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15:31:36

라이언 테더

파일:OneRepublic.png

브라이언 윌렛
라이언 테더
드류 브라운
에디 피셔
잭 필킨스
브렌트 커즐

[ 정규 앨범 ]
||<width=25%>||<width=25%>||<width=25%>||<width=25%>||
Dreaming Out Loud
2007
Waking Up
2009
Native
2013
Oh My My
2016
Human
2021
Artificial Paradise
2024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라이언 테더
Ryan Tedder
파일:ryan tedder.webp
본명 라이언 벤자민 테더
Ryan Benjamin Tedder
출생 1979년 6월 26일 ([age(1979-06-26)]세)
미국 오클라호마 주 털사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보컬리스트, 작곡가
악기 보컬, 피아노, 키보드, 기타, 베이스, 드럼
소속 그룹 원리퍼블릭
학력 오럴 로버츠 대학
배우자 제네비에브 테더(2004년 결혼)
자녀 아들 코플랜드 크루즈 테더, 마일즈 메릭 테더

1. 개요2. 활동
2.1. OneRepublic2.2. 솔로 활동2.3. 작곡
3. 음악적 특징
3.1. 보컬3.2. 작사,작곡
4. 논란 및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가수,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이자 밴드 OneRepublic의 리드 보컬리스트이다.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곡에 작곡으로 참여했다.

2. 활동

2.1. OneRepublic

라이언 테더는 2002년 잭 필킨스와 함께 원리퍼블릭을 결성했다. 보컬뿐만 아니라 기타, 피아노를 다루며 에디 피셔와 함께 드럼을 연주하기도 한다.

2.2. 솔로 활동


2019년 아부다비 스페셜 올림픽 주제곡이다. 에이브릴 라빈, 루이스 폰시, Hussain Al Jassmi, 아살라 나스리, 타메르 호스니와 함께 불렀다.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알레소의 곡에 피쳐링했다.

2.3. 작곡

U2의 Songs of Innocence, 비욘세 Halo, 마일리 사이러스 Angels Like You, 에드 시런의 Happier, 리오나 루이스의 Bleeding Love 등을 작곡했다. 이 외에도 조나스 브라더스, 제니퍼 로페즈, 데미 로바토, 카밀라 카베요, 레이디 가가, 아니타, 원 디렉션, 마룬 5 등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곡을 작곡했다.

3. 음악적 특징

3.1. 보컬

라이트 리릭 테너톤이며 동시대 함께 성장했던 이매진 드래곤스, 마룬5, 콜드플레이의 보컬들 중 음역대 자체는 가장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 천식으로 인해 라이브에서 기복은 있지만 컨디션이 좋은날엔 C#6까지 올라가는 음역대를 보여준다. 저음, 가성 또한 잘 사용하며 특히 Good Life에서 드러난다.

하지만 최근엔 50대에 가까워진 나이와 천식으로 인해 전성기때 보단 더 아쉬운 모습을 보고 있다.

3.2. 작사,작곡

국내에선 아직까진 큰 인지도가 없어 부각되진 않지만 작곡 능력또한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여러 악기를 다룰수 있을 만큼 음악적인 재능이 있고 직접 자신이 밴드의 작사,작곡,프로듀싱을 한다. 또 다른 아티스트들과 콜라보를 하거나 곡을 줄정도.

곡의 분위기와 가사는 만국공통인 사랑 노래도 있지만 자신의 인생에 대한 서사와 삶의 관한 의미를 담은 곡을 많이 쓴다. 원리퍼블릭의 최대히트 곡이자 21세기 밴드곡 중에서도 큰 인기를 끈 Counting Stars에 대해 라이언 테더가 한 말을 보면
'다수의 음악가들이 사랑 성과 욕망 돈에 대해 노래하니 누군가는 인생과 신념 희망 자연에 대해 노래하는 곡을 써야 한다'
2013년 빌보드 인터뷰에서

이렇게 국내팬들도 항상 원리퍼블릭의 가사를 칭찬하는 말이 많을만큼 좋은 작사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다.

음악적 변화도 현악기 천지였던 초반에 비해 최근엔 발매하는 앨범 마다 새로운 사운드와 분위기를 추구하는등 트렌드적인 모습도 보이고 있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neRepublic 문서
번 문단을
욱일기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