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7:29:10

부산역(도시철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부선 부산역에 대한 내용은 부산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산역(역)
파일:Busan1.svg
경부선·경부고속선으로 갈아타기
역명 표기
1호선 부산역
Busan Station
釜山驛 / 釜山站 / [ruby(釜山, ruby=プサン)]駅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지하200 ( 초량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부산관리역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1987년 5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1.71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중앙대로221번길 가변 정류장6.2. 중앙대로 BRT 정류장6.3. 중앙대로 가로변 정류장
7. 사건 사고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부산역(도시철도)/gate10.jpg 파일:IMG_5102.jpg
과거의 철도역 방면 썬큰광장 출입구. 현재는 부산역 지하도 정비사업으로 8번 출입구와 10번 출입구는 6번 출입구로 통합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13번,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지하200 ( 초량동) 소재.

2. 역 정보

파일:부산역.jpg
대합실
개통 당시의 로마자 역명은 Pusan Station도 아니고 소리 나는 대로 그대로 옮겨 적은 Pusanyŏk'이었다. (심지어 이것도 이전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기법이다.)

과거 부산역 승강장 벽면에 철도청 시절의 부산역 열차시각표가 부착되어 있었다.

부산역 광장으로 향하는 6번, 8번, 10번 출입구가 있는 부분은 계단식 화단이 조성되어 있어 화려하다. 2020년 2월 부산역 지하도 정비사업으로 6번, 8번, 10번 출입구가 폐쇄되어 에스컬레이터로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2021년 4월 14일 세 곳의 출입구가 6번 출입구로 통합되었다.

2012년 8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중이다.

부산역 버스환승센터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을 잇는 지하 환승통로가 새로 준공되었다. 이 지하 환승통로는 2015년 9월에 완공될 예정이었는데 (때문에 부산역 버스환승센터를 만들어놓고 다시 철거해버렸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역 문서의 환승통로 공사 문단 참고.) 12월 초순에 완공되어 버스 환승센터가 다시 개장하였다. ( 서울역처럼 환승센터 내부에 지하로 연결되는 계단을 설치하였다. ( 서면 방면 버스타는 곳 기준.)) 이 환승통로는 부산역 광장 재개발과 부산유라시아플랫폼 건설과 함께 2019년 7월 1일부로 부산역 실내까지 통로가 연장, 철도 부산역과의 환승통로가 개통되며 환승이 더 편리해졌다. 해당 건설 사업으로 버스환승센터쪽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으니, 짐이 많을 경우 이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2020년 9월부터 신형 플랩식 게이트 8기를 도입해서 시범운영하고 있다. 35년이나 지나 노후화된 기존의 삼발이식 게이트를 점차 대체해 나갈 계획이다. #

경부선, 경부고속선 부산역과 연계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 역이다. 평범한 상대식 승강장 역으로 빨간 벽돌과 하얀 벽돌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 경부선 부산역 덕분에 많은 버스들이 오가는 곳이라 환승하기에 더없이 좋다.

열차 도착 직후 승강장 스피커에서 다음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철도 부산역으로 가시는 분은 6번 출구로 나가시거나 지하상가 연결통로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부산환승통로.jpg
도시철도 부산역 → KTX 부산역 방향 환승통로

2021년 9월 16일, 부산광역시가 이 역 7번 출구에 '사랑의 건강기부계단'을 개통했다. 이것은 부산광역시 5번째라고 한다. 시민 1명이 계단을 이용한다면 1명당 10원의 돈이 여기에 모이며, 결국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을 통해 저소득층 환아 돕기에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전동차가 부산역에 접근하기 전에 연기자 고두심의 건강기부계단 홍보 방송이 송출된다. 특히 부산역에는 건강기부계단을 이용할때 스피커에서 음악이 송출되는데 전수연 피아니스트가 작곡한 Smile Smile Smile로 송출한다.

