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3:33:12

수영공항

수영비행장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해국제공항
,
,
,
,
,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수도권 <colbgcolor=#eee,#555><colcolor=#000,#fff>
국제
인천 · 김포(서울)
충청권
국제
청주
영남권
국제
김해(부산) · 대구
국내
울산 · 포항경주 · 사천
호남권
국제
무안×(~25.04.18)
국내
광주 · 여수 · 군산
강원권
국제
양양
국내
원주(횡성)
제주권
국제
제주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성무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nopad> 공사 중인 공항 울릉
<nopad>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경북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nopad>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사라진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각주 ▼
군(軍) 소유 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 폐쇄됨
}}}}}}}}} ||
수영공항
Suyŏng Airport
水營空港
파일:attachment/수영공항/Example2.jpg
공항코드
ICAO RKPP
IATA PSN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개항
1940년
폐항
1996년 2월 16일
활주로
14/32 (2,012m × 45m)
소유기관
대한민국 공군
운영기관
한국공항공사

1. 개요2. 역사3. 여담
파일:attachment/수영공항/Example.jpg 파일:attachment/수영공항/Example3.jpg
부산국제공항 입구 활주로. 좌측에는 수영강이 보인다.
활주로 아래로 보이는 모래밭이 수영해수욕장이었다.
파일:attachment/수영공항/Example4.jpg 파일:attachment/수영공항/Example5.jpg
있던 자리에 세워진 현재 마린시티 센텀시티 전경.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었던 공항. 김해국제공항의 전신이다.

2. 역사

일제강점기였던 1940년 일본군 육군 비행장이 동래군 남면 재송리(지금의 우동에서 재송동) 일대에 37만여 규모로 지어졌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UN군 구호물자 수송 및 공군 주력 비행장이 되었다가 직후 교통부에서 인수하였다.

1958년 1월 30일, 군용 비행장으로 썼던 시설을 개·보수해 8월 30일에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항공기가 취항하는 부산비행장으로 개항하였다.[1]

1963년 9월 3일 ' 부산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

부지 면적은 1,094,133제곱미터였고 활주로 2,012미터에 폭이 45미터였는데, 당시 길이와 강도로서 727까지 취항이 가능하였으나 계기착륙장치 시설이 없어 악천후에는 이륙 착륙이 불가능했다.

일일 수용능력이 2,400명 정도로 규모가 작아 점점 여객과 화물을 감당하기 곤란해 수영공항의 민간공항 시설을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2]에 위치한 공군 비행장으로 이전하여 1976년 8월 1일 김해국제공항이 개항하였다. 이후 수영공항은 군공항으로만 이용되다가, 1987년 6월 30일부터는 아예 활주로도 폐쇄되었으며 #, 이후 각종 군부대의 주둔지로만 쓰이다가 1996년 2월 16일 완전히 폐항한다.

군공항 시절인 1984년 5월 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방한 중 이 곳을 통해 부산을 방문하여 근로자와 농어민과 만남 행사를 가졌다. # 교황이 땅에 키스한 후 온천이 발견되고 센텀시티 개발이 성공했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 이때 가톨릭 신자로 부산에 살고 있던 변호사 문재인이 당시 영도구에 살고 있던 어머니와 교황을 보러 찾았다고 한다. #

1996년 4월 8일 부산광역시와 대한민국 육군 본부간 국유재산 매매계약 체결로 부산시에서 인수하였고 7월 31일 건설교통부에 도시기본계획변경 승인을 신청하여 12월 18일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였다.

과거 수영비행장 부지에 제69보병사단, 제53보병사단 공병대대, 부산소방재난본부 119항공대가 주둔해 있었다.

파일:2000년 센텀시티.jpg
2000년 5월 12일에 찍힌 모습이다. 공항 터에 정보단지가 한창 공사 중이다. 참고로 해당 일자에 옛 공항 부지에 개발 중이던 부산정보단지 명칭을 센텀시티로 변경하였다. 가운데 오른쪽의 연회색 큰 건물은 먼저 착공해서 이 당시 마무리 공사 중이던 BEXCO이고 왼쪽 구석에 있는 다리는 당시 공사 중이었던 광안대교이다. 지금은 아예 공항의 흔적조차 사라졌다.[3]

3. 여담


[1] 최초의 국제공항은 울산비행장, 현 울산공항이다. [2] 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1978년 2월 15일 북구로 편입됐고, 이후 1989년 북구에서 분구된 강서구에 편입됐다. [3] 터미널 건물은 2001년 철거되었다. [4] 참고로 올림픽이라는 이름은 1988 서울 올림픽 요트 경기가 이곳에서 개최된 것에서 유래되었다. [5] 올림픽교차로 주변에 있는 현대자동차 대리점은 수비대리점으로 흔적이 남아있다. [6] 750m라는 것을 봐서는, 올림픽교차로에서 올림픽동산삼거리까지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