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2:18:00

실기

1. 개요2. 입시에서의 실기
2.1. 예체능 계열 중, 고등학교2.2. 대입
2.2.1. 경찰대, 사관학교 체력시험2.2.2. 수시
2.2.2.1. 전문대
2.2.2.1.1. 음악 관련 학과2.2.2.1.2. 연기 관련 학과2.2.2.1.3. 미술 관련 학과2.2.2.1.4. 문예창작 관련 학과2.2.2.1.5. 체육 관련 학과
2.2.2.2. 4년제 학교
2.2.2.2.1. 음악 관련 학과2.2.2.2.2. 연기 관련 학과2.2.2.2.3. 미술 관련 학과2.2.2.2.4. 체육 관련 학과
2.2.3. 정시
2.2.3.1. 전문대
2.2.3.1.1. 음악 관련 학과2.2.3.1.2. 연기 관련 학과2.2.3.1.3. 미술 관련 학과2.2.3.1.4. 문예창작 관련 학과2.2.3.1.5. 체육 관련 학과
2.2.3.2. 4년제 학교
2.2.3.2.1. 음악 관련 학과2.2.3.2.2. 연기 관련 학과2.2.3.2.3. 미술 관련 학과2.2.3.2.4. 체육 관련 학과
2.2.4. 편입
2.2.4.1. 전문대
2.2.4.1.1. 음악 관련 학과/학부2.2.4.1.2. 미술, 디자인 관련 학과/학부2.2.4.1.3. 패션, 뷰티 관련 학과/학부2.2.4.1.4. 연기 및 연출 관련 학과/학부2.2.4.1.5. 댄스 및 무용 관련 학과/학부
2.2.4.2. 4년제 학교
2.2.4.2.1. 음악 관련 학과/학부2.2.4.2.2. 미술, 디자인, 사진, 만화 관련 학과/학부2.2.4.2.3. 연기, 모델, 연출 관련 학과/학부2.2.4.2.4. 패션, 뷰티 관련 학과/학부2.2.4.2.5. 무용 관련 학과/학부2.2.4.2.6. 문예창작 관련 학과/학부2.2.4.2.7. 체육 관련 학과/학부
3. 자격증, 면허증 시험에서의 실기4. 운동 실기

1. 개요

실제의 기능이나 기술이라는 뜻이나 시험 용어로 많이 사용된다.

실제로 직장에서 실무(특히 현장)를 할 때 가장 중요하기도 하다.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몸이 나쁘면 말짱 도루묵이다. 현장에서는 사무직들이 생산직들 앞에서 오히려 굽신굽신거리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해당 직무를 직접 해 본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 화학 기계 같은 경우라면 더더욱.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도 크게 2가지 유형이 있는데, 사무실에서 내근을 하는 사람들과 현장에서 외근을 하는 사람들로 나뉘는데, 현장에서 외근하는 공무원들이 사무실에서 내근하는 공무원들보다 직무에 훨씬 더 뛰어난 사람들이 많다. 직접 몸을 굴려가면서 근무를 하게 되면 아무래도 실무 능력이 좋아질 수밖에 없다.

2. 입시에서의 실기

2.1. 예체능 계열 중, 고등학교

가창중, 한울안중, 장목예술중, 나산실용예술중은 실기평가 없이 면접만으로, 삼성생활예술고는 내신성적만으로 선발하고, 광주예중은 실기평가 대신 개인 과제를 준다.

2.2. 대입

2.2.1. 경찰대, 사관학교 체력시험

2.2.2. 수시

2.2.2.1. 전문대
2.2.2.1.1. 음악 관련 학과
2.2.2.1.2. 연기 관련 학과
2.2.2.1.3. 미술 관련 학과
2.2.2.1.4. 문예창작 관련 학과
2.2.2.1.5. 체육 관련 학과
2.2.2.2. 4년제 학교
2.2.2.2.1. 음악 관련 학과
2.2.2.2.2. 연기 관련 학과
2.2.2.2.3. 미술 관련 학과
2.2.2.2.4. 체육 관련 학과

2.2.3. 정시

2.2.3.1. 전문대
2.2.3.1.1. 음악 관련 학과
2.2.3.1.2. 연기 관련 학과
2.2.3.1.3. 미술 관련 학과
2.2.3.1.4. 문예창작 관련 학과
2.2.3.1.5. 체육 관련 학과
2.2.3.2. 4년제 학교
2.2.3.2.1. 음악 관련 학과
2.2.3.2.2. 연기 관련 학과
2.2.3.2.3. 미술 관련 학과
2.2.3.2.4. 체육 관련 학과

