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20:58:55

베트남 내란

인도차이나 전쟁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베트남 내란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베트남의 태국 국경 습격 라오스 내란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둘러보기
1945년 중국의 베트남 침공 북베트남의 라오스 침공 태국 공산반란 코친차이나 원정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 ||
베트남 내란
Insurgency in Vietnam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의 일부
파일:Les_Kosem_in_front_of_one_of_the_FULRO_flags_at_the_Rolland_guerrilla_camp_in_Cambodia.jpg
참파 해방전선기 앞에 서 있는 레스 코셈
날짜 <colbgcolor=#fff,#191919> 1964년 11월 20일 ~ 1992년 10월 11일
장소 남베트남, 북베트남, 캄보디아
결과 내란 실패, 베트남의 승리
교전 국가 및 세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베트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베트남|]][[틀:국기|]][[틀:국기|]]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1978)
지원 국가 및 세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1978~)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

[[크메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틀:국기|]][[틀:국기|
속령
리비아
]]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소련|]][[틀:국기|]][[틀:국기|]][3]

[[미국|]][[틀:국기|]][[틀:국기|]][4]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파일:Bandera_Front_Alliberament_Cham.png 레스 코셈[5]
파일:Bandera_Front_Alliberament_Cham.png 포 다르마
파일:23px-Flag_of_BAJARAKA.svg.png 밤 에누올†[6]
파일:23px-Flag_of_BAJARAKA.svg.png 곡 니에 크리엥
파일:Flag_of_KKF.svg.png 차우 다라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파일:베트남 국기.svg 레주언
파일:베트남 국기.svg 보응우옌잡
파일:베트남 국기.svg 반띠엔중
파일:베트남 국기.svg 레쫑떵
파일:베트남 국기.svg 팜반동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호앙반타이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쩐반짜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응우옌 반린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응우옌 흐우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응우옌반티에우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응우옌까오끼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까오반비엔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응오 쿠앙 트룽
1. 개요2. 상세3. 베트남 통일 이후4. 내란의 최고조5. 중국의 지원 중단

[clearfix]

1. 개요

피압박민족투쟁통일전선[7] 베트남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남베트남 북베트남 모두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 이들은 베트남 중부 고원지대에서 활동했으며, 베트남 전쟁 시기부터 그 이후까지 베트남 정부에 저항하다가, 1992년에 무장해제를 선언했다.

2. 상세

풀로는 활동 초기 크메르 민족주의 이념으로 활동하던 단체로 캄보디아 내전 발발 당시에도 참전했으며, 베트남인들에게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던 캄보디아인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즉 풀로의 적은 북베트남 뿐만이 아니라 미국 동맹국 남베트남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미국은 이를 크게 문제 삼지 않고 베트콩 북베트남군을 견제하기 위해 이들을 지원했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풀로는 캄보디아 국경에서 주기적으로 침입해오는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을 공격했으며,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영토에 침입하여 기습까지 감행했다.

그러나 캄보디아 공산주의 단체인 크메르 루주 북베트남 베트콩의 지원을 받고 크메르 공화국 내전을 벌인다. 이 과정에서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남베트남으로 가기 위한 캄보디아 동쪽 영토를 점령했으며, 이는 크메르 루주에게 넘어간다. 1970년에는 크메르 루주와 베트콩의 대공세로 크메르 공화국의 영토가 대부분 점령되었으며, 풀로는 미국의 지원에만 의지한 상태로 게릴라전을 펼쳤다.

3. 베트남 통일 이후

미국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크메르 공화국 남베트남이 모두 공산정권에게 무너졌으나, 풀로는 베트남과의 전쟁을 계속했다. 그러나 풀로에 대한 미국의 지원이 중단되었으나 이번엔 중국이 풀로를 지원했다. 베트남 통일 이후 새롭게 수립된 민주 캄푸치아[8] 베트남은 지속적으로 국경분쟁을 벌였고, 결국 베트남은 캄보디아를 대대적으로 침공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베트남 전쟁 중 중국과 베트남은 외교 문제로 갈등을 빚었고, 베트남 통일 이후 양국간의 갈등은 훨씬 심각해진다. 이러자 중국은 베트남 견제를 위해서 풀로를 지원하기에 이른다. 크메르 루주 또한 원래 풀로의 군대를 체포하여 숙청하였으나,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침공하자 역시 베트남 견체 차원에서 풀로를 지원한다.

4. 내란의 최고조

풀로는 중국의 지원을 받고 베트남의 영토에서 경찰서와 군대를 기습 공격했다. 추정에 따르면 이 당시 풀로의 군대는 7,000명이라고 하지만 적은 숫자 임에도 격렬한 게릴라전으로 베트남을 뒤흔들었다. 이들은 고원지대에서 주기적인 이동을 하고 캄보디아, 중국, 베트남 국경을 넘나들어 진압이 힘들었다. 당시 베트남은 북쪽에서는 중국과 전쟁을 했고 서쪽에서는 캄보디아와 전쟁 중이였으며, 태국마저 캄보디아를 도운 상태였기 때문에 치안이 불안정했다.

5. 중국의 지원 중단

내란이 진행되는 중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이 종결되었다. 결과는 캄보디아가 베트남에 의해 무너졌으며, 캄보디아에는 베트남의 괴뢰국이 세워졌다. 당시 중국은 보급품을 크메르 루주로 보내고 그것을 풀로에게 전달하는 식이였는데 캄보디아가 베트남에 의해 점령되면서 풀로는 보급로가 끊긴 상황에서 고립되었다. 베트남군은 풀로를 소탕하기 시작했으며, 풀로의 병력은 200명 이상으로 줄었다. 남은 병사들은 태국으로 도망쳤고 풀로의 총지휘관인 밤 에누올이 체포되어 처형까지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풀로는 무장 투쟁을 포기했다.

[A] 64년도에 다른단체들과 피압박민족투쟁통일전선을 형성함 [?]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콩을 지원했으나 외교 분쟁으로 지원이 중단되었다. [3]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콩만 지원. [4] 베트남 공화국만 지원. [5] 1975년 크메르 루주가 캄보디아를 장악하자 말레이시아로 탈출, 1976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 [6] 1964년에 체포되어 캄보디아로 추방된다. 이후 석방 되었으나, 레스 코셈에 의해 가택연금을 당한다. 그는 프놈펜에서 살았는데, 1975년에 크메르 루주가 프놈펜을 점령하자 프랑스 대사관으로 피신하였으나, 끌려나와 처형되었다. [7] 축약해서 풀로(FULRO) [8] 크메르 루주 정권 시절의 캄보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