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9:07:58

야고보 복음서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야고보 복음서를 신약 성경으로 분류하지 않는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야고보 복음서를 신약 성경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기독교의 위경 및 제안된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구약 위경 바룩 3서 · 모세 승천기 · 요셉과 아스낫
신약 위경 토마스 복음서 · 야고보 복음서 · 유다 복음서 · 마르코의 비밀 복음서
제안된 문서 Q 문서 }}}}}}}}}
성경의 목차 | 위경 및 제안된 문서
야고보 복음서
파일:성모_성전봉헌.jpg
성모 마리아의 성전 봉헌을 그린 작품이다.
우측 상단에 계단을 오르는 성모 마리아가 보인다.
언어별 명칭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영어 Gospel of James
Protoevangelium of James
라틴어 Protevangelium Jacobi
한국어 야고보 복음서
야고보 원복음서
기본 정보
저자 예수의 형제 야고보 (전승)
기록 연대 AD 150년경 (2세기 중반)
수신자 기독교인

1. 개요2. 저자3. 사본4. 역사5. 외경으로서의 권위6. 내용7. 전문8. 관련 문서9.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주님의 천사가 다가와 말하였다. "안나야, 안나야, 주님께서 네 기도를 들으셨다. 네가 잉태하여 아이를 낳을 터이니, 온 세상이 네 아이를 노래할 것이다"
야고보 복음서 4장 1절

성모 마리아의 기적적인 잉태,[1] 유년기와 나자렛의 요셉과의 혼인, 베들레헴으로의 여정, 예수의 탄생 등을 기록한 외경[2]이다. 예수의 형제 야고보의 저술로 알려져 있다. 야고보 복음서 혹은 야고보 원(原)복음서[3] 등으로 불린다.

성모 평생동정의 근거가 되는 현존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문헌이며, 마리아에 대한 많은 문헌들의 출처이기도 하다.

주의할 점은 야고보서와는 다르다!

2. 저자

3세기 초반 활동한 오리게네스와 2세기 말에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야고보 복음서를 알고 있던 점으로 보아, 2세기 중반에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4] 저자는 자신이 나자렛의 요셉과 기존의 처의 아들인 야고보라고 말하나, 저자가 누구인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3. 사본

학자들은 야고보 복음서가 그리스어로 쓰여진 것으로 추정하며, 140건이 넘는 그리스어 사본이 전해진다.[5] 또한 고전 시리아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조지아어, 교회 슬라브어, 아르메니아어, 아랍어 라틴어로 번역됐으며,[6][7] 가장 오래된 사본은 3세기나 4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5번 보드머 파피루스 사본이다. 이 사본은 1952년 발견됐으며 스위스 제네바의 보드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가장 완전한 사본은 프랑스 파리의 국립도서관에 있는 10세기의 그리스어 코덱스이다.

인쇄술의 발달 후 수기가 아닌 대량 인쇄된 판본은 스위스 바젤의 기욤 포스텔이 그리스어 사본을 직접 라틴어로 번역해 간행한 1552년 판본이며, 현대에 들어서는 1961년 에밀 드 스트라이커가 간행했고 이를 기반으로 1995년 로버트 혹이 영문으로 번역하여 간행했다.

4. 역사

성서비평학계에서는 보통 2세기 중반에 형성된 문서로 추정한다. 마태오 복음서와 루가 복음서를 종합하고 그 빈틈을 채우려 하고 있으며, 오리게네스에게 언급되고 보드머 파피루스에 수록되었음이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기독교 세계 동방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고 여겨진다. 서방교회에서는 영향력 있는 교부 히에로니무스에 의해 그 영향력이 감소되었는데, 그는 성 요셉까지 동정이었다고 주장하여 야고보 복음서의 ‘예수의 형제들’에 대한 묘사를 거부하고 그들을 친척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서방교회에서는 후대에 작성된 비슷한 문서인 ‘유사 마태오 복음서(Gospel of Pseudo-Matthew)’에 비해 영향력이 밀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405년 툴루즈 주교 엑수페리우스(Exuperius)에게[8] 보낸 편지에서 야고보 복음서를 규탄(condemn)했다. 6세기 초의 자료인 젤라시오 칙령(Gelasian decree)에서도 받아들이지 않을 문서 목록으로 여러 외경 복음서, 묵시록, 행전 등과 함께 포함되었다.

