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6:29

삼교천 전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흥화진 전투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2차 여요전쟁에서의 흥화진 전투에 대한 내용은 흥화진 전투(101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670000,#FFCECE>전쟁·정벌 전투 교전세력
<colbgcolor=#fedc89,#444444> 후삼국​통일전쟁
조물성 전투 후백제
대야성 전투 후백제
공산 전투 후백제
나주 공방전 후백제
삼년산성 전투 후백제
고창 전투 후백제
운주성 전투 후백제
일리천 전투 후백제
여요전쟁
봉산군 전투 요나라
안융진 전투 요나라
흥화진 전투 요나라
통주 전투 요나라
곽주 전투 요나라
서경 전투 요나라
애전 전투 요나라
삼교천 전투 요나라
금교역 전투 요나라
귀주 대첩 요나라
여진정벌 동북 9성 여진족
갈라수 전투 여진족
길주성 전투 여진족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 강동성 전투 후요
여몽전쟁 귀주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동선역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안북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처인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죽주산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충주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원나라의 일본원정 제1차 원정 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일본 (가마쿠라 막부)
제2차 원정 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일본 (가마쿠라 막부)
카다안의 침입
치악성 전투 합단적
연기 전투 합단적
장사성의 난 장사성의 난 장사성
홍건적의 침공 홍건적 홍건적
나하추의 침공 함흥평야 회전 나하추
기황후 주동의 원나라군 침입 수주 달천 전투 최유
여진족 장수 호발도의 침입 길주 전투 호바투
목호의 난 명월포 전투 원나라 목호
왜구의 침입 홍산 대첩 왜구
진포 해전 왜구
황산 대첩 왜구
관음포 전투 왜구
제1차 대마도 정벌 왜구
요동정벌 제1차 요동정벌 파일:원나라 국기.jpg 원나라
제2차 요동정벌 ( 위화도 회군) 파일:고려 의장기.svg 공요군
}}}}}}}}}

1. 개요2. 배경3. 전개4. 결과5. 기타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및 재현7.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三橋川戰鬪

제3차 여요전쟁 시기, 고려 거란 요나라 강동 6주의 하나이자 요충지인 흥화진(興化鎭)[1]의 삼교천(三橋川)에서 거란군을 격파한 전투.

흔히 흥화진 전투라 부르고 논문 등에서는 엄격히 구분해 삼교천 전투라 부르기도 하며, 흥화진 전투는 대체로 이 1018년의 이 전투가 유명하다.

2. 배경

1018년 12월, 거란 요나라의 명장이자 성종 야율융서의 최측근이었던 소배압 황제 직속 중앙군 부대 최정예군이었던 우피실군을 포함한 100,000명의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했다.

고려 현종 평장사 강감찬을 상원수로 삼고, 대장군 강민첨으로 하여금 그를 보좌하도록 했다. 이때 소집된 고려군의 병력은 무려 208,300명으로, 영주(寧州)[2]에 주둔했다. 이로써 1018년의 흥화진 전투가 개시되었다.

3. 전개

파일:삼교천전투.png
삼교천 전투 포진 추정도 [3]

4. 결과

하지만 실전 경험이 풍부했던 역전의 명장 소배압은 흥화진의 패전에 굴하지 않고 정예 기병의 우수한 기동력을 최대한 활용해 고려의 수도 개경으로 곧장 진격했다.(직도 전략) 이에 고려군의 김종현이 1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추격했다.

이에 고려군은 개경 수성 및 청야전술를 벌이기로 하고 소배압은 선발대를 보내 개경을 살펴보다가 철수하는 척 하면서 빈 틈을 노리려 한다.

5. 기타

학자에 따라 시점이 양력 1월이라 과연 기록처럼 수공이 가능했는지 의문을 품는 경우도 있으나, '쇠가죽으로 강을 막고 수공'이란 대목이 너무 인상적이라 귀주대첩과 헷갈리는 사람도 많다.

귀주 대첩, 그리고 여수전쟁 살수 대첩과 혼동되는 바람에 야사에서 귀주 대첩에서 고려 요나라 수공으로 물리쳤다는 대중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다.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및 재현

7. 같이보기


[1]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면. [2] 평안남도 안주시. [3] 삼교천이 저지대가 매우 넓으며, 삼교천까지 내려오는 길목 또한 매복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4] 흥화진 자체가 삼교천이 동/서/남쪽을 둘러싼 천혜의 요새다. 흥화진 앞에 진을 치려면 우선 삼교천을 건넌다. 거란군이 여태 고려와 수없이 싸우며 삼교천은 일단 건너서 흥화진 앞에 가서 진을 쳐 왔으므로, 삼교천에서 이런 대규모 공격을 당하리라곤 생각하지 못 했을 것이다. [5] 수공으로 거란군을 수장시켰다고 잘못 아는 사람들도 많다. 그건 현대의 토목공학으로도 불가능하다. 수공은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용도다. 한겨울 저지대 모래밭이 갑자기 발목까지만 차오르는 급류가 몰아쳐도 병사들은 동요하며 진형이 흐트러지기 쉬우며, 도강 속도가 늦어지며 도강완료/도강중/도강직전 병력들이 분단되어 취약해진다. [6] 도하가 군을 취약하게 하므로 도하 측의 정찰/척후는 꼼꼼히 이뤄지며, 양측의 방어도 꼼꼼히 이뤄진다. 따라서 상당히 상류에, 그것도 은밀히 건설되었을 것이며, 도하할때 상류로 신속히 연락하여 터뜨리게 하고, 고려 기병이 정밀하게 기습하고 빠지는 등 상당한 공을 들였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