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9:50:07

사신무/기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사신무
1. 개요2. 기본기3. 연계기
3.1. 극성현무칠연격3.2. 극성청룡칠연격3.3. 극성백호칠연격3.4. 사극성 연주붕격
4. 봉인기
4.1. 무진(無盡)
5. 그 외 기법6. 무결 사신무의 기법

[clearfix]

1. 개요

박성우의 무협만화 천랑열전 나우에 등장하는 가공의 무술 사신무의 기법을 다룬 문서이다.

2. 기본기

2.1. 현무

직선공격(찌르기)의 수법으로 보통 주먹 찌르기가 많이 사용된다. 몸통 박치기 등 7가지 방법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음기로 사용하는 유세하의 경우 수도(手刀)로 구사한다.

2.2. 청룡

올려치기의 수법으로 주먹과 팔 안팎을 사용하여 턱이나 가슴 또는 아랫배 등을 가격한다. 근접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상대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무와 마찬가지로 7가지 방법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2.3. 백호

내려치기의 수법으로 청룡과 마찬가지로 근접한 상태에서 유용한 수법이다. 현무와 달리 짧은 동작으로 큰 파괴력을 얻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7가지의 변형 수법이 있다.

2.4. 주작

중국 무술의 화경(化勁)에 해당되는 수법으로, 보법을 이용한 방어 위주의 기술. 보통 신법이기에 작중에서는 가장 비중이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중요도가 매우 높은데, 타격기인 현무, 청룡, 백호는 주작의 신법을 기반으로 발휘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주작의 신법 또한 현무, 청룡, 백호의 타격기와 함께 할 때 제대로 된 위력이 나온다.

첫 등장에선 반격기로 묘사되었지만 이후로는 공격을 흘려보내거나 유술 마냥 바닥이나 벽에 처박는 모습이 더 많이 보인다. 보통 기본 신법을 이용하여 상대의 공격 순간 사각으로 침투해 들어가 반격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3. 연계기

사신무의 연계기는 공격기인 현무, 청룡, 백호에 배정된 7개 동작의 연속 타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극성 7연격이라 한다. 7가지의 공격은 28수에서 각 사신이 상징하는 계절의 하늘에 뜬 일곱 별자리를 대응시킨 듯하다.[2] 참고로 주작에도 7가지의 동작이 있지만 공격기가 아닌 신법이기 때문에 연계기가 없다.

3.1. 극성현무칠연격

7단계로 공격하며 적에게 다가가 돌진하며 공격하는 연계기. 현무 천둥지기가 적중하는 순간의 돌진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연이어 6격이 추가로 들어간다. 이 7연격은 천랑열전 작중에서는 처음 등장할 때 빼곤 대부분 1타로만 생략했는데, 후속작에서 주먹 → 팔꿈치 → 어깨 → 박치기 → 반대쪽 어깨 → 반대쪽 팔꿈치 → 주먹 거의 한바퀴를 돌면서 공격하는 정확한 동작을 보여주었다.

3.2. 극성청룡칠연격

마찬가지로 7단계로 공격하며 1, 2, 3, 4에서 도움닫기를 준비하여 마지막 5, 6, 7에서는 올려친다.

3.3. 극성백호칠연격

마찬가지로 7단계로 공격하며, 1, 2, 3, 4에서 반돌진+점프를 준비하고 마지막 5, 6, 7에서 내려찍는다. 다만 극성청룡칠연격의 연계기로 사용할 경우 공중에서 7연격을 전부 먹이는 것으로 묘사된다.

3.4. 사극성 연주붕격

주작의 신법에 청룡, 백호, 현무 7연격들을 실어 총 21연격을 한꺼번에 쏟아 붓는 기술. 연오랑 구마소를 쓰러뜨린 후 봉각산 아래의 민가에서 머무를 때 현무, 백호, 청룡의 기술들을 연격할 수 있음을 확인하면서 만들었다. 석전웅과의 싸움에서 미완성인 상태로 첫 선을 보였고, 이후 모용비와의 최종 결전에서 완성된 형태로 나타난다. 후속작에서는 비류가 마염철과 싸웠을 때 단 한 번 등장했다.[3]

참고로 비류는 주작 울력걸음으로 상대의 자세를 무너트린 후 이 기술을 쓰는데, 게임 천랑열전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는지 주작 울력걸음 후 이 기술을 시전하는 걸로 나온다. 다만 데미지 분배를 이상하게 해놔서 울력걸음에 딜 절반이상이 박힌다.

