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23:56:36

우는토끼

새앙토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파니포니 대쉬의 등장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울보토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우는토끼(새앙토끼, 피카)
Pika
파일:Ochotona princeps.jpg
학명 Ochotona
Link, 1795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토끼목 Lagomorpha
우는토끼과 Ochotonidae
우는토끼속 Ochotona
하위 분류
[ 펼치기 · 접기 ]
산악우는토끼아속 Conothoa
알리에나우로아아속 Alienauroa
관목초원지대우는토끼아속 Ochotona
북방우는토끼아속 Pika

1. 개요2. 특징
2.1. 울음소리
3. 분포4. 생태5. 하위종
5.1. 북방우는토끼아속5.2. 관목초원지대우는토끼아속5.3. 산악우는토끼아속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pika1.jpg
사진은 고원우는토끼(Plateau pika, Ochotona curzoniae)
우는토끼는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북서부에 서식하는 포유동물이다.

바위가 많은 경사 지대에 주로 서식하며 다양한 풀, 꽃 및 어린 줄기를 먹이로 삼는다. 가을에는 겨울을 나기 위해 건초를 만들어 저장한다. 위험을 느끼면 고음의 소리를 내어 경보를 울린다.

설치류처럼 생겼지만 토끼목(Lagomorpha)에 속하는 포유동물로서 우는토끼과(Ochotonidae) 아래에 우는토끼속(Ochotona) 하나만 현존하고 있으며 해당 속에 37종의 우는토끼가 포함되어 있다.

우는토끼를 뜻하는 'pika'라는 이름은 퉁구스어 'piika'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명으로 쓰이는 Ochotona는 우는토끼를 뜻하는 몽골어 'оготно'에서 유래했다.

한국에서는 우는토끼, 새앙토끼, 생토끼[1], 쥐토끼[2] 등으로 부른다.

2. 특징

뭉뚝하고 작은 머리에 짧고 둥근 귀가 달려있으며 둥그스름한 몸에 짧은 네 발을 가졌고 털은 길고 촘촘하게 나있으며 부드럽고 가늘다. 발바닥은 발볼록살(paw pad)이 없고 털로 덮여있으며, 꼬리는 털 속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광범위한 서식 환경으로 인해 크기와 색상이 다양하다. 몸길이는 약 15~23 cm, 무게는 종에 따라 120~350 g 정도 차이가 있다.

다른 토끼목 동물처럼 앞니로 갉아 먹는다. 송곳니가 없고 어금니 갯수는 토끼보다 적다. 풀, 잎이 넓은 초본, 사초과 식물, 관목 잔가지, 이끼 등 다양한 식물을 먹이로 삼는다. 섭식 후, 초록색 찌꺼기를 먼저 배출하여 다시 섭취한 후에 딱딱한 대변 알갱이를 몸 밖으로 내보낸다.

암석 지대에 서식하는 우는토끼는 5마리 미만의 새끼를 낳는 반면, 굴을 파는 종은 보다 많은 새끼를 낳고 자주 번식하는 경향이 있다. 새끼는 25 ~ 3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서 태어난다.

우는토끼의 평균 수명은 각 종마다 차이가 있지만 7년 내외이고, 성별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는토끼의 나이는 아래턱의 골막골에 있는 접착선의 갯수를 보고 파악한다.

2.1. 울음소리

우는토끼의 울음소리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무리의 상호 인식, 천적 경보, 영역 방어 등 주변 상황에 따른 소리는 짧고 빠르며, 번식기가 오는 봄에는 조금 더 길게 끄는 소리를 낸다.