3. 역 주변 정보

인천광역시와 함께 대한민국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차이나타운이 존재한다. 90년대 한소수교 이후 러시아인이 많이 유입되어 지금은 순수한 차이나타운은 아니고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어를 쓰는 옛 소련 고려인 쪽이 반이고 화교 조선족이 반쯤 되어 이태원동처럼 다소 복합적인 분위기가 나는 거리가 되었다. 과거엔 거리가 중구난방하게 난잡한 면이 적잖게 있었지만 최근에 보도블럭, 간판을 정비해 매우 깔끔해졌다. 그러나 늦은 시간대에는 분위기가 매우 으슥해지기 때문에 중국 요리 러시아 요리를 먹으러 가더라도 주간에 가는 것이 좋다. 저녁 8시쯤부터 여기를 지나가는 남성들에게 매우 높은 확률로 할머니들이 '러시아 아가씨랑 연애 안해보겠냐', '예쁜 백인 아가씨 있다' 라는 식으로 호객행위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늦은 야간 시간대에는 높은 확률로 러시아인을 볼 수 있으며, 러시아인 남성들이 술에 만취한 채로 괜스레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시비를 걸거나 간혹 폭행을 가하는 일도 있으니 조심하자. 특히 술집이 밀집된 인근의 몇몇 지역은 저녁 8시 이후로 내국인은 통행을 자제하는 것이 신변안전에 이롭다. 물론 방범용 CCTV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부산동부경찰서에서 순찰을 수시로 돌기 때문에 치안 걱정은 전혀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5번 출구 차이나타운 인근에는 초량 이바구길이 조성되어 있다. 6.25 전쟁 한국근현대사 속 이야기가 담긴 길[1] 나훈아, 이경규, 박칼린 등을 배출한 초량초등학교가 이 곳에 있다. 비록 오르막길과 계단이 많지만 망양로 산복도로 근처 전망대에 올라가면 부산역을 비롯해서 북항 일대와 부산항대교가 한눈에 보이는데 그 경관이 정말 멋지다. 부산에 왔다면 꼭 가보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도 서울역역(=지하 서울역)처럼 부산역역이 정식 역명이다. 나머지 역역 시리즈는 광주송정역역, 대구역역, 동대구역역이 있다. 대전역은 예외. 다만 문맥의 자연스러움을 고려했는지 차내 안내방송에서는 한국어로 '부산역'이 아닌 '부산'으로 방송한다.[2] 나머지 언어로는 차내에서도 'Busan Station'/'부산역'으로 부른다.

중앙역 방면으로 얼마 가지 않으면 영주교차로가 나오는데 우회전하면 부산터널이 나오는데 이 터널을 통과하면 동대신역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 단, 부산터널은 상습정체구간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에는 오히려 지하철이 빠르다.

경부선 부산역사 방면인 6, 8, 10번 출구 일대는 노숙자가 집중되어있고, 그만큼 사이비 종교 포교활동이 극도로 활발하다. 특히, 2019년 4월 17일 기준으로는 신천지의 활동이 확인되었다.

차이나타운쪽에 있던 빕스가 2019년 8월 31일부로 영업을 종료했다.

부산지방보훈청이 인근에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부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50,432명 비고
2003년 45,816명
2004년 44,868명
2005년 42,455명
2006년 40,079명
2007년 37,184명
2008년 35,530명
2009년 35,591명 }}}}}}}}}
2010년 37,660명
2011년 42,271명
2012년 42,541명
2013년 44,107명
2014년 44,835명
2015년 44,386명
2016년 45,022명
2017년 46,926명
2018년 45,889명
2019년 46,998명
2020년 29,065명
2021년 30,061명
2022년 38,249명
2023년 44,667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부산 1호선에서 서면역에 이어 두 번째로 승하차 인원이 많은 역이다. 역 방문객의 다수는 역시 부산역에서 경부선 열차를 타기 위한 손님들이고 역 주변의 각종 사무 빌딩으로 가는 출퇴근 수요 역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그리고 부산역에서 내려 부산시내 각지로 이동하는 관광객들의 비중 역시 무시 못할 수준으로 실제로 부산 여행객들 사이에서는 압도적인 인지도를 자랑하는 역이라 할 수 있다. 역 앞에 부산 차이나타운이 있어 외국인(주로 중국인, 러시아인) 수요 역시 상당하다.

이렇게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흡수한 덕분에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46,000여 명으로, 부산 도시철도 전체에서 손에 꼽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다녀간다. 그러나 일반 열차를 취급하는 바로 옆의 경부선 부산역[3]보다 수요가 적다. 이는 부산역까지 열차를 타고 온 사람들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한다는 뜻이기 때문. 경부선 부산역이 전국에서 이용객 TOP3 안에 들어가는 점을 볼 때 더욱 그렇다.

