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8:20:35

삼성전자/캠퍼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성전자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사업
DX부문 <colbgcolor=#fff,#1c1d1f> VD사업부 | DA사업부 | MX사업부 | 의료기기사업부 | 네트워크사업부
DS부문 메모리사업부 | S.LSI사업부 | 파운드리사업부
SDC부문 OLED사업부 | 이매진
HARMAN부문 BANG & OLUFSEN | Bowers & Wilkins | Infinity | JBL | 마크 레빈슨 | REVEL | 하만카돈 | AKG | ARCAM | 렉시콘 | AMX | BSS | Crown | dbx | Martin | Soundcraft | AIR | 플럭스 | roon
서비스
매장 삼성닷컴 | 삼성스토어 | 삼성 킹스크로스 | 갤럭시 하라주쿠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
Samsung Care+ | Galaxy To Go | My 갤럭시 클럽 | 갤럭시 트레이드인 | 갤럭시 아카데미
계열사
자회사 세메스 | 삼성메디슨 | 하만 | 삼성전자로지텍 | 삼성전자판매 | 삼성전자서비스 | 삼성전자 재팬 | 플런티 | 셀비 | 스마트싱스 | 콰이어트사이드 | 프린터온 | 프록시멀데이터 | 심프레스 | 루프페이(삼성페이) |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 조이언트 | 애드기어 | 데이코 | 비브랩스 | 뉴넷 캐나다 | 스테코 | 미래로시스템 | 도우인시스 | 지에프 | 희망별숲 | 에스유머티리얼스 | 레인보우로보틱스
합작사 에스유머티리얼즈 | 스테코 | TSST
교육 삼성전자공과대학교 | 삼성종합기술원 | 삼성디자인교육원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 ||

1. 개요2. 상세3. 대한민국
3.1. 삼성디지털시티3.2. 삼성타운3.3. 나노 시티 (기흥)3.4. 나노 시티 (화성)3.5. 나노 시티 (온양)3.6. 스마트 시티 (구미)3.7. 그린 시티 (광주)3.8. 나노 시티 (평택)3.9. 나노 시티 (용인 / 예정)3.10. 서울 R&D 캠퍼스
3.10.1. Samsung Research3.10.2. 삼성 디자인 경영센터
3.11. 삼성전자 인재개발원3.12. SADI( 삼성디자인교육원)
4. 미국
4.1. Samsung Research America Mountain View Campus

[clearfix]

1. 개요

삼성전자의 사업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기재하는 문서.

2. 상세

삼성전자는 전세계 총 74개국에 생산거점, 판매거점, 디자인센터, 연구소 등 232개의 캠퍼스를 갖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15개 지역에 지역별 총괄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미주, 유럽ㆍCIS, 중동ㆍ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서는 생산, 판매, 연구활동 등을 담당하는 200개의 비상장 종속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미주에는 TV, HHP 등 Set제품의 미국 판매를 담당하는 SEA(New Jersey, USA), TV 생산을 담당하는 SII(California, USA), 반도체ㆍDP판매를 담당하는 SSI(California, USA), 반도체 생산을 담당하는 SAS(Texas, USA), Set제품 복합 생산법인 SEDA(Brazil), 전장부품사업 등을 담당하는 Harman(Connecticut, USA) 등을 포함하여 총 46개의 판매ㆍ생산 등을 담당하는 법인이 있다.

유럽ㆍCIS에는 SEUK(UK), SEG(Germany), SEF(France), SEI(Italy), SERC(Russia)등 Set제품 판매법인과 SEH(Hungary), SERK(Russia) 등 TV 생산법인, 가전제품 생산법인 SEPM(Poland) 등을 포함하여 총 74개의 법인이 운영되고 있다.

중동ㆍ아프리카에는 SGE(UAE), SSA(South Africa) 등 Set제품 판매법인과 SEEG(Egypt), SSAP(South Africa) 등 TV 생산법인을 포함한 총 20개 법인이 운영되고 있다.

아시아(중국 제외)에는 SESP(Singapore), SEAU(Australia), SEPCO(Philippines), SME(Malaysia) 등 판매법인과, HHP 등 생산법인 SEVㆍSEVT(Vietnam), TV 등 생산법인 SEHC(Vietnam), DP 생산법인 SDV(Vietnam), 복합 생산법인 SIEL(India) 등을 포함한 총 30개의 법인이 운영되고 있다.

