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0:31:38

업무위탁역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정거장 등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관리역1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을종위탁발매소2 무배치간이역
( 업무위탁역 KN)
임시승강장
조차장 신호장 신호소
1. 최고등급, 구 그룹대표역
}}}}}}}}} ||


파일:attachment/baebang.jpg
장항선 배방역

1. 개요

한국철도공사의 정거장 등급 중 하나. 무배치간이역 중에서 역무서비스가 필요한 일부 역을 다른 기업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형태이다. 한국철도공사 역 업무위탁 규정에 근거하여 업무위탁역을 지정하며, 연 평균 일일 이용객 수 25,000명 미만인 경우에 위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2024년 8월 기준 광역철도 155개 역, 일반(여객)철도 6개 역이 코레일네트웍스, 서울교통공사, 서해철도 등에 위탁 운영되고 있다.

2. 목록

2.1. 광역철도

2.1.1. 코레일네트웍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레일네트웍스 문서
번 문단을
광역철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서울교통공사

2.1.3. 서해철도

2.1.4. 에스제이파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제이파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일반철도

2.2.1. 코레일네트웍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레일네트웍스 문서
번 문단을
업무분담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2. 에스제이파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제이파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직제 및 근무형태

이하 내용은 대다수 위탁역 운영사인 코레일네트웍스 기준이다. 지축역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역무원들이 코레일 구역도 떠맡는 구조고, 서해철도는 자체적인 직제와 근무형태가 있다.

광역철도의 경우 2018년부터 관리역과 유사한 그룹위탁역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구간별로 그룹역을 선정하고 해당 역에서 인근 5~8개 위탁역 직원을 관리한다.

광역철도 업무위탁역의 직원은 그룹장, 역장, 총괄매니저, 매니저로 분류된다. 그룹장은 그룹의 총괄 관리자이고, 역장은 각 위탁역의 관리자이며, 총괄매니저는 각 조의 선임이다. 나머지 직원은 매니저로 불린다.

여객철도 업무위탁역의 직원은 소장, 사원으로 분류된다. 사원의 경우 현장에서는 '역무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근무형태는 일부 관리자와 행정업무 담당자는 통상일근, 나머지 대다수 직원은 교대근무(3조 2교대 주주야야비휴)로 한국철도공사가 직영하는 역사와 똑같다. 직영역은 4조 2교대로의 순차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위탁역은 전환 계획이 없으며, 위탁의 목적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현 근무형태가 유지될 확률이 높다.

4. 기타



[1] 1 ~ 6량은 서울교통공사, 7 ~ 10량은 코레일 관할이어서 일산선 개통 당시부터 코레일 관할도 서울교통공사에서 위탁운영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