3. 분포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한냉 지대가 원산지이며, 현재는 동유럽,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북서부에 걸쳐 서식한다.
비록 현존하는 속은 전술했듯 Ochotona 속 하나 뿐이나, 비교적 최근인 로마 공화국 시절까지만 해도 별도의 속인 옛우는토끼(Prolagus)[3] 속으로 분류되는 우는토끼가 있었다. Prolagus 속은 마이오세부터 플라이오세 동안 유럽 일대에 퍼져살았고 메시나절 염분 위기를 통해 북아프리카에도 퍼져살았지만, 플라이스토세 초중반의 P. calpensis를 마지막으로 대륙에서는 자취를 감추었고 플라이오세 중에 몇몇 종들이 오늘날의 지중해의 섬들이 되는 곳으로 확산되어 조금 더 오래 살아남았다. 이 중 사르데냐 코르시카 및 이웃한 섬들에서만 살았던 사르데냐우는토끼(Prolagus sardus)는 1만년 전에 인간이 들어오고 나서도 살아남아 이 속의 동물 중 유일하게 역사 시대까지도 살아남는데 성공하였으나, 농업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외래 포식동물 및 생태학적 경쟁종의 도입 및 이들을 따라 유입된 질병 등으로 인해 대략 로마 공화국 시기인 기원전 348년~서기 284년 사이에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로도 발견 기록 자체는 계속 있어왔고 비교적 근래인 1774년까지도 소식이 있었지만, 고고학적 근거를 보아 이는 가능성이 극히 낮으며 집쥐 등의 다른 종과 혼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4. 생태

파일:attachment/pika2.jpg

대부분의 종은 바위가 많은 산비탈에 살고 있으며, 일부는 바위 틈에 굴을 만들어 서식한다. 초원지대에 서식하는 종은 굴을 파서 생활한다. 유라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우는토끼는 종종 되새와 굴을 공유한다.

새벽 또는 황혼 시간대에 주로 활동하며 낮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고지대에 서식하는 종은 낮 시간대에 보다 활발하게 움직인다.

겨울잠을 자지 않기 때문에 여름과 가을에 걸쳐 겨울을 나기 위한 식량을 모으며 생활하는데, 여름에 비하여 가을 기간의 채집 활동량이 많다.

채집한 먹이는 햇빛에 말려 겨울을 대비한 건초로 만든다. 이러한 습성은 고지대에 서식하는 종에게 더 두드러진다. 암석지대에 서식하는 종은 건초를 자신의 둥지로 곧장 가져가며, 다른 개체가 모은 건초를 훔치는 경우도 있다. # 초원지대에 서식하는 종은 건초를 동료와 공유하기도 한다.

유라시아 지역의 우는토끼는 일반적으로 무리를 지어 살면서 식량 채집과 천적 감시 등의 역할을 분담하며, 영역 방어를 함께한다. 북아메리카 서식종(O. Princeps, O. collaris)은 번식기를 제외하면 홀로 생활한다.

히말라야 산악 지대에서 발견되는 큰귀우는토끼(Ochotona macrotis)는 6,000 m 이상의 높이에서도 서식한다.

알래스카에 서식하는 목무늬우는토끼(Ochotona collaris)는 겨울을 나기 위해 동물의 사체, 그 중에서도 죽은 새의 뇌를 영양 공급원으로 삼는다. 둥지에 저장한 식량을 이끼류로 덮어놓는데, 이끼의 강한 독성이 방부제 역할을 하여 최대한의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동물의 배설물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마고원에 서식하는 백암쥐토끼(Ochotona hyperborea coreana)는 북한 천연기념물 제364호로 지정되어 있다.

우는토끼는 저온에 적응한 까닭에 25.5°C 이상의 온도에 노출되면 그늘진 지역에서 직사광선을 피하며 시간을 보낸다. 서식지 주변 온도가 1°C 증가할 때마다 먹이를 구하는 시간의 3%를 잃는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일부 개체군은 기존 서식 범위보다 더 높은 고도로 이동했다.

천적으로는 마눌, 티베트모래여우, 붉은여우, 맹금류, 족제비, 코요테, 밥캣 등이 있다.

