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동철 이음 이의어( 同 綴 異 音 異 義 語, heteronym)는 글자는 같지만 소리가 다르고 이에 따라 뜻도 다른 단어를 의미한다. 주로 표기 심도가 깊은 언어에서 볼 수 있다.2. 예
2.1. 한국어
2.1.1. 장단음 차이
- 가정(家庭)[가정]과 가정(假定)[가ː정]
- 간주(看做)[간주]와 간주(間奏)[간ː주]
- 갈다\ [替\][갈다]와 갈다\ [硏, 耕\][갈ː다]
- 광주(光州)[광주]와 광주(廣州)[광ː주]
- 눈\ [目\][눈]과 눈\ [雪\][눈ː]
- 말\ [馬\][말]과 말\ [言\][말ː]
- 사고(思考)[사고]와 사고(事故)[사ː고]
- 사과(謝過)[사ː과]와 사과[사과](沙果)
이들 예는 오늘날 한국어의 장단음 구별 소멸 경향에 따라 동음이의어화가 진행되고 있다.
2.1.2. 경음화 현상
- 잠자리[잠자리](곤충)와 잠자리[잠짜리](잠 자는 곳)
- 전주[전ː주](지역)와 전주[전ː쭈](저번주)
- 대가[대ː가](大家)와 대가[대ː까](代價)
- 송장[송ː장]( 시체)와 송장[송ː짱](送狀)
- 영장[영장](靈長)[1]과 영장[영짱](令狀)[2]
- 원장[원장](院長,園長 등)[3]과 원장[원짱](原狀,元帳)[4]
- 외과[외ː과/웨ː과](外踝)와 외과[외ː꽈/웨ː꽈](外科)
- 볼거리[볼거리](질병)와 볼거리[볼꺼리](볼 만한 것)
- 캘거리[캘거리](캐나다 도시 이름)와 캘거리[캘꺼리](캘 만한 것)
- 물질[물질](해저 식용 생물을 채취하는 일을 뜻하는 고유어)과 물질[물찔](物質)
- 열병[열병](閱兵)과 열병[열뼝](熱病)
- 지적[지적](指摘)과 지적[지쩍](知的)
- 병적[병적](兵籍)과 병적[병:쩍](病的)
- 안다[안다]('알다'의 활용형)와 안다[안따](껴안다)
- 세부[세ː부](細部)와 세부[쎄부](필리핀 도시 이름)
참고로 한자어와 고유어 그리고 혼종어(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된 경우)에서 동철 이음 이의어가 여럿 나타난다. 복합어에서의 후행 음절 경음화 양상을 보면 후행 음절이 고유어일 때보다 한자어일 경우가 더 많다.[5]
2.1.3. 둘 다 해당되는 경우
- 시가(市價)[시ː까]와 시가(市街)[시ː가], 시가(時價)[시까]와 시가(詩歌)[시가]로 같은 철자에 발음이 4개나 있다. 게다가 담배의 일종인 시가는 어두 경음화로 인해 [씨가]로 발음되어 실질적으로는 5가지이다.
- 성적(成績)[성적]과 성적(聖籍)[성ː적]과 성적(性的)[성ː쩍]
- 정적(靜寂)[정적]과 정적(正籍)[정ː적]과 정적(靜的)[정쩍]
- 고가(高架)[고가]와 고가(告暇)[고ː가]와 고가(高價)[고까]
- 소수(疏水)[소수]와 소수(小數)[소ː수]와 소수(素數)[소쑤]
2.1.4. ㄴ 첨가
- 일일이[일리리](하나하나)와 일일이[일릴리](112)[6]
2.1.5. 음성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어휘
- 일[일ː](노동)과 일[ʔ일](숫자)
- 예[예](예절)와 예[ʔ예ː](예전)
-
이르다[이르다](앞서다), 이르다[ʔ이르다](고자질)
ʔ는 성문 파열음이다. 다만 표준 발음법은 이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장단 차이 외에는 차이가 없다. 과거에는 ㆆ가 쓰였다.
2.2. 영어
- bass: '저음'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beis/, ' 농어'라는 의미로 쓸 경우 /bæs/로 읽는다.
- bow: '고개 숙여 인사하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baʊ/, '활'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boʊ/로 읽는다.