중국에는 SCIC(Beijing), SEHK(Hong Kong) 등 Set제품 판매법인과 SSS(Shanghai), SSCX(Xian) 등 반도체ㆍDP 판매법인, SSEC(Suzhou) 등 Set제품 생산법인, SCS(Xian) 등 반도체 생산법인을 포함하여 총 30개의 법인이 운영되고 있다.

3. 대한민국

삼성전자는 자사의 “생산 현장”을 캠퍼스 라고 부른다. 삼성닷컴에서 본사/국내 사업장을 참고할 수 있다. #

3.1. 삼성디지털시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성디지털시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삼성타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성타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나노 시티 (기흥)

파일:external/www.samsung.com/img_Locations_popup_01.gif
기흥캠퍼스(삼성 나노시티).[1] 정형돈이 일했던 직장이 바로 여기라고 한다.[2]

2024년에 NRD-K(New Research and Development-Kiheung)가 신축 단계를 밟았다. 울타리 너머로 야구장이 있어, 점심 먹은 근로자들은 사회인 야구단(삼성)의 훈련 및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포세카 식당 및 매점이 울타리 내에 입점했는데, 식당은 6,930원에 한 끼를 제공한다.

2024년 기준 북서쪽 인재개발원 근처에 서천역(동탄인덕원선)이 착공했다.

용인시장을 맡고 있는 이상일(정치인) 인터뷰(이현웅 아나운서)

3.4. 나노 시티 (화성)

파일:2013012907541546908_1.jpg
화성캠퍼스(화성 나노시티). 주로 반도체를 제작한다.

파일:화성 나노시티 H2.jpg
화성캠퍼스(화성 나노시티 H2). EUV 공정과 함께 메모리를 생산한다.

이 화성 나노시티 사업장은 기공식 당시 희대의 해프닝으로도 유명하다. 2018년 2월 23일 EUV 생산라인 기공식이 열렸는데, 행사에는 삼성전자 디에스(DS)부문 사장 김기남을 비롯해 삼성전자 시스템엘에스아이(LSI)사업부 사장 강인엽, 파운드리 사업부 사장 정은승, 국회의원(화성시 병) 권칠승, 화성시 부시장 황성태 등이 참석했다. 기공식의 마지막 순서는 ‘화성 EUV라인 기공식’이라고 쓰여진 대형 현수막을 펼치는 행사였다. 그런데 이 현수막의 위아래가 바뀐 채 펼쳐졌다. 당시 영상 삼성전자 측에서는 행사 대행업체의 실수로 빚어진 해프닝이라고 해명했다. 행사 담당자는 이후 책임을 물어 해고되었다는 카더라 통신도 돌았는데, 이에 대해서 삼성전자 측은 해고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 그리고 몇년 뒤 충주시 유튜브에서 이걸 그대로 패러디했다. #

2024년 기준 동탄인덕원선 나노시티역이 북서쪽 인근에 착공했고 동탄 도시철도/103정거장이 착공예정이다.

3.5. 나노 시티 (온양)

파일:EMB00000ea45261[201002281940110].gif
온양캠퍼스(삼성 나노시티)[3]. 정확히는 온양이 아닌 아산시 배방읍에 위치한다. 화성사업장과 같이 반도체를 취급한다.

3.6. 스마트 시티 (구미)

파일:attachment/gumi1.jpg
파일:attachment/gumi2.jpg
구미캠퍼스(구미 스마트시티).[4] 1990년대부터 이동통신기기, 즉 휴대폰을 만드는 사업장으로 유명했다. 제품 불량에 격노한 이건희의 지시로 무려 15만대의 애니콜에 직접 망치질을 하고 이를 한방에 불태워버린 일명 애니콜 화형식이 바로 이곳에서 벌어졌다.

현재도 주로 스마트폰을 취급하며, 수원과 광주와 더불어 완제품을 취급하는 곳이라고 한다. 해외 출시된 삼성 스마트폰의 수리를 비롯한 관련 업무는 오직 여기서만 취급한다. 제1사업장은 네트워크 사업부에서 제2사업장은 무선통신사업부에서 사용한다.

2사업장에서는 대한민국과 해외 시장에서 유통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5]이나 태블릿은 여기서 생산하며 연구 시설도 수원 캠퍼스와 구미 캠퍼스가 같이 한다. 1사업장에서는 기지국 설비 생산과 내선 통신 생산을 담당하며, 일부 사업 파트는 수원으로 이전했지만 여전히 구미 사업장에 남아있다.