5. 외경으로서의 권위

성모 마리아 공경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9] 다수의 사본이 존재한다는 점은 야고보 복음서의 영향력을 방증한다.[10] 성모 마리아의 생애를 직간접적으로 다룬 외경들인 유사마태복음서[11], 마리아의 탄생,[12] 아르메니아 유년기 복음서,[13] 아랍 유년기 복음서,[14] 목수 요셉 일대기,[15] 고백자 막시모스의 동정녀 생애[16] 등에 영향을 줬다.

외경임에도 불구하고 정경에 버금가는 권위를 지녔다고 평가된다.[17]

정경과 외경에 대해 연구한 프랑수와 보봉[18]은 신약 속 인물과 내용은 등장하나 정경으로 편입되지 못한 이러한 외경이 "기독교인의 영혼에 도움을 준다"고 말한다.[19] 그에 따르면 교부, 신학자, 또 일반 신자들은 이러한 문헌을 단순히 정경과 외경 여부, 혹은 공인 여부를 떠나 "영혼과 신앙생활에 도움을 주는" 세번째 카테고리에 분류한다고.

이러한 문헌들은 초기 교회의 신앙생활의 근간을 형성했으며, 신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고, 때로는 교부들도 이에 의존했다.[20] 또 스티븐 슈메이커는 성모 마리아와 관련된 외경은 교회의 성전의 일부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봤으며[21], 특히 야고보 복음서는 기독교 문화와 전통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만큼 준(準) 정경으로 봐야한다고 말한다.[22]

각각 100개 이상의 사본이 현재까지 전해지며 후대에 널리 퍼진 '유사마태복음서'나 '마리아의 탄생'과 같은 문헌이 야고보 복음서를 출처로 했다는 점은, 야고보 복음서가 외경이라는 분류를 넘어 기독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인 성모 마리아에 대한 권위 있는 문헌으로 여겨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야고보 복음서를 통해 성모 마리아의 잉태, 유년기의 모습, 하느님의 어머니로 선택 받은 이유 등을 알 수 있으며, 성모 마리아가 인류 구원의 역사에 어떤 역할을 했으며 왜 공경 받아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23]

6. 내용

7. 전문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1] 마리아의 어머니 안나가 마리아를 잉태한 일을 지칭한다. [2]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쓰여진 것들 중 신구약성서 경전에 포함되지 못한 작품을 말한다. [3] 原은 예수 탄생 이전의 역사를 기록했기에 연대 순으로 복음서들 가운데 첫번째라는 뜻이다. [4] Ehrman, B. D. (2003). Lost scriptures books that did not make it into the new testament. Oxford Univ. Press. p 63. [5] Vuong, L. C. (2019). The protevangelium of james. Eugene, OR: Cascade Books. doi: #, p 2. [6] Vuong [7] Vanden Eykel, Eric M. “Protevangelium of James.” e-Clavis: Christian Apocrypha. 3번 항목 # [8] 생텍쥐페리의 성의 어원이다. [9] Shoemaker, Mary in Early Christian Faith and Devotion, p 47-61 p 53-54 [10] Vanden Eykel, Eric M. “Protevangelium of James.” e-Clavis: Christian Apocrypha. 3번 항목 # [11] Gospel of Pseudo-Matthew [12] Nativity of Mary [13] Gospel of Infancy [14] Gospel of Infancy [15] History of Joseph the Carpenter [16] Life of the Virgin [17] Vuong, p 2-3. [18] #저자 페이지 [19] Bovon, “Beyond the Canonical and Apocryphal Books,” 125–37; and Bovon, “Useful for the Soul,” 185–95. [20]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기독교 전승에 관해 서술하며 외경을 권위 있는 출처로 들었다. 예를 들어, 성모 마리아의 부모에 대해 저술하며 야고보 복음서에서 왔을 확률이 높은 내용을 썼다. [21] Shoemaker,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p 492. [22] Shoemaker, Mary in Early Christian Faith and Devotion, p 49. [23] Vuong, p4. [24] 童貞, 순결을 지킴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