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매의 이름표
한국어로 고려시대에 성행했던 매사냥에서 매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매의 꽁지나 발목에 걸어두는 매 주인의 이름표/주소패를 의미한다. 지금도 매사냥을 하는 곳에서는 매 발목에 시치미를 달아둔다. 최근에는 전화번호까지 써 놓는다.1.1. 시치미를 떼다
사냥나갔던 매가 주인을 못 찾고 다른 집에 날아드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 시치미를 떼고 자신의 시치미를 붙이는 행위가 있었다고 한다. 그것이 속담화 되어 시치미를 뗀다는 표현이 생긴 것으로, 자신이 했으면서도 안 한 척 하거나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는 행동을 가리킨다.2. 향신료
七味/七味唐辛子(しちみとうがらし)2.1. 개요
일본의 배합 향신료. 일곱 가지 맛과 향이 난다고 해서 시치미[1]라고 한다. 정식 명칭은 七味唐辛子(しちみとうがらし, 시치미 도가라시)이며, 唐辛子(とうがらし, 도가라시)는 일본어로 고추를 뜻한다.2.2. 재료
제조 레시피에 따라 재료가 7가지를 넘어 10가지까지 들어간다. 보통 고춧가루를 베이스로 하여 진피, 흑임자/ 참깨, 파래/ 김, 산초/ 후추, 차조기, 생강, 소금을 넣어 만든다. 진피는 감귤류이기만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유자를 최고로 치며, 원가 절감을 위해 오렌지를 쓰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양귀비 씨나 햄프씨드( 대마씨)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물론 환각 성분을 완전히 없앤 것만 까다롭게 검사해서 판매하므로 안심해도 된다.한편 一味唐辛子(이치미 도가라시/이치미) 또는 토가라시는 고추 단일 재료만을 갈아서 만든 고춧가루이다. 시치미와 이치미가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영문으로는 七(시치)의 다른 발음인 '나나'를 사용해서 NANAMI로 표기하기도 한다. #
2.3. 맛
여러 가지 재료를 섞었으므로 그 맛을 정의하긴 어렵지만, 일단 고춧가루가 주인공격이기 때문에 매운맛이 주가 된다. 거기에 여러가지가 섞여 라면 스프처럼 매콤하면서도 고소하고 아주 약한 짠맛과 신맛이 있다. 이 때문에 시치미를 조미료로 보기도 한다.2.4. 용도
보통 우동이나 돈부리(특히 규동과 오야코동) 등을 먹을 때 사용된다. 일식집에서 비치된 뚜껑이 빨간색인 작은 통에 들어간 깨 섞인 고춧가루처럼 생긴 것이 바로 시치미다.이 밖에도 소바, 라멘, 소면 같은 면류와 야키메시, 돈지루(일본식 돼지고기 된장국), 유도후( 교토식 두부 요리), 미즈타키 등 맛이 옅은 음식이나 기름기가 많은 음식에 강한 향과 매콤한 맛을 더하고 싶을 경우 사용한다.
그 외 어묵탕이나 미소시루, 야키토리에 뿌려먹기도 하고 마이너하게 계란 프라이, 심지어는 미고렝에도 뿌려먹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돈코츠 라멘에서 나는 돼지 냄새를 잡는 데도 좋다. 매운맛과 짠맛 등 여러가지 맛을 조금씩 내기 때문에 웬만한 요리에 무난하게 시너지를 낸다.
2.5. 여담
한국에서도 팔지만 기존의 고춧가루가 있어서 일식집 외에는 수요가 많지 않다.[2] 그래서 작은 통을 사도 모두 사용하는 데 한참이 걸린다.사용처가 곤란하다면 고춧가루가 들어갈 만한 요리에 넣어보자. 사실 구성 성분이 고춧가루, 깨, 흑임자, 후추, 생강 등 익숙한 향신료들이고 크게 호불호가 갈리는 맛이 아니다. 그래서 뿌려먹을 만한 음식은 많다. 짜장면과도 궁합이 나쁘지 않으며, 튀김류에 뿌려도 좋다.
한국의 고춧가루와 외관이 비슷해서 간혹가다 국내의 우동집에 시치미가 아니라 고춧가루를 비치해놓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일본에서 고춧가루를 그렇게 많이 생산하지 않기 때문인지 일본 마트에서 파는 시치미 상당수가 성분표를 보면 수입한 한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