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2:43:41

아저씨

오지상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0년에 개봉한 한국영화에 대한 내용은 아저씨(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SHOW ME THE MONEY 11의 음원에 대한 내용은 아저씨(노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어원3. 특징4. 역사5. 용어의 사용6. 기타7. 매체에서8. 관련 단어9. 관련 문서

1. 개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부모와 같은 항렬에 있는 아버지의 친형제를 제외한 남자를 이르는 말이다.

오촌, 칠촌 등 자신보다 한 항렬 위의 남자 친척을 일컫는 이다.[1] 3촌은 그냥 촌수로 부르거나 큰아버지(백부), 작은 아버지(숙부) 등으로 부르기 때문에 5촌 이상의 친척을 부를 때 주로 쓰인다.[2] 현재는 그냥 성인 남성을 이르는 보통명사로 쓰임새가 바뀌었다.

여자의 경우 아줌마 혹은 아주머니가 있는데, 성별 차이 이외에 연령대 범위[3]나 뉘앙스와 어감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군대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이기도 하다[4]. 자세한 내용은 아저씨(군대 용어) 참고.

어린 아이들의 경우 형/오빠라고 부르기에도, 아저씨라고 부르기에도 애매한 사람을 삼촌이라고 부른다.[5]

2. 어원

어원은 중세 한국어 '아자비'이며, 에 대한 번역어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앚-('작은', '다음', ' 방계'를 뜻하는 접두사)'과 '아비(父)'가 합쳐진 말이다. 한편,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중세국어 시기의 '*아잡'이라는 형태도 싣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으로, 그 용례를 보면 모두 '아자븨' 형태로 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실 중세국어 시기 '-ㅣ'로 끝나는 명사에 속격 조사 '-의'가 붙을 때 명사의 ㅣ가 탈락하는 현상 때문이다. 즉 '*아잡'은 '아자비-의'의 구성을 오분석 한 것이다.

3. 특징

파일:여중생A_아저씨.png
여중생A

아저씨라는 단어의 대상에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 유치원생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에게는 20대 중반만 가도 그냥 삼촌/아저씨로 보인다. 15살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형보다는 삼촌/아저씨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장난삼아 10대 후반이나 20대한테도 아저씨라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까지의 어린아이들은 아빠 또는 남성 보호자와 나이가 비슷해 보이는 남자라면(즉 30대 중반 이상은) 다 아저씨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즉,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이다.[6]

주로 어린아이와 중년층 이상이 청년기 남자에게 아저씨라고 많이 부르는 편이다. 미취학이거나 갓 학교에 입학한 어린아이들의 눈에는 20대 중반부터도 삼촌 뻘이라 삼촌으로 보이니까 그렇게 부르는 것 뿐이다. 중년층 이상의 경우 청년기 남자들이 아저씨가 아닌 걸 알면서도 딱히 부를 호칭이 마땅치 않아서 많이들 쓴다.

사전적 의미로는 ' 성인 남성'을 통칭하나 현대에는 중장년층 이상의 남성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서의 인식이 크다. 아줌마와 동일하게 30대 중후반 쯤에 진입하면 아저씨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대략 결혼을 한 이후나, 미혼이라도 40대부터는 이 말을 들어도 어색하지 않다.

어릴 때부터 노안이라서 이 소리를 듣고 사는 청소년들도 간혹 있긴 하다. 반대로 30대라도 관리를 잘 한다면 이 소리를 쉽게 들을 일은 없을 것이다. 2016년 대학생 207명을 조사한 결과, 아저씨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나이(28%) 다음으로 옷차림(21%)을 꼽았다.

우스갯소리로 '군대 갔다 오면 전부 다 아저씨'라는 말도 있다. 그러나 국어사전의 예문에서도 보다시피 '국군 아저씨'도 틀린 표현은 아니다. 군인의 경우는 초등학생 때부터 군인아저씨에게 편지를 쓴다든가 하는 식으로 굳어져서 고등학생은 물론 노년층에게도 군인아저씨라고 불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렇듯 남자들은 20세부터 군대에 가서 군인아저씨라는 소리를 들었기 때문에 익숙하다는 말도 있다. 다만, 군인에 대해서는 군인 '아저씨'에 비해 군인 '', 군인 ' 오빠', 군인 ' 삼촌' 등의 단어를 사용하기에는 아무래도 어감이 좀 어색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혹은 넓게 보면 군인은 단순히 20대 초반의 젊은 남자만 있는 게 아니라서 그런 걸 수도 있고... 늦게 입대한 것이 아니고서야 30대 이상이면 전부다 사관학교를 졸업한 직업군인이다 보니 저절로 군인 아저씨가 되어버렸을 수도 있다.

4. 역사

20세기 이후부터는 남남끼리에서 성인 남자[7]를 예사롭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보통 사회적 신분이 그다지 높지 않아 보이는 사람을 부르는 호칭이었고, 아저씨 호칭을 들으면 썩 유쾌해 하지는 않았다. 신분이나 직급이 낮은 사람은 그냥 그러려니 하지만, 신분/직급이 높은 사람에게 '아저씨' 호칭을 날리는 것은 정말 친한 사이거나 계급장을 떼고 덤빌 때였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군대같은 곳에서 상급자에게 아저씨라고 하는 것은 하극상이다. 그러다 밑의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통령 아저씨" 사례를 보면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는 그런 게 사라졌다는 걸 알 수 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마인드도 퍼졌거니와 현대는 계급사회도 아니기 때문이다.

