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A5445> 부여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모수왕 | 부루왕 | 금와왕 | 대소왕 | |
<rowcolor=#6A5445> 해두국 | 갈사국 | |||
말대 | 초대 | 제2대 | 제3대 | |
해두왕 | 갈사왕 1세 | 갈사왕 2세 | 도두왕 | |
<rowcolor=#6A5445> 중국사서 | ||||
초대 | 시조 | 계보 미상 | 칭왕 초대 | |
영품리왕 | 동명왕 | 부여왕 | ||
계보 미상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시왕 | 부태왕 | 위구태왕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간위거왕 | 마여왕 | 의려왕 | 의라왕 | |
제8대 | 제9대 | 계보 미상 | 말대 | |
현왕 | 울왕 | 잔왕 | ||
<rowcolor=#6A5445> 졸본부여 | ||||
말대 | 말대 | |||
연타발 | 추모성왕 | |||
<rowcolor=#6A5445> 남부여 | 문헌상 언급 | 두막루 | ||
초대 | 왕족 | 수령 | ||
성왕 | 구태 | 우태 | 위거 | 낙개제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삼국시대 이전 | |||
<rowcolor=#FFD400> 단군조선 | 위만조선 | 진국 | 삼한연맹 | |
단군 | 역대 군주 | 진왕 | ||
예맥 | ||||
<rowcolor=#fbe673> 부여 | 예맥족장 | 최씨낙랑국 | 비류국 | |
역대 군주 | 남려 | 최리 | 송양 | |
<rowcolor=#fbe673> 고리국 | 졸본부여 | 비류백제 | 온조백제 | |
영품리 | 추모 | 비류 | 온조 | |
마한 | ||||
<rowcolor=#fbe673>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대 | |
준왕 | 마한왕 2세 | 마한왕 3세 | 마한왕 | |
진한 | ||||
<rowcolor=#fbe673> 실직국 | 감문국 | 골벌국 | 음즙벌국 | |
안일왕 | 금효왕 | 아음부 | 타추간 | |
진한 | 변한 | 탐라 | ||
<rowcolor=#fbe673> 사로국 | 금관국 | 반파국 | 탐라국 | |
거서간 | 김수로 | 이진아시 | 역대 군주 | |
}}}}}}}}}}}} |
부여 제3대 군주
尉仇台王 | 위구태왕 |
|||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출생 | 연대 미상 | ||
부여 | |||
사망 | 연대 미상 | ||
부여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제3대 군주 | ||
197년 전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성씨 | 해(解) | |
휘 | 위구태(尉仇台) | ||
부왕 | 시왕 | ||
왕후 | 왕후 공손씨[1] | ||
자녀 | 해간위거 | ||
왕호 | 위구태왕(尉仇台王) | }}}}}}}}} |
[clearfix]
1. 개요
부여의 군주.이름의 뜻이 '구태 2세'인데 이에 대해 백제의 시조로 여겨지는 구태(仇台)와 동일인물이라는 설이 있다. 구태(仇台)라는 이름은 중국 정사에 속하는 역사서인 《 주서》, 《 북사》, 《 수서》, 그리고 《책부원귀》에 전해지고 있다. 구태 시조설은 전승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구태 항목 참조.
1.1. 즉위 이전
120년 후한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선물로 인수(印綬)와 금색 비단을 받았다고 한다.(《 후한서》 <부여전>)121년과 122년에 고구려가 현도군을 공격하자 20,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현도군을 지원해 500명을 참수하는 공을 세웠다.(《 후한서》 <고구려전>)
이 시기는 《 삼국사기》 기준으로 태조대왕이 차대왕에게 대리청정을 맡기는 시점이고, 《 후한서》 기준으로는 태조대왕이 사망하는 시점이다.
1.2. 즉위 이후
구려와 선비가 강성해지고, 부여가 (구려와 선비) 두 오랑캐 사이에 있는 것을 본
공손도는 종실의 여자를 (위구태왕에게 보내) 처로 삼게 했다. 위구태가 죽자 간위거가 즉위했다.
