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21:04:32

분노의 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90~1995
마당 깊은 집
(1990)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1990)
완전한 사랑
(1990)
똠방각하
(1990)
어둔 하늘 어둔 새
(1990)
춤추는 가얏고
(1990)
재미 있는 세상
(1990)
겨울이야기
(1991)
고궁
(1991)
이별의 시작
(1991)
장미빛 인생
(1991)
행복어사전
(1991)
내 마음은 호수
(1991)
동의보감
(1991)
약속
(1992)
행촌 아파트
(1992)
파일:분노의 왕국 로고.png
(1992)
질투
(1992)
4일 간의 사랑
(1992)
두 여자
(1992)
창 밖에는 태양이 빛났다
(1992)
억새 바람
(1992~1993)
걸어서 하늘까지
(1993)
사랑의 방식
(1993)
산바람
(1993)
나는 천사가 아니다
(1993)
일지매
(1993)
파일럿
(1993)
여자의 남자
(1993)
마지막 승부
(1994)
맞수
(1994)
새야 새야 파랑새야
(1994)
아담의 도시
(1994)
사랑을 그대 품안에
(1994)
M
(1994)
도전
(1994)
마지막 연인
(1994)
거인의 손
(1994)
눈먼 새의 노래
(1994)
까레이스키
(1994~1995)
호텔
(1995)
사랑을 기억하세요
(1995)
TV시티
(1995)
거미
(1995)

(1995)
연애의 기초
(1995)
}}}}}}}}}}}} ||

문영남의 [[문영남/작품 목록|{{{#FFFFFF 작품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문밖의 행복 로고.png
(1991)
파일:검은양복 로고.png
(1991)
파일:분노의 왕국 로고.png
(1992)
파일:대리인 KBS 로고.png
(1992)
파일:폴리스 KBS 로고.png
(1994)
파일:미개인 KBS 로고.png
(1994)
파일:바람은 불어도 로고.png
(1995​~​1996)
깊은 바다
(1996)
파일:정 때문에 로고.png
(1997​~​1998)
파일:남의 속도 모르고 로고.png
(1999​~​2000)
파일:결혼의 법칙 로고.png
(2001)
파일:그 여자 사람잡네 로고.png
(2002)
파일:애정의 조건 로고.png
(2004)
파일:장밋빛 인생 로고.png
(2005)
파일:소문난 칠공주 로고.png
(2006)
파일:조강지처 클럽 로고.png
(2007​~​2008)
파일:수상한 삼형제 로고.png
(2009​~​2010)
파일:폼나게 살거야 로고.png
(2011​~​2012)
파일:왕가네 식구들 로고.png
(2013​~​2014)
파일:우리 갑순이 로고.png
(2016​~​2017)
파일:왜그래 풍상씨 로고.png
(2019)
파일:오케이 광자매 로고.svg
(2021)
파일:빨간풍선 로고.svg
(2022​~​2023)
너 없이 못살아
(2025)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여담5.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1992년 4월 6일부터 1992년 5월 26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월화드라마. 문영남 작가가 1991년에 쓴 동명의 소설[1]이 원작이며 작가 측이 극본까지 맡았다. 연출은 이관희 PD, 조연출은 안판석 & 김흥수 PD, 기술감독은 권대택, 촬영은 한숙동, 조명은 장현석, 미술감독은 윤상준, OST 작곡은 연석원, 편집은 황금봉, 법률자문은 민건식 변호사 등이 각각 맡았다. 총 16부작.

2. 특징

제1회부터 일본 덴노를 암살한다는 설정 때문에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으며, 지금보다 반일감정이 심했던 때[2]였던지라 시청자 호응도가 높았고, 방영 이틀 전에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를 통해 홍보할 정도였다. 또한 현장감과 퀄리티 상승을 위해 정동 스튜디오는 물론, 강원도 속초시, 일본 도쿄 등지에서 현지 로케까지 진행했다.

1회에서 묘사된 천황 암살미수 장면[3] 탓에 4월 9일 오가와 코타로 주한일본공사가 MBC를 항의 방문하고, 가토 고이치 관방대신이 유감을 표명했으며 일본 내 우익 단체들까지 합세해 동월 10일 주일한국대사관에 방송차로 항의하고 MBC 도쿄지사 등지에 항의 전화를 걸 정도였다. 또한 10일 및 11일에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이 각각 대서특필할 정도였다.( 동아일보 기사) 이에 이병훈 CP 측은 동월 9일 "일본 측 의견을 참고하겠으나, 표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는 식으로 반론했으나, 16일 방송위원회 연예오락심의위원회 측은 "일본 천황의 즉위식 영상을 드라마 중간에 삽입, 저격 기도장면을 연출한 건 시청자들로 하여금 가상이 아닌 사실로 오인케 할 우려가 있다"며 '주의' 결정을 내렸다.( 경향신문 기사)

2020년대에는 일본의 포지션이 약해진 대신 한국은 강대국의 최소라 해도 될 정도로 체급이 커졌지만, 당시만 해도 일본에게 있어 한국은 존재감 자체가 미미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즉시 유감표명을 할 저도로 민감하게 받아들인 것은 이 드라마의 설정 자체가 워낙 파격적이었기 때문이었다.

KBS 전속 탤런트이던 변영훈의 첫 타사 드라마 출연작이자 처음으로 큰 주연을 맡은 작품이었다. 종영 후 OSB 드라마 채널에서 2002년 당시 재방영한 것과 지역 유선방송에서 몇 차례 재방영한 것 빼곤 재편성이 없고, MBC Archive에도 없어서 굳이 구하려면 MBC C&I에 직접 연락해서 비싼 값을 들여 복사구매를 해야 한다.

3. 등장인물

4. 여담

5. 참고 자료



[1] 제1회 MBC 문학상 수상작. [2] 참고로 이 드라마보다 불과 1년 전에 전여옥 일본은 없다가 출간되었다. [3] 1990년 아키히토 즉위식 당시 퍼레이드 영상과 정동 야외 스튜디오에서 찍은 암살 미수 씬을 결합했다. [4] 실제로 당시 일본은 스위스, 룩셈부르크, 스웨덴에 버금가는 세계 4위 부국이었던 반면 한국은 포르투갈보다도 못 사는 '중진국의 최대'에 그쳤다. --그리고 2024년 현재는 한국이 일본보다 1인당 GDP가 높다. [5] <우먼센스> 1992년 6월호에서의 변영훈 부부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기획 당시 해당 배역에는 변우민, 유인촌, 문성근 등 쟁쟁한 남배우들이 물망에 올랐고, 변영훈은 당초 이발사 역으로 잡혀 있었으나 아내는 남편의 잠재력을 믿고 대본을 받아들며 연출자 이관희 PD에게 끈질기게 주인공 배역을 시켜달라고 요구하자 성사된 것이라 한다.( 관련 영상) [6] <TV가이드> 1993년 13권 36호 기사 p26~27 참고. [7]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후 광고회사에서 일하다가 1984년 일본으로 유학, 1988년부터 <산케이신문> 서울지사 주재기자로 4년 간 근무했다. 1992년 퇴사 후 방송 코디네이터 전문 업체 '코코기획'을 운영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