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2:48:57

볼로디미르 브라즈코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FC 디나모 키이우 2022-23 시즌 스쿼드
1 부슈찬 · 2 비우차렌코 · 4 포포우 · 6 브라즈코 · 7 야르몰렌코 · 8 셰펠레우 · 10 샤파렌코 · 11 바나트
17 수프랴하 · 18 안드리예우스키 · 19 하르마쉬 · 20 카라바예우 · 21 크라우첸코 · 24 팀치크 · 28 쿨레치
29 부얄스키 (C) · 34 시로타 · 35 내셰레트 · 41 볘셰딘 · 44 두빈차크 · 51 모르훈 · 71 보이코 · 99 안튜흐 · # 피할료노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미르체아 루체스쿠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FC 디나모 키이우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브라즈코 23-24.png
<colbgcolor=#0072bc> FC 디나모 키이우 No. 6
볼로디미르 브라즈코
Володимир Бражко | Volodymyr Brazhko
본명 볼로디미르 볼로디미로비치 브라즈코
Володимир Володимирович Бражко
Volodymyr Volodymyrovych Brazhko
출생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84cm / 체중 77kg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유소년 클럽 FC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2006~2016)
FC 디나모 키이우 (2016~2019)
소속 클럽 FC 디나모 키이우 (2019~ )
FC 조랴 루한스크 (2022~2023 / 임대)
국가대표 7경기[1] ( 우크라이나 / 2021~ )

1. 개요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2.2. FC 디나모 키이우
2.2.1. FC 조랴 루한스크 (임대)2.2.2. 2023-24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 국적의 축구 선수. 디나모 키이우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자포리자에서 태어나 지역팀 FC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시작해 10년간 성장했다.

2.2. FC 디나모 키이우

2016년에 자국의 명문 디나모 키이우 유소년 팀으로 이적해 디나모의 유소년 시스템을 거치며 성장해왔다.

2.2.1. FC 조랴 루한스크 (임대)

2022년 7월, 본격적으로 프로 무대 경험을 쌓기 위해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의 조랴 루한스크로 한 시즌 임대되었다. 1부 리그 데뷔 시즌임에도 빼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조랴에서 주전으로 활약했다.

2.2.2. 2023-24 시즌

조랴에서의 성공적인 임대 생활을 보낸 후, 2023-24 시즌을 앞두고 디나모 메인 스쿼드에 들며 입단 후 처음으로 1군에서 시작을 시작했다. 그리고 빠르게 주전으로 자리잡아 공수 양면에서 맹활약을 펼치며 디나모의 핵심 선수 및 리그에서 손꼽히는 미드필더로 거듭났다.

3. 국가대표 경력

어린 나이 때부터 연령대 대표팀에 소집돼 일찌감치 대표팀 경력을 시작했다. 2020년부터 소집된 U-21 대표팀에서는 핵심 미드필더로서 2023 UEFA U-21 챔피언십 4강 진출을 이끌기도 했다. 대회 후에는 주장으로 임명돼 2025 UEFA U-21 챔피언십 예선 경기들을 소화했다.

2024년 3월 21일, 보스니아와의 UEFA 유로 2024 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 경기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하며 A대표팀에 데뷔했다. 경기는 2-1로 우크라이나가 승리하면서 결승에 진출했다. 이후 아이슬란드와의 결승에서도 선발 출전해 2-1 승리를 이끌며 본선 진출에 힘을 보탰다.