5. 용어의 사용

요즈음 대부분의 여자들이 '아줌마'라는 단어를 들으면 나이/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언짢아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소 쓰기 꺼림칙한 데가 있지만, 남성은 '아저씨'라는 단어를 들어도 그렇게 화내지 않는다. 물론, 군인을 제외한 20대 남성의 경우는 속으로 찝찝해하거나 기분이 나쁠 수는 있다. [8]

남자에게 아저씨라는 호칭은 부정하거나 부끄러워하는 듯한 반응은 있을 수 있어도 한편으로는 '내가 이젠 아저씨 소리를 들을 나이가 다 되었구나!' 식으로 덤덤하게 받아들이거나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 충격을 받지도 않는다. 다만 이것도 사람마다 케바케라서 아저씨라고 부를 때의 태도가 거슬린다는 반응도 있다.[9] 쓰는 사람들도 듣는 사람들도 아줌마와 달리 크게 신경 쓰지는 않는다. #

젊은 남성에게 아저씨 대신 부를 만한 호칭은 총각 삼촌, 젊은이 정도가 있는데, 덜 쓰인다. 아니면 '학생'이라고 불러도 되긴 하다. 드물게 20대 초중반 정도 한정해서 아들이라는 호칭도 포함. 오빠도 있긴 한데, 일반적인 식당이나 업소에서는 안 쓰는 호칭이다. 무엇보다 가족, 친척, 연인, 지인 등을 제외한 사람들에게 쓰는 오빠 호칭은 아첨의 의미가 유독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빠는 주로 연상의 남자에게 붙이는 호칭이다. 게다가 동성이라면 더더욱 역효과다. 또한 의외로 학생이라는 호칭도 조심해야 할 게 대학생 연령대가 많은 20대 초중반은 딱히 거부감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대다수가 대학을 졸업한 20대 후반까지는 그럭저럭 괜찮을지 몰라도 30대 이후에도 학생 취급을 받는다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도 종종 있다. # 특히 여자라면 모를까 남자는 반말 등으로 동안 대우(?)를 받는 걸 썩 달가워하지 않는 편이다. 남자는 여자에 비해 수직적 서열 의식이 더 강하기 때문에 어려보인다는 것만으로 서열에서 밀린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10] 참고로 위의 호칭들 외에도 요즘은 젊은 사람들도 '선생님'이나 '사장님'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6. 기타

7. 매체에서

8. 관련 단어

'아저씨'에서 '아'를 뺀 ~저씨와 합쳐서 부르는 단어이다. 보통 이 단어보다는 아재 틀딱 같은 단어를 더 주로 사용한다.

9. 관련 문서



[1] 아버지의 4촌 형제인 당숙(堂叔)과 6촌형제인 재종숙(再從叔)등 [2] 물론 증조부의 형제를 함부로 부르는 건 예의가 아니기 때문에 대놓고 이렇게 칭했다간 혼날 수도 있다. [3] 젊은 여자를 칭하는 아가씨라는 호칭은 자주 사용되지만 젊은 남자를 칭하는 총각이라는 호칭은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4] 군인은 특별한 케이스로, 대학생은 초등학생들에게도 형이나 오빠라는 호칭을 듣지만, 군인은 군인 아저씨라는 호칭을 듣는다. 사회적 역할과 이미지의 차이도 있고, 군인은 옛날부터 군인 아저씨라는 호칭을 들어왔기 때문. [5] 초등학생 기준으로 대학원생 또는 20대 중반~30대 초반 정도 되는 남자들을 삼촌이라고 많이 부른다. [6] 2022년 8월 여고생들의 40대 배우 아저씨, 삼촌, 오빠 감별 # [7] 단순히 사전적 의미로는 "성인 남성" 이기 때문에 청년, 장년, 중년, 노년 모두 아저씨에 해당하지만 현실에서는 주로 장년~중년인 남성을 아저씨라고 부르기 때문에 청년이나 노년인 남성을 아저씨라고 부르는 경우는 드물다. [8] 남성은 군입대를 할 나이가 되면 20세부터 아저씨라는 말을 쉽게 듣기 때문이다. [9] 신경질적으로 아저씨 발음을 아이씨 등으로 부르는 태도. 물론 어디까지나 호칭 자체가 기분 나쁜것이 아닌 부르는 태도를 말한다. [10] 애초에 성인 이후의 사회에서 동안이라는 말이 무조건 칭찬으로만 적용한다는 생각도 엄연히 잘못된 생각이다. [11] 동아일보 2016-05-11 “30~60대 男 빌려드려요” 日 ‘아저씨 대여’ 서비스 실체는? [12] 노태우가 1932년생,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재임했으므로 56~61세이다. [13] 2024년 1월에는 세는나이 62세, 만 60세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김포의 어린이집을 방문하였는데, 어린이집 관계자가 자신을 '할아버지'라고 지칭하자 거듭하여 '아저씨'로 정정하기도 했다.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