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12:58:27

목간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 좌현왕 불사후 면중후
부여기 부여곤지 부여례 목간나
도한왕 아착왕 매로왕 불사후
저근 부여고 부여력 부여고
매라왕 벽중왕 불중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
섭정 비정통
전지왕 섭정 찬탈 비정통 비정통
부여훈해 부여설례 진이왕 부여태
부흥운동 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 대방군왕 대방군왕
풍왕 부여융 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 덕좌왕 호왕 진왕
추존
태조 도모왕
}}}}}}}}}



백제국 후작
목간나 | 木干那
<colbgcolor=#4eae47><colcolor=#fbe673> 작위 면중후(面中侯)
직위 광위장군(廣威將軍)
주군 동성왕
가문 대성팔족 중 목씨(木氏)
성씨 목(木)
이름 간나(干那)
생몰연도 미상


1. 개요2. 생애
2.1. 남제서 기록2.2. 북위를 무찌르다2.3. 제후에 봉해지다
2.3.1. 관작의 의미

[clearfix]

1. 개요

백제 왕조의 제후. 백제 면중(面中) 지역을 분봉 받았다. 제24대 동성왕 시대의 후작이다. 백제의 유명한 대성팔족 목씨 귀족 출신. 참고로 백제의 목씨는 근초고왕 대 한반도 중남부 정벌을 주도하며 세력을 확대했으며 이후로도 정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생애

2.1. 남제서 기록

목간나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 중국의 역사서인 《남제서》에 등장한다.

목간나는 목씨 귀족이고 분명히 백제의 뛰어난 장수였을 것이다. 또한 면중의 후작이었던 만큼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줬겠지만 아쉽게도 매우 단편적 기록 밖에 없다.

2.2. 북위를 무찌르다

서기 490년 북위가 백제를 침공하자[1] 목간나는 동성왕의 명을 받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와 함께 북위군을 대파했다.

네 장군 중 가장 큰 전공을 세운 듯 하다. 목간나만 추가적인 설명이 붙어있다. 전쟁 이전 젊은 나이에도 이미 군공이 있었다고 하며, 북위와 전쟁 중, 북위군의 누선을 크게 격파했다고 돼 있다. 또한 북위 '해군'을 괴멸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는 걸 보아 북위군은 해로를 통해 침공했다고 추정되고 있다.

2.3. 제후에 봉해지다

백제의 동성왕 천자(天子)처럼 종실 및 공신에게 작위를 하사해 분봉(分封)을 실시했다. 하지만 남제 등 중국 왕조들에겐 제후국을 자처했음으로 그들에게 백제가 내린 작위를 인정해달라는 제스처를 취했다.

즉 '내가 내린건 임시로 한거니까 님이 허락 해주셈!' 같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작위를 봉했다. 그리하여 목간나는 '광위장군 면중후(廣威將軍 面中侯)'의 관작을 제수받았다.

2.3.1. 관작의 의미

광위(廣威)은 '널리 위엄을 떨치다'란 의미. 면중은 구 마한 지역, 즉 현 전라도 일대의 지역명이다. '널리 위엄을 펼친 장군'이자 '면중의 후작'인 셈.

도한왕(都漢王) 저근의 전 작위가 면중왕이었다. 저근의 시대엔 면중의 독립성이 매우 강해 왕작이 분봉됐지만 목간나의 시대엔 백제에 꽤나 흡수되 후작으로 내려간 걸지도 모른다. 아니면 동성왕이 이미 세력이 월등히 강한 목씨에게 왕작을 주기 싫었던 걸 수도.

그가 분봉받은 면중(面中) 지역은 현 전라남도 광주에 비정하는 설이 있는데, 조상뻘인 목라근자 목만치처럼 백제 남부 경영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1] 이에 대해선 동성왕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