4. 봉인기

사신무의 봉인기는 어떤 특수한 기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확실하게 죽음으로 몰고 가는 살법을 뜻한다. 그래서 사신무는 봉인기의 완성단계로 갈수록 심마에 빠질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기술 하나하나가 봉인기가 되기 위해선 심상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그리고 이 봉인기의 정점에 있는 기술이 바로 무진이다.

4.1. 무진(無盡)

천랑열전의 최종장에 나오는 사신무 궁극오의이자 최종 봉인기. 천랑열전에서는 탈춤 동작과 비슷한 준비자세를 취한 후 초고속으로 돌진하여 일격에 상대를 제압하는 것으로 묘사되고, 후속작 나우에서는 모든 사신무 기예의 정수를 단 한점에 모아 내지르는 것으로 설명한다.[4]

후속작의 설정에 따르면 무진의 원형은 규염 태원삼협으로 중원에서 활동할 때 사용하던 기예인 파멸진이라고 한다. 하지만 너무나도 강해서 시전자의 인간다운 마음을 잃게 할 수 있는 약점이 있기에 이를 순화시킨 것이 무진이라고. 이후 연오랑이 사신무를 무결 사신무로 끌어올리면서 무진 또한 새로운 경지로 승화되었다.

여담으로 천랑열전이 연재되었을 때 고우키 순옥살이 무진의 모티브가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있었다. 준비 동작을 취한 후 전신으로 돌진한다는 것과 타격장면이 안 나오는 점에서 공통점이 보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두 기술의 준비 동작을 취하는 몸짓이 상당히 다르고, 순옥살이 13연속 공격인데 반해 무진은 모든 것을 일점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5. 그 외 기법

6. 무결 사신무의 기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결 사신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나우 시점에서는 연오랑이 사신무를 무결 사신무로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법들이 추가되었다.

[1] 단, 게임에서는 극성현무칠연격이 너무 초반에 나와 기본기화 되어서 데미지가 너무 약하고 청룡과 백호는 너무 나중에 배우는 관계로, 그때까지 패시브가 아닌 액티브로 나온 이 주작 울력걸음이 주력 뎀딜기로 쓰게 되는 등 취급이 좋다. 일종의 돌진기 취급을 받으며, 데미지도 적당하고, 나중에 나오는 청룡·백호와 비슷해서 나중에 나오는 무진 시리즈와 사극성 연주붕격이 나올 때까지 밥줄기. [2] 연오랑이 적운에게 처음 극성현무칠연격을 선보일 때 등장한 일곱 컷 아래에 북방현무 7수의 이름인 두우여허위실벽(斗牛女虛危室壁)이 한자로 나온다. [3] 해당 시점에서 비류가 쓸 수 있는 두 번째로 강한 기술이었다(가장 강한 기술은 스스로 봉인한 사신무 살법의 무진). 다만 이 기술 자체는 전작에서 연오랑이 만든 것처럼 묘사되었는데, 파군성으로부터 사신무 살법을 배운 비류가 어떻게 이 기술을 아는것인지는 불명. 다만 연오랑이 시전한 미완성의 이 기술을 본 석전웅이 당시 청수문에 머무르고 있던 파군성에게 이를 알려주고, 무진을 제외한 사신무의 모든 원리를 알고 있는 파군성이 이를 재현하여 자신이 정립한 사신무 살법에 편입시켰을 개연성은 있다. [4] 무진을 발휘할 때에는 주로 직선 찌르기인 현무의 동작인 것으로 묘사되지만, 연오랑이 청수문에서 모용비와 재대결을 벌일 때 무진의 몸짓을 백호의 내려치기 동작으로 전환하여 타격을 입히는 모습이 나오는 것으로 보면 활용하기에 따라 안 될 것도 없는 듯하다. [5] 물건의 경우 천랑열전에선 연오랑과 결마로가 돌멩이나 자갈로 시전했고, 파군성은 후속작에서 쏘기로 칼날을 부러뜨리는 동시에 날려서 자신의 뒤를 노리는 궁수를 제압했다. 마찬가지로 후속작의 비류는 전작의 인물들처럼 돌멩이를 던지고 유세하는 천산신검의 음기를 이용해 얼음조각을 만들어 쏘아내는 식으로 사용했다. [6] 무결 사신무의 경지에 오른 이후의 연오랑이 이런 경우. 개그편에서는 아귀가 이걸 맞아서 실신했고, 히든보스는 이를 방어 자세를 취하여 받아낼 정도였다. [7] 반줌의 자세를 취하는 것은 어깨가 굳지 않고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목표를 공격하기 위해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