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6:36:42

배우 보정

1. 개요2. 배우 보정의 예
2.1. 특정 배우
2.1.1. 특정 타입 전문2.1.2. 배우 보정으로 유명한 배우
2.2. 배우 보정으로 유명한 작품
3. 관련 문서

1. 개요

해당 역할을 맡는 배우에 의해 캐릭터가 각본상의 설정보다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 것. 예를들어 연인을 막 대하고 버리는 역할이 배우의 매력에 의해 나쁜남자로 재포장 된다거나, 역사적으로는 좋은 소리 못듣는 인물인데 배우에 의해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로 재포장되는 경우이다. 사극의 경우 배우 보정이 엉뚱하게 적용되어 꼬꼬마들에게 실제 역사속 인물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주는 심각한 폐단이 있다. 특정한 타입의 캐릭터에 특화된 배우가 배역을 맡아 인물상이 영향을 받는 것 또한 배우보정으로 취급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무슨 배역을 맡아도 은퇴한 전직 특수요원처럼 보이게 되는 스티븐 시걸.

배우의 연기력과 카리스마가 그만큼 대단하다는 뜻도 되지만, 반대로는 배우가 역을 잡아먹어 캐릭터가 각본상의 설정과 동떨어지게 변해버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연출자와 각본가는 그냥 관객들이 미워할 수 있는 악역으로 설정했는데, 배우의 열연으로 되려 관객들이 악역에게 이입해 주인공보다 인기가 높아져 버린다거나...

초반에는 별 볼일 없는 비중의 캐릭터인 것처럼 보이는데, 배우가 그런 역할을 맡기에는 너무 거물이라 이후 비중있는 캐릭터가 되거나 흑막임을 본의 아니게 암시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인터스텔라에서는 맷 데이먼이 연기한 '만 박사'를 본격 등장 전까지 얼굴을 의도적으로 숨겼다. 반대로 스크림(영화)처럼 비중이 적은 역에 유명한 배우를 기용해 역으로 관객의 뒤통수를 치는 경우도 있다[1].

혹은 원작이 있는 작품의 경우, 원작 설정에는 분명히 별로 외모가 뛰어나지 않다고 묘사되어 있음에도 흥행을 위해 너무 잘 생긴/예쁜 배우를 캐스팅하는 경우도 이 항목에 포함된다. 이 경우는 쉽게말해 캐릭터에 배우의 외모를 덧씌워 더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

2. 배우 보정의 예

2.1. 특정 배우

2.1.1. 특정 타입 전문

전문배우 문서도 참조

2.1.2. 배우 보정으로 유명한 배우

2.2. 배우 보정으로 유명한 작품

3. 관련 문서



[1] 다만 이런 경우는 카메오 특별출연이 많다. [2] 모든 배역이 그렇진 않지만, 깊은 인상을 남긴 배역들 중 정신이 멀쩡한 캐릭터가 드물다. 샤이닝에서 악령에 씌인 살인마, 배트맨에서 조커 등. 심지어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에서는 정신병이 없는데도 정신병원에 수감되는 역을 맡았다. 비교적 멀쩡한 역할이라도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등 괴팍한 캐릭터를 자주 맡는다. 그야말로 성격파 배우의 진수. 재미있게도 잭 니콜슨은 실제로도 한 성깔 하기로 유명하다. [3] 소위 말하는 '불꽃같은 메소드 연기'는 아니지만, 일본만화 특유의 과장된 연기를 적절한 수준에서 '현실화'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4] 원래는 평범한 아저씨처럼 생긴 중년 배우를 쓰려고 했다고 [5] 농담이긴 하지만 실제로도 그렇다. 지나치게 눈에 띄는 외모는 은밀성이 생명인 정보원에겐 큰 단점이다. [6] 그런데 스네이프의 작중 나이는 많아봤자 30대 후반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