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2:50:01

신형철

<colbgcolor=#F2E5D5><colcolor=#5A758C> 신형철
Shin Hyung-chul
파일:신형철 프로필.png
출생 1976년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평산 신씨
가족 배우자 신샛별(2014년 10월 9일 결혼 ~ 현재)[1]
아들 신기룬(2022년 1월 5일생)[2]
학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3]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 / 석사[4])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 / 박사[5])
종교 무신론자[6]
등단 2005년 문학동네 평론 <당신의 X, 그것은 에티카>
경력 문학동네 편집위원(2007년 5월 ~ 2019년 8월)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2014년 3월 ~ 2022년 8월)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부교수(2022년 9월 ~ 현재)

1. 개요2. 활동3. 저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교수.

2. 활동

1976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 계간 문학동네에 평론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2007년부터 2019년까지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2014.3~2022.8)로 지내면서 비평을 가르치다가 자리를 옮겨, 현재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2022.9~)로 재직하면서 비교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마찬가지로 국문과를 나와 현재 아시아언어문명학부라는 비슷한 과정의 교수로 임용된 서영채 교수를 포함한 기타 동료 교수들과 달리, 국문과나 문창과 이력이 전부라 영문학 연구 실적이 없는 신 씨가 전혀 생뚱맞은 영문과 교수로 임용된 사실은 학내에 꽤 상당한 파문을 일으켰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7]

대중적으로는 탄탄한 독자 팬덤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문단 내에서는 주례사 평론의 대표주자로 평가 받고 있다. 영화 리뷰어 이동진과 유사한 케이스.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에 동명의 교수가 있다.

3. 저서

제목 발간연도
<colbgcolor=#fff,#1f2023> 《몰락의 에티카》 <colbgcolor=#fff,#1f2023> 2008년
《느낌의 공동체》 2011년
《정확한 사랑의 실험》 2014년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2018년
《인생의 역사》 2022년


[1] 1986년생. 배우자 또한 2012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문학평론가이다. [2] 이름은 만해 한용운의 시구 "님만 님이 아니라 기룬(그리운) 것은 다 님이다"에서 따왔다고 한다. [3] 95학번 [4] 석사 학위 논문: 김수영 시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의 의미 연구 [5] 박사 학위 논문: 이상(李箱) 문학의 역사철학적 연구 [6] “나는 인간이 신 없이 종교적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를 생각하는 무신론자인데…(중략)“ - <인생의 역사> 中 [7] 본인의 해명에 따르면, 서울대 인문대 협동과정에 '비교문학 협동과정' 전담 교수로 채용이 된 것이고 이 과정이 대학원 과정인지라 교수도 소속될 수 없었다고 한다. 그 과정에서 TO를 영문과에서 제공한 것이라고. 4:21~5:40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