2024년 5월 16일, UEFA 유로 2024 26인 최종 명단에 들며 생애 첫 국제 메이저대회를 경험하게 되었고, 본선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출전해 두 경기를 선발로 중용되었으나 팀은 조 최하위[2] 에 그쳐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4.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디나모 키이우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H.Bushchan_23-24.pn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D.Popov_23-24.png
파일:S.Sydorchuk_21-22.png
파일:브라즈코 23-24.png
1 2 4 5 (C) 6
헤오르히 부슈찬
Heorhiy Bushchan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GK
1994.05.31 ([age(1994-05-31)])
2011~2026
코스탼틴 비우차렌코
Kostyantyn Vivcharen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2002.06.10 ([age(2002-06-10)])
2020~2024
데니스 포포우
Denys Popov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1999.02.17 ([age(2002-02-17)])
2017~2025
세르히 시도르추크
Serhiy Sydorchu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1.05.02 ([age(1991-05-02)])
2013~2025
볼로디미르 브라즈코
Volodymyr Brazh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2002.01.23 ([age(2002-01-23)])
2019~?
파일:V.Shepelyev_23-24.png
파일:M.Shaparenko_23-24.png
파일:1000006418.pn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supriaha-optimized.png
8 10 11 15 17
볼로디미르 셰펠레우
Volodymyr Shepelyev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7.06.01 ([age(1997-06-01)])
2017~2024
미콜라 샤파렌코
Mykola Shaparen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8.10.04 ([age(1998-10-04)])
2017~2025
블라디슬라우 바나트
Vladyslav Vanat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2002.01.04 ([age(2002-01-04)])
2021~2024
에릭 라미레스
Eric Ramirez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FW
1998.11.20 ([age(1998-11-20)])
2021~2026
블라디슬라우 수프랴하
Vladyslav Supryaha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2000.02.15 ([age(2000-02-15)])
2018~2026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D.Harmash_21-22.png
파일:O.Karavaev_23-24.pn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O.Tymchyk_23-24.png
18 19 20 21 24
올렉산드르 안드리예우스키
Oleksandr Andriyevskyi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4.06.25 ([age(1994-06-25)])
2015~2025
데니스 하르마쉬
Denys Garmash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0.04.19 ([age(1990-04-19)])
2007~2025
올렉산드르 카라바예우
Oleksandr Karavayev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2.06.02 ([age(1992-06-02)])
2019~2023
미키타 크라우첸코
Mykyta Kravchen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1997.06.14 ([age(1997-06-14)])
2015~2024
올렉산드르 팀치크
Oleksandr Tymchy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1997.01.20 ([age(1997-01-20)])
2014~2025
파일:I.Zabarnyi_21-22.pn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V.Buyalskiy_23-24.png
파일:O.Syrota_23-24.pn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25 28 29 (VC) 34 35
일리야 자바르니
Illya Zabarnyi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2002.09.01 ([age(2002-09-01)])
2019~2026
블라디슬라우 쿨레치
Vladyslav Kulach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1993.05.07 ([age(1993-05-07)])
2021~2023
비탈리 부얄스키
Vitaliy Buyalskyi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MF
1993.01.06 ([age(1993-01-06)])
2010~2025
올렉산드르 시로타
Oleksandr Syrota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2000.06.11 ([age(2000-06-11)])
2019~2025
루슬란 네셰레트
Ruslan Neshcheret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GK
2002.01.22 ([age(2001-01-22)])
2019~2025
파일:A.Besedin_21-22.pn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41 44 51 71 94
아르템 볘셰딘
Artem Besyedin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1996.03.31 ([age(1996-03-31)])
2013~2024
블라디슬라프 두빈차크
Vladyslav Dubincha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1998.07.01 ([age(1998-07-01)])
2016~2024
발렌틴 모르훈
Valentyn Morhun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GK
2001.08.10 ([age(2001-08-10)])
2020~2026
데니스 보이코
Denys Boy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GK
1988.01.29 ([age(1988-01-19)])
2018~2023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99 - - - -
데니스 안튜흐
Denys Antyukh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1997.07.30 ([age(1997-07-30)])
2021~2025
블라디슬라우 쿠체로크
Vladyslav Kucheru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GK
1999.02.14 ([age(1999-02-14)])
2016~2023
올라비런 무이와
Olabiran Muyiwa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 FW
1998.09.07 ([age(1998-09-07)])
2020~2023
모하메드 카디리
Mohammed Kadiri