이외에도 내수용 생산[6]을 위한 국가별·지역별 공장이 있어서 해당 지역 내수용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 공장에서 생산한다. 인도와 인도네시아 내수용은 인도공장에서, 북아메리카 지역 내수용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공장에서 생산한다. 중국 내수용은 중국 광둥성 후이저우에서 생산을 하며 이외는 전부 베트남 공장 생산이다.

3.7. 그린 시티 (광주)

파일:NISI20101011_0003529398.jpg
광주캠퍼스[7]. 1990년에 먼저 자동판매기 공장으로 시작해 커스텀히터, 진공청소기, 에어컨, 쇼케이스 등으로 생산영역을 넓혀 1999년에는 냉장고 생산라인도 이전되어 백색 가전제품을 주로 취급한다고 한다. 상술했듯 완제품을 취급한다. 1, 2캠퍼스는 하남산단(광산구 오선동), 3캠퍼스는 첨단지구(북구 오룡동)에 있다.

3.8. 나노 시티 (평택)

파일:삼성전자 평택캠퍼스.jpg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고덕국제신도시에 건설중인 평택캠퍼스.[8] 메모리 반도체[9]를 만든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공장으로 투자 금액이 1라인 건설에 32조원 정도를 투자했고 2라인은 34조원이 들어갔으며 3라인에는 40~50조원의 금액이 투자되었다. 현재 평택 삼성에 투입될 자금은 총 180조에 달한다. 1,2라인 완성이후 3라인 양산 및 셋업 진행중이며 6라인 공장까지는 확정적으로 계획되어 있다. 2라인에는 파운드리 라인인 S5가 들어서게 되었다. 어마어마한 규모 때문인지 평택제천고속도로나 1호선, 경부선을 지나가다 보게 되면 어마어마하고 무시무시한 공사 현장을 볼 수 있다.[10] 특히 평택제천고속도로를 지나다 보면 엄청난 수의 타워크레인이 서 있는 모습을 보게 되는데, 야경이 아주 절정이다.

한편 인근 평택지제역은 이 캠퍼스를 지으며 낸 부담금으로 지었다. 즉 해당 역의 건설 원인이 바로 이곳.

3.9. 나노 시티 (용인 / 예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
,
,
,
,
,

윤석열 정부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에 세계 최대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했고, 삼성전자는 20년 동안 30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물론 추가 투자는 타 사업장에서 나올 수도 있고, 남사읍 캠퍼스 대신 다른 곳으로 갈 가능성도 낮지 않지만 용인에 투자하기로 잠정적으로 결정했다.

3.10. 서울 R&D 캠퍼스

파일:samsung-sec-seoul-rnd-campus-office.jpg

서울 R&D 캠퍼스(서울시 서초구 우면동 소재) 선행 연구 및 디자인 조직이 입주해있다.

이건희의 신경영 선언, 디자인 혁신 선언, 밀라노 선언을 잇는 삼성전자 디자인의 심장부.

삼성 미래 핵심역량 강화의 핵심 기능소

3.10.1. Samsung Research

Samsung Research는 "Shape the Future with Innovation and 1ntelligence"라는 비전 아래, 삼성전자 제품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미래 준비를 위한 신성장 동력 발굴 및 선행기술 확보를 목표로 활발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AI, Data Intelligence, Intelligent Machine, 차세대 통신/미디어, Tizen, Security 등, 특히 AI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Life style 구현을 위해 신규 유망 분야로 연구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누구보다 빠른 혁신기술 확보를 위해 전세계 12개국 14개의 해외연구소와 7개의 글로벌AI센터와 함께 글로벌 R&D 역량을 확대하고, 나아가 세계 최고 기술을 가진 글로벌 우수 대학∙연구소∙기업들과 적극적인 Open Innovation을 통해 기술 협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TV, 가전, 모바일 등 다양한 삼성전자 사업군의 연구개발 체계 혁신을 주도하여 글로벌 R&D 시너지를 강화하고, 기술 표준화 및 특허 확보, 오픈소스 활동 등을 통해 삼성전자 글로벌 기술리더십의 위상을 견고히 하고 있다.

3.10.2. 삼성 디자인 경영센터

디자인경영센터는 2001년 CEO 직속조직으로 출범해 전사 차원의 디자인 경영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디자인 부문의 대표 조직이다. ‘사용자에서 출발하여 내일을 담아내는 디자인’이라는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전사 디자인의 전략을 수립하고, IoT · AI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선행 디자인 기획, 사업부간 시너지 제고 등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문화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혁신을 통해 융복합 역량을 갖춘 디자인 인력을 양성한다. 전략, 제품, UX, 그래픽, 소재, 컬러,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들이 모여 삼성전자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만들며, 서울 외 샌프란시스코, 런던, 베이징, 델리, 도쿄, 상파울루 등 6개 해외 디자인 거점과의 소통을 담당하며 각 지역에 특화된 디자인과 인사이트를 발굴해 혁신적인 디자인을 개발한다.