5. 하위종

5.1. 북방우는토끼아속

학명 분포 아종 IUCN 적색 목록
알타이우는토끼
(Ochotona alpina)
카자흐스탄 동부 극일부
몽골
러시아 남부
중국 서부, 북동부
Ochotona alpina alpina
Ochotona alpina changaica
Ochotona alpina cinereofusca
Ochotona alpina sushkini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은빛우는토끼
(Ochotona argentata)
중국 허란산맥 위기종
(endangered species)
목무늬우는토끼
(Ochotona collaris)
미국 알래스카 중남부
캐나다 서부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호프만우는토끼
(Ochotona hoffmanni)
몽골 북부 위기종
(endangered species)
시베리아우는토끼
(Ochotona hyperborea)
러시아 우랄산맥
몽골
만주
한국 북부
일본 북부
Ochotona hyperborea cinereoflava
Ochotona hyperborea coreana
Ochotona hyperborea ferruginea
Ochotona hyperborea mantchurica
Ochotona hyperborea normalis
Ochotona hyperborea uralesis
Ochotona hyperborea yesoensis
Ochotona hyperborea yoshikurai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팔라스우는토끼
(Ochotona pallasi)
몽골 서부 Ochotona pallasi pallasi
Ochotona pallasi pricei
Ochotona pallasi sunidica
Ochotona argentata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아메리카우는토끼
(Ochotona princeps)
북아메리카 서부 Ochotona princeps princeps
Ochotona princeps fenisex
Ochotona princeps saxatilis
Ochotona princeps schisticeps
Ochotona princeps uinta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투루한우는토끼
(Ochotona turuchanensis)
러시아 중앙 시베리아 고원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5.2. 관목초원지대우는토끼아속

학명 분포 아종 IUCN 적색 목록
잿빛우는토끼
(Ochotona cansus)
중국 중부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고원우는토끼
(Ochotona curzoniae)
티베트 고원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다우리아우는토끼
(Ochotona dauurica)
러시아 남부
몽골
중국 동북부
Ochotona dauurica annectens
Ochotona dauurica bedfordi
Ochotona dauurica dauurica
Ochotona dauurica mursavi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친링우는토끼
(Ochotona huangensis)
중앙아시아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누브라우는토끼
(Ochotona nubrica)
부탄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초원우는토끼
(Ochotona pusilla)
중앙아시아
러시아 남부
카자흐스탄 북부
Ochotona pusilla angustifrons
Ochotona pusilla pusilla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아프가니스탄우는토끼
(Ochotona rufescens)
아프가니스탄
아르메니아
이란
파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Ochotona rufescens rufescens
Ochotona rufescens regina
Ochotona rufescens shukurovoi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무핑우는토끼
(Ochotona thibetana)
네팔
중국
인도
부탄
Ochotona thibetana nangquenica
Ochotona thibetana osgoodi
Ochotona thibetana sacraria
Ochotona thibetana sikimaria
Ochotona thibetana thibetana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토마스우는토끼
(Ochotona thomasi)
중국 칭하이성
간쑤성
쓰촨성 북서부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5.3. 산악우는토끼아속

학명 분포 아종 IUCN 적색 목록
중국붉은우는토끼
(Ochotona erythrotis)
중국 간쑤성
칭하이성
쓰촨성
윈난성
신장위구르자치구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포레스트우는토끼
(Ochotona forresti)
부탄
중국
인도
미얀마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까오리꽁우는토끼
(Ochotona gaoligongensis)
중국
미얀마
글로버우는토끼
(Ochotona gloveri)
중국 칭하이성 남서부
쓰촨성 서부
윈난성 북서부
티베트 북동부
Ochotona gloveri brookei
Ochotona gloveri calloceps
Ochotona gloveri gloveri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히말라야우는토끼
(Ochotona himalayana)
티베트
네팔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일리우는토끼
(Ochotona iliensis)
중국 톈산산맥 위기종
(endangered species)
코즐로프우는토끼
(Ochotona koslowi)
중국 쿤룬산맥 북부 위기종
(endangered species)
라다크우는토끼
(Ochotona ladacensis)
중국
인도
파키스탄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큰귀우는토끼
(Ochotona macrotis)
아프가니스탄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물리우는토끼
(Ochotona muliensis)
중국 중부
검은우는토끼
(Ochotona nigritia)
중국 윈난성
로일우는토끼
(Ochotona roylei)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Ochotona roylei nepalensis
Ochotona roylei himalayana
Ochotona roylei wardi
Ochotona roylei roylei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투르케스탄붉은우는토끼
(Ochotona rutila)
카자흐스탄
키르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최소관심종
(least-concern species)

[1] 새앙쥐/ 생쥐와 어원이 같다. '새앙'은 생강의 옛말이고, 이것이 줄어서 '생'이 되었다. 생강만큼 작은 토끼라는 뜻. [2] 국내 방송된 동물의 왕국에서는 '쥐토끼'로 지칭했다. 북한에서 우는토끼를 가리키는 공식 명칭이기도 하다. [3] 태고의 토끼라는 뜻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