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03:33:28

역지사지

입장바꿔 생각하기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소설에 대한 내용은 역지사지(소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자성어
바꿀 [1] 생각할 [2]

1. 개요2. 유래와 변형3. 여담4. 관련 문서5. 인터넷 합성짤의 유형

[clearfix]

1. 개요

한자 그대로의 뜻은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라', 즉 상대편의 처지나 형편에서 생각해보고 이해하라는 의미의 사자성어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입장바꿔 생각해보라는 뜻.[3]

2. 유래와 변형

禹、稷當平世,三過其門而不入,孔子賢之。顏子當亂世,居於陋巷。一簞食,一瓢飲。人不堪其憂,顏子不改其樂,孔子賢之。孟子曰:「禹、稷、顏回同道。禹思天下有溺者,由己溺之也;稷思天下有飢者,由己飢之也,是以如是其急也。禹、稷、顏子易地則皆然

우임금 후직은 평탄한 세상을 맞이했건만, 세 번이나 (자기 집) 문 앞을 지나가면서도 들어가지 않았다. 그래서 공자가 그들을 어질다고 했다. 안회는 혼란스런 세상을 만나 볼품없는 마을에 살면서 소쿠리 밥을 먹고 표주박 물을 마셨다. 다른 사람들은 그런 근심을 감당하지 못하건만, 안회는 (그것에서) 즐거워함을 고치지 않았다. 그래서 공자가 그를 어질다고 했다. 맹자가 말하기를, 우임금과 후직, 안회는 모두 도(道)가 같다. 우임금은 천하에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자기 때문에 물에 빠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후직은 천하에 굶주린 사람이 있으면, 자기 때문에 굶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그처럼 급했던 것이다. 우임금, 후직, 안회는 처지를 바꾸더라도 모두 그렇게 할 것이다.
맹자(孟子)》 〈이루(離婁) 하〉

역지사지는 《 맹자(孟子)》 〈이루(離婁)〉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역지즉개연'은 '처지를 바꾸더라도 모두 그렇게 할 것이다', 즉 남의 입장이 되더라도 그렇게 한다는 얘기인데 비해, '역지사지'는 '처지를 바꿔서 생각해보라', 즉 남의 입장이 되어서 생각해보라는 얘기로써, 상대방을 한번 이해해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사실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사자성어인데, 아마 '역지즉개연'을 설명하다가 '너도 우임금, 후직, 안회와 같은 처지라면 물에 빠진 사람이나 굶주린 사람을 구제하기 위해 집 문 앞을 지나가면서도 들어가지 않을 수 있을 것인가'를 묻는 과정에서, '그럼 처지를 바꿔서 생각해봐라(역지사지)'라고 말하면서 만들어진 사자성어였을 가능성이 크다. 즉, 원래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해보라는 말이 아니라 '너도 성현의 처지라고 한번 생각해보라'는 말이었던 것.

그런데 '역지사지(易地思之)'가 오랫동안 한국에서 관용어로 사용되면서 의미와 적용이 약간 달라져서, '상대편의 입장을 이해해보라'는 현재의 의미가 된 것이다.

3. 여담

4. 관련 문서

5. 인터넷 합성짤의 유형

인터넷에선 이 한자성어를 합성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존재들의 위치를 바꿔놓는 합성에 사용된다. 어떨 땐 특정인물이 들고 있는 물건과 그 사람의 머리를 서로 바꿔놓는 병맛 넘치는 합성을 하고 '역지사지'로 칭하기도 하는데, 이러는 경우는 어떻게 보면 러시아식 유머 변형으로 볼 수 있다.

파일:attachment/ygsg.jpg
역지사지 식 합성의 예. 길드립 중 하나인 역지사길. 얼굴 바꾸기 앱을 쓰면 쉽게 만들 수 있다.


[1] 여기서는 '처지'라는 뜻으로 쓰였다. [2] 여기선 대명사로 쓰였다. [3] 영어로는 Put yourself in someone's shoes/place/position이라 한다. [4] 남의 처지를 헤아리는 마음. [5] 실제로 역지사지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 대학교 시사 토론 동아리로, 그 특성상 대부분의 부원의 성향이 비슷해서 토론 주제를 정하고 사다리타기로 양 진영을 정하게 된다. 이때 사다리 잘못 타면 자신을 부정하면서 토론을 해야 하는데 이러다가 진짜로 의견이 바뀌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