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1:35:46

영해군(1435)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영해군 | 寧海君
출생 1435년 4월 27일[1]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477년 6월 24일[2] (향년 43세)
묘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재위기간 조선 영해군
1442년 1월 6일 ~ 1477년 6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장(璋)[3][4][5]
부모 부왕 세종
모친 신빈 김씨
형제자매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17남
모친 기준 6남 2녀 중 5남
배우자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
(林川郡夫人 平山 申氏)
자녀
2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영춘군 이인(永春君 李仁)
차남 - 길안도정 이의(吉安都正 李義)
장녀 - 박승약(朴承爚)의 처
종교 유교 ( 성리학)
제지(題之)
군호 영해군(寧海君)[6]
시호 안도공(安悼公)
품계 소덕대부(昭德大夫)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영해군 묘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의 17남이자 서9남이다. 어머니 신빈 김씨에게는 5남이다.

2. 생애

1435년(세종 17년) 3월 20일 밤, 세종 신빈 김씨의 5남으로 태어났다. 초명은 장(璋)이었으나 후에 당(瑭)으로 개명하였다. 1442년(세종 24년) 영해군(寧海君)으로 책봉되었다. 부인은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이다. 자녀로는 신씨가 낳은 장남 영춘군 이인과 차남 길안도정 이의, 장녀 이씨가 있다. 성격은 화목한 것을 좋아하여 다투는 일이 없었다 한다. 시호는 안도(安悼)이다.

3. 가족 관계

4. 영해군 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105호 106호 107호
효민공 이경직 묘역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 태종왕지 윤림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6호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
全州 李氏 寧海君派 墓域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1-1
시대 조선 시대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 면적 분묘 10基, 석물 43基, 토지 1,630.4㎡
지정연도 1997년 12월 31일
파일:전주_이씨_영해군파_묘역_전경3_(촬영년도___2015년).jpg
<colbgcolor=#94153E> 영해군과 자손들의 묘역[9]
[clearfix]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다. 영해군 묘 주변에는 다른 가족들의 묘도 자리하여 하나의 묘역을 이루고 있다. 영해군 가족 묘역은 1997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6호로 지정받았다. 사실 원래는 영해군의 아들 영춘군의 신도비만 '이인신도비(李仁神道碑)'란 명칭으로 지정받았는데 2008년 10월 30일에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이란 이름으로 바뀌면서 묘역 전체가 문화재가 되었다.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대신리에 그의 위패를 모신 소덕사가 있다. 지금도 매년 영해군의 기일마다 그곳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1] 음력 1435년 3월 20일 [2] 음력 성종 8년 5월 5일 [3] 선원록에 따르면 은언군의 아들 풍계군과 같은 이름으로 고쳤다지만 「조선시대 태실의 역사고고학적 연구」(홍성익,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pp.13)에 따르면 장(璋)과 당(瑭)의 태실이 따로 있으며 당(瑭)의 태지석에 황명(皇明) 정통 7년 임술 7월 24일 인시 생(生)으로 나와서 1435년 생인 영해군과 다른 왕자일 수 밖에 없다. 애당초 선원록은 임진왜란으로 조선왕조실록과 달리 완전히 불에 타서 없어졌고 숙종의 치세에 기억에 의존해서 다시 만든 것인지라 임진왜란 앞의 계보는 부정확할 수 밖에 없다. 덧붙여 당(瑭)이 왕자의 이름으로 쓰였음을 인지할 수 밖에 없음에도 왜 영조 풍계군의 이름을 그렇게 지었는지도 알 수 없다. [4] 더군다나 명태조와 이름이 겹친다. 명나라를 천자의 나라로 인정하고 조공을 바치면서 왜 창업천자의 휘를 왕자의 이름으로 썼는지 알 수 없다. [5] 충선왕과 이름이 같다. [6] 봉호는 경상도 영해군(寧海郡)에서 유래했다. [7] 족보에 천계 병자년에 태어났다고 하는데 천계제는 17세기 초에 재위한 황제이기 때문에 연호에 오류가 있고, 또 생년이 병자년인 것도 불가능하다. 애초에 아버지 영춘군은 병자년에 살았던 적이 없다. 차남인 선성수가 1507년생이고 아버지가 1465년생이니 완천군은 1480년대에 태어났다고 추정할 수 있다. [8] 바로 이사람이 황진이의 시조에 언급되는 벽계수(碧溪守)이다. [9]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