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랑나르 프리슈 | 얀 틴베르헌 | 폴 새뮤얼슨 | 사이먼 쿠즈네츠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1974 | ||
존 힉스 | 케네스 애로우 | 바실리 레온티예프 | 군나르 뮈르달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1976 |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찰링 코프만스 |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 밀턴 프리드먼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1979 | ||
베르틸 올린 | 제임스 미드 | 허버트 사이먼 | 시어도어 슐츠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1981 | 1982 | |
아서 루이스 | 로런스 클라인 | 제임스 토빈 | 조지 스티글러 | |
<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제라르 드브뢰 | 리처드 스톤 | 프랑코 모딜리아니 | 제임스 뷰캐넌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로버트 솔로우 | 모리스 알레 | 트뤼그베 호벨모 | 해리 마코위츠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1992 | ||
머턴 밀러 | 윌리엄 샤프 | 로널드 코즈 | 게리 베커 | |
<rowcolor=#cd9f51> 1993 | 1994 | |||
로버트 포겔 | 더글러스 노스 | 존 하사니 | 존 내시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라인하르트 젤텐 |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 제임스 멀리스 | 윌리엄 비크리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로버트 머튼 | 마이런 숄즈 | 아마르티야 센 | 로버트 먼델 | |
<rowcolor=#cd9f51> 2000 | ||||
제임스 헤크먼 | 대니얼 맥패든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1. 개요
Wassily Wassilyevich Leontief. 1905년 8월 5일 ~ 1999년 2월 5일미국의 경제학자.
2. 생애
1905년 당시 독일 제국의 영토였던 뮌헨에서 태어났다. 이후 그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 1932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으며 194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의 교수가 되었다. 1973년에 '산업연관분석의 개발 및 주요 경제 문제에 대한 그 응용'에 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그는 후학 양성에도 힘을 써서, 레온티예프의 아래에서 수학한 폴 새뮤얼슨, 로버트 솔로우, 버넌 스미스, 토머스 셸링 등은 유명한 경제학자로 성장하였는데, 이들도 후일 모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경제학을 배우는 학생들에게는 완전보완재 관계인 두 재화에 대한 효용함수와, 노동/자본을 특정 비율로만 결합하여 재화를 생산하는 특수한 형태의 생산함수를 가리키는 레온티예프 효용함수/생산함수 [math(\min \{ax_1, bx_2\})][1]로 친숙하다. 반면 정작 그의 최대 업적인 산업연관분석은 꽤나 마이너한 각론 분야인 편.
[1]
악랄한 문제의 경우 일반적인 형태인 [math(\min \{f(x_1), g(x_2)\})]로도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