時句麗·鮮卑彊度以夫餘在二虜之間妻以宗女。尉仇台死簡位居立。
《 정사 삼국지》 <위지(위서)> -동이전-. 남아있는 위구태왕 기록의 전부다.
공손도(公孫度)의 종녀를 부인으로 맞이해
동연과 유대를 강화했다. 이러한 조치는 주변의
선비족[2]과
고구려[3]에 대한 견제로 파악된다. 요동 지역의 군벌로 자리매김한 공손씨와 언제 유대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204년 한충 -
견초의 대화에서 한충이 '부여'에 대해 언급한 것을 보아 그 이전에 유대를 맺은 것으로 추측된다. 만약 그렇다면 공손도가 요동왕을 참칭한 189년 ~ 204년 사이에 유대했을 가능성이 높다.時句麗·鮮卑彊度以夫餘在二虜之間妻以宗女。尉仇台死簡位居立。
《 정사 삼국지》 <위지(위서)> -동이전-. 남아있는 위구태왕 기록의 전부다.
한편, 197년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데 이 시기에 고구려의 서부 지역을 담당하던 연노부가 단체로 이탈해 공손연과 손을 잡았기 때문. 남성의 경우 70대가 되어도 생식능력을 갖고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보면 불가능한 건 아니다. 이를 보면 고구려 산상왕의 즉위에 반대해 공손씨 세력과 힘을 합쳐 고구려를 공격한 고발기와도 가까운 친인척 관계에 놓여있었던 듯하다.
위구태왕 시기인지 아들 간위거왕 시기인지는 불분명하나, 조위 황초 연간(220년~226년) 사이에 부여에 예속되었던 읍루가 반란을 일으켜 부여가 읍루 정벌을 시도했지만 끝내 굴복시키지 못했다고 한다. 동연과 비교하면 공손도의 아들 공손공 치세에 일어난 일이므로 간위거왕 시기일 가능성이 높다.
1.3. 사후
《 제왕운기》에 나오는 부여 부마대왕(駙馬大王)과 동일인으로 추정되는데, 중국측 기록에 등장하는 부여의 군주 중 다른 군주의 딸과 혼인한 사람은 위구태왕 뿐이기 때문이다. 이승후에 의하면 요하 인근에 그의 능이 있다고 한다.2. 수명에 대한 의문점
위구태 왕자와 위구태왕 사이에는 약 70년 정도 되는 시간차가 존재한다. 게다가 167년에 현도군을 공격한 부여왕 부태(夫台)가 확인되는데 일단 위구태왕과 부태왕은 모두 공손도와 연관되어 있는 사람이다. 위구태왕이 죽은 뒤 간위거왕이 즉위했는데, 이 인물이 위구태 왕자의 아들인지 위구태왕의 아들인지는 불명확하다. 보통은 위구태왕의 아들이라고 여긴다.경향신문의 1987년 9월 11일자 기사에서 위만의 손자인 우거의 명칭이 고유명사가 아닌 우두머리를 지창한다는 조승복 교수의 주장에서 언급되는데, '우거'가 고유명사라 한 안사고(顔師古)의 주장은 잘못되었으며, 우거에 대한 음운 변이를 고구려의 우거, 부여왕 간위거, 위구태 등을 언급하면서 씨족의 생활 공동체를 다스리는 우두머리 또는 우두머리 직을 가리키는 보통명사라 주장했다.
[1]
공손도(公孫度) 가문의 사람이다. 공손도와의 촌수는 불명이다.
[2]
《후한서》 <선비전>에 따르면,
단석괴가 선비족을 통합하고 전쟁을 벌일 때 충돌한 국가로 부여가 언급된다.
[3]
제8대
고국천왕이 발기의 난, 연나부의 난을 제압하면서 왕권을 강화시키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