2.2.4. 편입

2.2.4.1. 전문대
2.2.4.1.1. 음악 관련 학과/학부
2.2.4.1.2. 미술, 디자인 관련 학과/학부
2.2.4.1.3. 패션, 뷰티 관련 학과/학부
2.2.4.1.4. 연기 및 연출 관련 학과/학부
2.2.4.1.5. 댄스 및 무용 관련 학과/학부
2.2.4.2. 4년제 학교
2.2.4.2.1. 음악 관련 학과/학부
2.2.4.2.2. 미술, 디자인, 사진, 만화 관련 학과/학부
2.2.4.2.3. 연기, 모델, 연출 관련 학과/학부
2.2.4.2.4. 패션, 뷰티 관련 학과/학부
2.2.4.2.5. 무용 관련 학과/학부
2.2.4.2.6. 문예창작 관련 학과/학부
2.2.4.2.7. 체육 관련 학과/학부

3. 자격증, 면허증 시험에서의 실기

자격, 면허 시험에 따라 다르지만 실기 시험은 필기 시험을 합격해야 실기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

전기 화학 기계의 경우 필기보다는 실기가 매우 중시되는 경향이 강한데, 전기&화학&기계의 경우 사무실 근무보다 현장 근무가 압도적으로 많고 직접 몸을 굴려야 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기술 능력이 중시될 수밖에 없다. 당장 전기&화학&기계 관련된 직업들은 해당 자격증들을 보유하고 있는 자들에게 호봉을 더 쳐주기도 한다.(자격증 수당) 즉 회사에서 해당 노동자들의 능력을 인정해 준다는 뜻이다.

하지만 기사 자격증 중 일부는( 전기기사, 정보처리기사, 정보통신기사, 소방설비기사, 건축기사, 토목기사 등) 실기시험이 문제만 주관식으로 바뀐 필답형 필기시험으로만 치르기도 하며, 어떤 기사 자격증은 필답형 + 작업형이 혼합된 형태로 1차는 필기시험으로, 2차는 실제 작업 시험으로 나누어 보는 경우도 있다. 민간자격 중에서는 미용사, 애완동물 미용사 등이 실기를 본다.

면허 시험에서 제일 흔하게 응시하는것은 운전면허 실기일것이다. 이외에 요즘 취미용으로 많이 따는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역시 실기 시험을 본다.

4. 운동 실기

공무원 시험 등에서, 실무에 투입되었을 때 신체 능력이 필요한 직종에 한해 체력 실기 시험을 실시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직렬이 체력 실기 시험을 본다. 기존에는 공사를 막론하고 전국 모든 채용 전형 중에 체력 실기가 있는 것은 공무원 직렬 중 극히 일부였지만, 2024년에 한국철도공사에서 채용 절차를 개편하면서 일부 직렬 한정으로 체력 실기를 도입했다. 물론 이것은 데스크 워크가 아닌 현장에서 직접 일하여 체력이 필요한 직군에 한정되지만, 만에 하나 사무직, 심지어 사기업 채용이나 일반 대입 등으로 체력 실기가 확장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이지만 존재한다. 안 그래도 쌓을 스펙이 많은데 운동까지 신경써야 한다면 취준생과 수험생 입장에서는 당연히 큰 부담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1] 체력검사는 50점 만점으로 총 점수의 5%를 차지하지만, 점수 산정방법에 따르면 합격 턱걸이와 만점의 격차가 크지 않아 과락만 면하면 큰 지장이 없다. 다만 최근 체력시험 반영방식이 변경되어 중요성이 조금 증가했다. [2] 병의 경우는 ACFT(Army Combat Fitness Test)가 있는 카투사를 제외하면 실기가 없다. 부사관 장교는 실기가 있으며, 이중 해군 해병대부사관은 필기 없이 실기와 면접만 본다. 한편 군무원은 실기가 없다. [3] 다만 난이도는 경찰, 소방 등에 비하면 매우 낮다고 한다. 별개로 우정직 9급은 과거 체력 실기가 있었는데 현재 폐지되었다. [4] 사무영업(수송, 무선제어), 토목, 차량, 전기통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