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9 23:49:26

리일규


<colbgcolor=#000><colcolor=#fff> 리일규
Ri Il-kyu
파일:리일규(1).jpg
출생 1972년 ([age(1972-01-01)]세)
평양시[1]
가족 배우자, 자녀
학력 평양외국어학원 (프랑스어과 / 졸업)
쿠바 아바나대학 (프랑스어과 / 졸업)
평양외국어대학 (에스파냐어과 / 졸업)
경력 쿠바 북한대사관 3등(대외직급 1등) 서기관 (2011. 9 ~ 2016. 1)
북한 외무성 1국 과장 (2016. 4 ~ 2016. 12)
북한 외무성 아프리카, 아랍, 라틴아메리카국 부국장 겸 당세포비서 (2016. 12 ~ 2019. 2)
쿠바 북한대사관 참사 겸 당세포비서 (2019. 3 ~ 2023. 11)[2][3]
소속 정당

(~2023)

1. 개요2. 생애
2.1. 탈북
3. 언론 보도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의 前 외교관.

2023년 11월경 대한민국으로 귀순하였고, 이후 2024년 7월 16일 조선일보의 단독 보도로 공개되었다.

2. 생애

파일:2013년리일규.jpg
2013년 청천강호 억류 당시 파나마로 파견된 리일규 (왼쪽)
1972년 평양에서 태어났고, 통일전선부 산하 무역 회사에서 대남사업을 하던 아버지를 따라 알제리 쿠바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이후 평양외국어학원과 쿠바 아바나대학, 평양외국어대학을 거쳐 1999년 외무성에 입부하였다.

쿠바 대사관의 3등서기관(대외직급은 1등서기관)으로 근무하던 2013년, 파나마에서 북한 선박 청천강호가 쿠바에서 지대공 미사일과 MiG-21 전투기 부품을 싣고 통과하려다가 압류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리일규는 파나마와 교섭을 벌여 청천강호의 억류를 해제시키고 선원과 선장을 석방시켜 김정은으로부터 표창장을 받았다.

평양 외무성에서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1국(방침집행국) 과장, 이후 2019년까지 아프리카, 아랍, 라틴아메리카국 부국장 겸 당세포비서로 근무하였다. 2018년 미겔 디아스카넬 당시 쿠바 국가이사회 위원장 방북 행사 등을 총괄하며 여러 차례 김정은과 대면하기도 했다.

2019년, 쿠바 대사관의 정무참사(정치 담당 참사관)에 임명되었다. 이때 맡았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한국-쿠바 수교 저지였다.

2.1. 탈북

조선일보와의 인터뷰
BBC코리아와의 인터뷰
탈북을 결심하게 된 직접적 계기는 노력에 대한 불평등한 평가, 그에 대한 좌절감과 분노 때문이었다. 북한 외무성은 주로 권세 있는 집안 출신이 많은데, 본인은 사무(事務) 출신으로 사회성분[4]이 노동자나 군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해 최하위 직급으로 입직하여 성실히 노력해 고위직에 올랐다고 밝혔다.

2019년 8월, 쿠바 북한식당을 내기 위해 평양에 가자 외무성 대표부지도과 부국장이 적잖은 뇌물을 요구했는데 리일규는 자금 여유가 부족해서 미뤘다. 이에 대표지도부과 부국장은 앙심을 품고 그를 소환하려 했고, 업무평가에도 불이익을 주었다. 2023년 목디스크로 오른팔 마비 증상이 생겨 멕시코로 이동해 치료하게 해달라고 외무성에 요청했으나 24시간도 되지 않아서 거절당했고, 이때 격분하여 북한을 떠나기로 마음먹었다. 부모님과 장인, 장모가 모두 돌아가신 것과 자녀의 미래에 대한 생각도 결심에 일조했다고 한다.

2023년 7월 중순부터 탈북을 준비해 11월경 가족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귀순했다. 쿠바를 떠나 제3국을 거쳐 탈북했으며, 구체적인 탈북 방식에 대해서는 북한 당국이 사전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탈북할 다른 외교관들을 위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새 여권이 발급되자마자 비행기표를 사놓고, 탈북 6시간 전인 밤 10시에 아내와 아이를 불러 "외국에 나가 살자"는 말로 탈북할 결심을 밝혔다. 자가용을 대사관 건물 주차장에 두었기에 차를 가지러 가는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새벽 2시에 택시를 불렀다. 당시 앞집에 다른 북한 외교관 가족이 살고 있어서 밤에 나가는 것을 수상하게 여길까 걱정했다고 한다. 그러는 과정에서 모아둔 달러를 비롯한 소지품도 다 못 챙기고 급하게 탈출했다.

미국 국무부 파텔 부대변인은 2024년 7월 18일 브리핑에서 리일규의 한국 망명과 관련한 논평 요청에 대해 "북한 정권의 참혹한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북한 주민이 있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고 말했다. #

3. 언론 보도

4. 여담

5. 관련 문서


[1] 대한민국 헌법과 국적법을 바탕으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의 주민과 후손들은 외국 국적을 따로 취득하지 않은 이상 태어날 때부터 한국 국적을 보유하게 된다. 북한에 행정권이 미치지 않음에 따라 북한주민은 남한 국적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을 뿐, 남한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 표기를 하지 않는다. 대법 96누1221 판결 [2] 리일규 프로필 참조 [3] 정무참사의 경우, 대한민국의 공무원 급수와 대응하면 2급 공무원으로 취급된다. [4] 일반적으로 노동계급, 군인계급, 사무원계급, 농민계급으로 나뉜다. [5] 북한의 시장 환율이 2024년 7월 기준 '1달러 = 12,000북한원 초반'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약 0.25달러, 공식 환율(1달러 = 100북한원)로는 30달러(한화 약 41,200원)이다. [6] 외교행낭은 비엔나 조약에 의해 당사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가 내용물을 확인하는 게 불가능하다. [7] 채널A 인터뷰에서는 쿠바인이 "¿Corea bueno? ¿Corea malo?(좋은 한국인이야? 나쁜 한국인이야?)"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좋은 한국은 어디고 나쁜 한국은 어디냐"고 되묻자 노스는 나쁜 한국, 사우스는 좋은 한국이라는 대답이 되돌아왔다고 한다. # [8] 한국과 쿠바는 2024년 2월 14일 수교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유엔 회원국 중 2개국이던 단독 수교국이 시리아 1개국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참관국인 팔레스타인까지 포함하면 2개국이다.) [9] 국제적으로 북한의 이미지가 '깡패국가'로 각인되었기에 북한의 고위층임을 숨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0] 이란, 시리아, 쿠바, 베네수엘라 등이 대표적이다. [11] 친북 국가의 사례는 아니지만, 실제로 북한은 2016년 UN 총회에서 모크위치 마시시 보츠와나 부통령에게 "악당국가", "UN 회원국 자격도 없다"는 말까지 들어야 했다. # 실제로 보츠와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경제, 정치 모두 가장 건실한 국가인 만큼 2014년 UN이 작성한 북한 인권 보고서를 읽고 북한의 인권 실태와 안보 위협에 분개하여 북한과 단교할 정도였는데, 이때 북한은 보츠와나에게, 그것도 UN에서 검둥이(black bastard) 운운했다. # 이후 2015년 이안 카마 대통령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지도부가 " 석기시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난했다. # 아프리카 약소국에게도 이런 취급을 당하는 것이다. 물론 보츠와나는 겉보기에만 약소국일 뿐 내실은 아프리카 국가 중 가장 탄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