도시철도 역이 일반철도 역보다 승객이 적은 이유는 부산역에서 자가용을 끌고 목적지로 가는 수요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역 주민의 경우에는 짐을 옮기는 등의 문제로 도시철도 또는 버스를 타기보다 간편한 자차를 끌고 다니는 것을 보다 선호한다. 결정적인 이유는 부산 내에 여러 곳 중에서도 하필이면 부산의 최대 관광지들인 해운대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 방면의 접근성이 특출나게[4] 불편하기 때문이다.[5] 도시철도로 해당 동네를 가려면 서면역까지 가서 2호선으로 갈아타야 하는데 환승저항에 부딪히는 데다가 좌천역에서 문현역까지 불과 걸어서 약 30분 거리임에도 ㄷ자로 우회하는 까닭에 1회 환승에 6 정거장을 가야 한다. 여기서 까먹는 시간이 상당하기에 부산을 찾는 관광객과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주민들이 부산에서 광안리, 해운대를 직통으로 연결하는 41번, 1001번, 1003번 등의 버스로 빠지게 된다.[6] 지하철이 안 닿는 음영지역인 사하구 감천동, 서구 암남동, 남부민동 일대 주민들은 61번 171번[7] 등의 버스로 갈아타고 넘어간다.

이런 문제들로 인하여 도시철도 역이 일반철도에 밀리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5. 승강장

파일:113부산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113부산역.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1113.gif
역 안내도
중앙
초량
파일:Busan1.svg 1호선 중앙· 남포·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서면· 동래· 노포 방면

역 구내에 3퍼밀의 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6.1. 중앙대로221번길 가변 정류장[8]

6.2. 중앙대로 BRT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91919> 부산역(03-719) ||
일반
급행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91919> 부산역(03-720) ||
일반
급행
심야

6.3. 중앙대로 가로변 정류장

7.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7월 문서
1.8.1.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0년 7월 23일 21시 50분경 시간당 80mm가 넘는 폭우로 인하여 역사로 빗물이 유입되어 자정에 가까운 23시 40분 즈음에는 열차가 무정차 통과운행했었다. 그 뒤 밤샘 복구작업을 마치고 다음 날인 24일 노포행 첫차부터 다시 정상운행을 재개하였다.

8.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부산 최초의 물류창고, 부산 최초의 근대식 병원, 한강이남 최초의 교회, 168계단 등.. [2] '부산, 부산 역입니다'라고 나온다. 첫 번째는 역을 붙이지 않고 두 번째는 끊어 읽는다. 반면 서울역은 코레일 전동차에서는 '서울역, 지하 서울역입니다'로 방송하고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서울역, 서울역입니다'로 붙여서 방송한다. 코레일 입장에서는 지상 서울역이 자기네 관할이고 지하 서울역은 남의 관할이므로 교통공사 쪽 역명을 구별시켜 부르지만 교통공사 입장에서는 반대로 지하 서울역이 자기 관할이고 지상 서울역은 남의 관할이므로 지하 따위의 수식어 없이 그대로 그 자체가 서울역이 되는 것이다. 다만 청량리역은 코레일 전동차에서도 지하 청량리가 아닌 그냥 청량리로 부른다. 하지만 먼 옛날 이윤정 성우 시절에는 코레일 전동차도 지하 청량리라고 방송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단순 청량리로 통일된 것. 대신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부역명은 남의 관할에서 붙인 것이므로 부르지 않고 교통공사 전동차에서만 안내가 송출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부역명들도 남의 관할역 부역명은 서로 불러주지 않는다. [3]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51,923명 [4] 다른 곳은 도로 거리에 비해 딱히 더 불편한 곳은 없다. 1호선으로 바로 연결되는 지역들(동래, 사하 지역)은 당연히 1호선으로 바로 가는게 매우 빠르고 2호선 지역도 사상 지역 같은 경우는 어차피 도로로 가도 서면을 경유해 가야 하기에 선형에서 손해가 없는 반면에 이들 동부산권 지역들은 1호선과 2호선이 평행하게 달리는 구간 때문에 어마어마하게 돌아간다. [5] 이 때문에 해운대 학군 학생들도 수서역을 거쳐 서울 대치동 학원가로 가는 데 애를 먹는다. [6] 물론 서면, 연산동, 동래, 부산대 방면의 경우 1호선을 타는 것이 메리트가 상당하기에 출/퇴근 시간대에는 역사 안이 매우 혼잡하다. [7] 2023년 7월 29일 부로 구 17번의 노선번호 변경. 원래는 서구청이 회차지였으나 11월 11일부로 부산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부산역이 회차지라 착석의 메리트가 높다. [8] 초량시장 인근 이면 도로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