이블에서 3개, 준메이저급 레이블에서 1개가 발매되었다.[6] 하지만 쇼팽 콩쿨 당시 불거졌던 기교적 완성도에 대한 이슈는 본격 연주자가 된 후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으며, 자신의 장점을 잘 살리면서 나름 사색적이고 학구적인 연주 스타일을 만들어 가고 있다. 레퍼토리도 바로크 음악부터 현대 음악까지 꽤 넓은 편이며, 특유의 명료한 터치와 균형 잡힌 프레이징은[7] 고전기와 바로크 시기의 작품에 꽤 잘 어울린다.

우승에 대한 논란이 오히려 그녀의 실력을 부당하게 저평가받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선입견을 벗고 그녀의 연주를 들어보면 호불호가 갈릴 수는 있지만 결코 기량이 떨어지거나 음악성이 부족한 연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쇼팽 콩쿠르 우승에 논란이 있을 수는 있을지언정, 절대로 원래 실력이 부족한 연주자는 아니라는 것. 애시당초 쇼팽 콩쿠르는 얄팍한 수로 우승할 수 있는 대회가 결코 아니다.

5. 레코딩

1. Yulianna Avdeeva play Chopin, Schubert & Prokofiev(2014, Mirare)
2. Chopin - Mozart - Liszt(2016, Mirare)
3. Johann Sebastian Bach(2017, Mirare)
4. Resilience(2023, Pentatone)

6. 여담



[1] 위 영상 13분 01초 부분을 보면 무대 조명이 갑자기 꺼짐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무대를 소화해내는 모습으로 화제가 되었다. [2] 쇼팽 콩쿠르의 1등상은 단순히 점수서열 1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 누구도 1등상의 권위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공석처리해 버리는데, 1990년-1995년이 그러했다. [3] 특히 2번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연주인데, 22:34에 관객이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볼 수 있다. [4] 사실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내한 공연도 몇 번 왔다. [5] 일부 평론가들은 기교로 도배되다시피 되어 있는 부분도 매우 깔끔하게 연주한다는 면에서 가장 쇼팽적인 연주를 한다고 평하기도 했다. [6] 메이저급 레이블인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기돈 크레머, 첼리스트 기에드레 디르바나우스카이테와 함께 바인베르크의 곡들을 녹음한 음반이 발매되기는 했지만 단독 음반은 아니다. [7] 특히 음반으로 발매된 모차르트나 바흐 연주를 들어보면 이런 특징이 잘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