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7:52

박규수(고종, 군밤의 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조선의 역대 총리대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직함 이름 임기 정당 비고
취임 퇴임
통리기무아문 총리대신 1 박규수 1866년 1871년
개화당
을축변법 시행
명전법 시행
2 이유원 1871년 1880년 - 연병법 시행
국제 제정
영의정 겸 총리대신 3 홍순목 1880년 1884년 - 조일동맹 체결
교린삼장 반포
4 심순택 1884년 1888년 - 경복궁 중건
5 최익현 1888년 1892년
자유당
첫 직선 총리대신
신촌향약 시행
유라시아 동맹 체결
6 민태호 1892년 1894년
만민공산당
양력 및 개국 연호 도입
계사황란
7 김옥균 1894년 1898년
개화당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시행
을미정난
만국평화회의 개최
8 김홍집 1898년 1902년
자유당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시행
격치물성청 설치
9 전봉준 1902년 1906년
만민공산당
평양 아주대회 개최
10 김옥균 1906년 1912년
개화당
1910년 이후로 전시거국내각
11 박은식 1912년 현재
자유당
}}}}}}}}} ||
박규수
朴珪鶴
출생 1807년 ( 순조 7년) 10월 27일
조선 한성부 북부 양덕방 계생동계
사망 1884년(향년 77세)[1]
조선 한성부 북부 자택
본관 반남 박씨
환경(桓卿)
환재(桓齋)
시호 문충(文忠)[2]
당적 개화당
약력 이조 참의(吏曹 參議)
이조판서(吏曹 判書)
통리기무아문 초대 총리대신
한성 북부 참의대부
개화당 초대 영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모 부친 박종채(朴宗采)
모친 전주 류씨
부인 연안 이씨
자녀 제응 }}}}}}}}}
1. 개요2. 행적

[clearfix]

1. 개요

대체역사물 고종, 군밤의 왕에 등장하는 박규수이다.

2. 행적

할아버지 연암 박지원의 영향을 받아 철종이 승하하기 전부터 개화에 뜻을 두고 있었다. 귀남의 군밤 덕분에 오경석이 귀남의 스승이 되고 박규수 또한 흥선군과 안면을 트게 되었다. 흥선군과 철종이 이끈 정변에 참여하여 장동 김문을 몰아내지만 흥선군의 야망을 눈치채고 그를 견제하기 위해 김문을 완전히 내치지 않고 관계를 유지하며, 이는 나중에 명문거족들이 개화당을 지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교역에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하여 철종 승하 뒤 김포 문수산에 왕릉을 조성하는 것에 반대하지만, 귀남과의 독대에서 귀남이 시국의 어려움과 개화의 대의에 공감하는 말을 남기자 '개화의 언약'을 받았음을 기뻐하고 귀남을 믿고 따르게 된다. 지지자들을 규합하여 조정에 '개화소'를 올리고 귀남이 미래 지식을 토대로 제안한 정책을 한데 모아 신법(을축변법)을 제정하고 척화파의 왕안석 납시었다는 비아냥을 들으면서도 이항로 등 척화파를 논파하였다.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뒤에는 대원군과 합의하여 원 역사보다 일찍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의 초대 총리대신으로서 권력을 나눠받아 대전회통, 특히 토지개혁인 명전법을 제정하여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1871년, 자기가 만들어낸 성공의 그림자가 언젠가 자신을 덮칠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이 들어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후학들로 김윤식, 어윤중 등을 가르치며 대원군이 욕심을 부리면 이들 젊은이들이 그 자리를 노릴 것이라며 안심한다.

1873년, 2년간 휴식을 마치고 한성 참의대부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여 치과병원 건설을 공약을 내세워 오경석을 꺾고 정계에 복귀했다. 그리고 대부 자리를 얻자마자 개화당의 재결성을 선포하고 '문명과 진보의 당'이라고 당명도 멋지게 프랑스어로 옮기고는 홍보 책자를 공사관에 돌렸다.

1884년, 유작으로 거의 대부분의 글이 한글로 적힌 '遠國과 隣國의 事情을 論함'[3]을 남겨 한글전용의 토대를 닦았으며 한글에 띄어쓰기 및 여러 문장부호를 도입하였다. 병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노씨권학상 유학상을 수상하고는 귀남이 지켜보는 앞에서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원래 1877년에 죽는데 당시에도 나이는 많았지만, 건강한 사람이 갑자기 죽었다는 평을 받았고 여기서는 마음 고생이 덜해서인지 더 장수했다.

부고가 나자 문인 사족들뿐만 아니라 거리의 장삼이사들 입에서도[4] 나라의 큰 어른이자 일세의 명재상이었노라는 추앙을 받으며 작중 가장 명예롭게 퇴장했다. 장사하는 상인들까지 그를 기려 영업을 쉬었을 정도였다. 워낙 명성이 높아 이완용이 세도가의 부패를 공격할 때 그의 가문 반남 박문은 제외했을 정도이다. 사후 문관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시호라고 할 수 있는 문충(文忠)을 받았다.

[1] 원 역사보다 7년 더 살았다. [2] 원 역사에서는 문익(文翼)이었다. [3] 깨알같이 원작의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대목까지 화이(중화와 오랑캐)의 구분을 두고 "이 얼마나 우활하면서도 무서운 말인가"로 치환되었다. [4] 이 장면은 단순히 그가 세인들에게 존경받았다는 것 외에도, 유작에서 글은 "낡지 아니할 큰일"이라며 "억만 백성이 함께 풍속을 교화하면 능히 오랑캐 세상도 중화의 세상으로 만들고, 만천하가 문명으로 가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굳이 '언문'으로 남긴 바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