파일:가나 국기.svg | FW
1996.03.07 ([age(1996-03-07)])
2019~2023
구단 정보
감독: 미르체아 루체스쿠 / 홈 구장: 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
출처: FC 디나모 키이우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8월 1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4d6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113355>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헤오르히 부슈찬
Heorhiy Bushchan
1994년 5월 31일 ([age(1994-05-31)]세) 17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12 아나톨리 트루빈
Anatoliy Trubin
2001년 8월 1일 ([age(2001-08-01)]세) 1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23 드미트로 리즈니크
Dmytro Riznyk
1999년 1월 30일 ([age(1999-01-30)]세) 2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안드리 루닌
Andriy Lunin
1999년 2월 1일 ([age(1999-02-01)]세) 9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DF 2 유힘 코노플랴
Yukhym Konoplya
1999년 8월 26일 ([age(1999-08-26)]세) 10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3 발레리 본다르
Valeriy Bondar
1999년 2월 27일 ([age(1999-02-27)]세) 3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4 올렉산드르 스바토크
Oleksandr Svatok
1994년 9월 27일 ([age(1994-09-27)]세) 5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C 드니프로-1
13 일리야 자바르니
Illya Zabarnyi
2002년 9월 1일 ([age(2002-09-01)]세) 32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16 비탈리 미콜렌코
Vitaliy Mykolenko
1999년 5월 29일 ([age(1999-05-29)]세) 37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버튼 FC
19 올렉산드르 팀치크
Oleksandr Tymchyk
1997년 1월 20일 ([age(1997-01-20)]세) 15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21 블라디슬라프 두빈차크
Vladyslav Dubinchak
1998년 7월 1일 ([age(1998-07-01)]세) 0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22 미콜라 마트비옌코
Mykola Matviyenko
1996년 5월 2일 ([age(1996-05-02)]세) 61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올렉산드르 카라바예우
Oleksandr Karavayev
1992년 6월 2일 ([age(1992-06-02)]세) 49 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 세르히 크립초우
Serhiy Kryvtsov
1991년 3월 15일 ([age(1991-03-15)]세) 34 0 파일:미국 국기.svg 인터 마이애미 CF
- 에두아르드 소볼
Eduard Sobol
1995년 4월 20일 ([age(1995-04-20)]세) 29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 보흐단 미하일리첸코
Bohdan Mykhaylichenko
1997년 3월 21일 ([age(1997-03-21)]세) 7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폴리샤 지토미르
- 데니스 포포우
Denys Popov
1999년 2월 17일 ([age(1995-04-20)]세) 3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MF 5 세르히 시도르추크
Serhiy Sydorchuk
1991년 5월 2일 ([age(1991-03-15)]세) 60 3 파일:벨기에 국기.svg KVC 베스테를로
6 타라스 스테파넨코 파일:주장 아이콘.svg
Taras Stepanenko
1989년 8월 8일 ([age(1989-08-08)]세) 81 4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7 헤오르히 수다코우
Georgiy Sudakov
2002년 9월 1일 ([age(2002-09-01)]세) 12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8 루슬란 말리노우스키
Ruslan Malinovskyi
1993년 5월 4일 ([age(1993-05-04)]세) 57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10 미하일로 무드리크
Mykhaylo Mudryk
2001년 1월 5일 ([age(2001-01-05)]세) 1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5 빅토르 치한코우
Viktor Tsyhankov
1997년 11월 15일 ([age(1999-02-01)]세) 50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7 올렉산드르 진첸코
Oleksandr Zinchenko
1996년 12월 15일 ([age(1996-12-15)]세) 58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8 올렉산드르 피할료노크
Oleksandr Pikhalyonok
1997년 5월 7일 ([age(1997-05-07)]세) 8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C 드니프로-1
20 올렉산드르 주브코우
Oleksandr Zubkov
1996년 8월 3일 ([age(1996-08-03)]세) 29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미콜라 샤파렌코
Mykola Shaparenko
1998년 10월 4일 ([age(1998-10-04)]세) 28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 빅토르 코발렌코
Viktor Kovalenko
1996년 2월 14일 ([age(1996-02-14)]세) 3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 다닐로 이나텐코
Danylo Ihnatenko
1997년 3월 13일 ([age(1997-03-13)]세) 6 1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지롱댕 드 보르도
FW 9 로만 야렘추크
(Roman Yaremchuk)
1995년 11월 27일 ([age(1995-11-27)]세) 46 13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
11 아르템 도우비크
Artem Dovbyk
1997년 6월 21일 ([age(1997-06-21)]세) 23 7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4 다닐로 시칸
(Danylo Sikan)
2001년 4월 16일 ([age(2001-04-16)]세) 7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안드리 야르몰렌코
(Andriy Yarmolenko)
1989년 10월 23일 ([age(1989-10-23)]세) 116 46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2월 17일
}}}}}}}}} ||


1 부슈찬 · 2 코노플랴 · 3 스바토크 · 4 탈로베로우 · 5 시도르추크 · 6 스테파넨코 · 7 야르몰렌코 · 8 말리노우스키 · 9 야렘추크
10 무드리크 · 11 도우비크 · 12 트루빈 · 13 자바르니 · 14 수다코우 · 15 치한코우 · 16 미콜렌코 · 17 진첸코 ·18 브라즈코
19 샤파렌코 · 20 주브코우 · 21 본다르 · 22 마트비옌코 · 23 루닌 · 24 팀치크 · 25 바나트 · 26 미하일리첸코
파일:UEFA EURO UKR.png 세르히 레브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74ab2;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고메스 · 파일:UEFA EURO ESP.png 알베르토 보쉬 · 파일:UEFA EURO UKR.png 흘립 플라토프


[1] 2024년 6월 27일 기준 [2] 희한하게 양 팀 모두 1승 1무 1패를 기록했는데, 우크라이나는 골득실에서 3위 슬로바키아에 밀려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루마니아와의 첫 경기에서 3-0으로 패한 게 발목을 잡은 것. 다른 조였으면 충분히 16강 통과가 가능했을 성적이었기에 참으로 불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