3.11. 삼성전자 인재개발원

숙소동, 교육동, 오디토리움으로 구성된 삼성전자의 교육장이다. 실제로 삼성전자 임직원이 오기보다는 외부행사를 많이 대관해주기 때문에 다른 삼성 사업장에 비하면 외부인들의 출입이 잦은 편이다. 여느 삼성 사업장처럼 들어갈 때에는 미리 반입할 전자제품의 시리얼 넘버를 작성해서 보내야 하며, 카메라 렌즈는 모두 봉인처리 당한다. 금속탐지기와 소지품 X-Ray[11]도 당연한 통과 의례. 내부에서 사진 촬영을 하면 바로 삼성산 코렁탕과 함께 장비를 이용한 하드 포맷을 당하므로 조심하도록 하자.

교육동의 강의실들의 이름은 모두 한국 혹은 외국의 위인들과 햅틱, 지펠, 엑시노스와 같은 삼성의 브랜드 이름으로 지어졌다. 숙소동 인테리어는 상당한편. 2인 1실이 기준이며, 호텔과도 같은 방 내부 구조다. 다만 숙소동 안에서는 지정된 장비를 제외한 모든 네트워크 연결이 안된다. 유선 인터넷은 당연히 고정 IP일 것이고, 무선 인터넷은 LTE와 같은 망은 되지만 이를 핫스팟이나 테더링해서 얻는 와이파이 같은 경우에는 방마다 있는 장치를 이용해 지정 장치 외의 무선 신호는 차단된다.

3.12. SADI( 삼성디자인교육원)

파일:external/www.thebareun.co.kr/696_1(0).jpg
삼성디자인교육원 강남캠퍼스

Samsung Art&Design Institute

"디자인이 앞으로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학벌에 좌우되지 않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설립하라"는 이건희의 신경영, 디자인 혁명 선언에 의해 1995년 설립된 삼성전자 산하 교육기관이다. #

4. 미국

4.1. Samsung Research America Mountain View Campus

파일:Samsung Semiconductor America Headquarters.jpg
삼성전자 반도체 미주총괄.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산호세(미국)에 위치하고 있다. 넓이는 약 10만 2천 제곱미터이다. Inside Samsung Semiconductor's new headquarters (pictures) 참고.

아울러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는 Samsung Research America가 위치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0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0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자세히 보면 저 멀리 뒤로 수원사업장이 보인다. 기흥읍에 위치해 기흥사업장인데, 기흥읍이 기흥구로 전환될 당시 용구구나 구흥(駒興)구로 바뀔뻔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삼성전자의 요청으로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유는 기흥을 풀어쓰면 그릇(器)이 흥(興)한다는 뜻. 그릇과 반도체는 똑같이 이나 모래를 주원료로 사용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반도체 공장에 딱 맞는 지명...이긴 한데 사실 기흥이란 지명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일제가 만든 것이다. 원래 기곡면, 구흥면이었던 것을 통합하면서 기곡의 '기'와 구흥의 '흥'을 합친 것. [2] 우리동네 예체능 족구편 2화에서 정형돈이 직접 밝혔다. 그리고 당시 같이 근무하던 직원들이 현재도 있다. [3] 디스플레이 시티는 이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탕정면의 삼성디스플레이 사업장을 말한다. [4] 첫 번째 사진은 1공단에 위치한 제1사업장, 두 번째 사진은 3공단에 위치한 제2사업장의 모습이다. [5] S 시리즈 [6] 이를테면 한국에서만 발매된 갤럭시 노트3 Neo SD800 탑재 모델이나 아예 한국 전용인 갤럭시 폴더. [7] 광주 그린시티, 구 광주삼성전자(1989년부터 삼성전자의 자판기사업부가 분리되어 '광주전자'로 출범하여 1999년부터 광주삼성전자로 사명을 변경한 뒤 2010년부터 삼성전자에 합병됨.) [8] 고덕면 삼성로 114, 사진 속 왼쪽 건물은 1라인, 오른쪽 공사 중인게 2라인이다. [9] P1LINE 기준 플래시 메모리 DRAM [10] 참고로 저 공장 1개의 규모가 축구장 25개 규모다. [11] 김해공항에 있는 것과 같은 기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