- close: '가까운'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kloʊs/, '닫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kloʊz/로 읽는다.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 중 하나이면서 동철 이음 이의어인 경우이다.
- desert: '버리다, 탈영하다'라는 뜻으로는 /dɪ'zɝt/(미국), /dɪˈzɜːt/(영국)이며, '사막'이라는 뜻으로는 /ˈdɛzɚt/(미국), /ˈdɛzət/(영국)이다.
- ensign: '깃발'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ensain/, ' 소위'라는 의미로 쓸 경우 /ensn/로 읽는다.
- gill: '아가미', '계곡'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ɡɪl/, '부피 단위', '처녀'라는 의미로 쓸 경우 /dʒɪl/로 읽는다.
- heavy: '무겁다'는 의미로 쓸 경우 /hevi/, 수의학 용어로 쓸 경우 /hiːvi/로 읽는다.
- job: '일'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dʒɑːb/, 성경의 인명( 욥기)으로는 /dʒoʊb/으로 읽는다.
- lead: '이끌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liːd/, ' 납'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led/로 읽는다.
- minute: '분(시간)'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mɪnɪt/, '미세하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maɪ|njuːt]/
- reading: 독서, 읽을거리 등의 의미로 쓸 경우 /ˈriːdɪŋ/, 영국의 도시 이름 중 하나라는 의미로 쓸 경우 /ˈredɪŋ/으로 읽는다.
- resign: 사임하다라는 의미일 때는 /rɪˈzaɪn/, 재계약하다라는 의미일 때는 /ˌriːˈsaɪn/로 읽는다. [7]
- resume: 재개하다라는 의미일 때는 /rɪzuːm/, '요약'이라는 의미일 때는 /ˈrezəmeɪ/라 읽는다. 후자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이어크리틱까지 반영해 résumé라고도 쓰나, 다이어크리틱을 빼고 쓸 때도 있다.
- row: 열( 列)이라는 뜻으로는 미국식 /roʊ/, 영국식 /rəʊ/이며 언쟁이라는 뜻으로는 /raʊ/이다.
- tear: '눈물'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tiər/, '찢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teər/로 읽는다.
- wind: '바람'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wɪnd/, '감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waɪnd/로 읽는다.
2.2.1. 굴절/품사 전성
- graduate: 동사형은 /ˈɡræd͡ʒueɪt/, 명사형은 /ˈɡræd͡ʒuət/으로 읽는다.
- live: 동사형은 /liv/, 형용사형은 /laiv/로 읽는다.
- read: 현재형은 /riːd/, 과거 및 과거 분사형은 /red/로 읽는다.
2.2.1.1.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주위 음소 환경에 따른 형태소의 자음 발음 변화가 심한 한국어와 대조적으로 영어는 강세에 따라 형태소의 모음 발음이 잘 변한다. 발음보다는 형태소를 보존하는 표기를 쓰는 영어의 특성상 같은 철자임에도 강세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른 동철 이음 이의어가 있다. 대개 동사일 때 강세가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record: 명사형은 /rekəːrd/, 동사형은 /rikɔːrd/로 읽는다.
- present: 명사형은 /ˈpreznt/, 동사형은 /prɪˈzent/로 읽는다.
2.3. 일본어
관련 문서: 음독으로 혼동하기 쉬운 훈독같은 한자라도 훈독(+ 숙자훈), 오음, 한음, 당음, 아테지 등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같은 개념도 여기서 파생된 것.
- 人気: 인기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にんき로 읽으며, 사람의 기척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ひとけ로 읽는다.
- 八百万: 800만이라는 수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はっぴゃくまん으로 읽으며, 신토에서 모시는 신들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やおよろず라고 읽는다.
- 仮名: 가명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かめい로 읽으며, 일본어의 고유 문자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かな로 읽는다.
- 年生: 학년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ねんせい로 읽으며, 태어난 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ねんうまれ로 읽는다.
- 大人: 신체적으로 큰 사람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たいじん으로 읽으며, 어른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おとな로 읽으며, 중세시대의 영주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うし로 읽는다.
- 大文字: 대문자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おおもじ로 읽으며, ' 大'를 쓴 것을 이르는 의미로 쓸 경우 だいもんじ로 읽는다.
- 一文字: 한 글자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いちもじ 또는 ひともじ로 읽으며, ' 一'을 쓴 것을 이르는 의미로 쓸 경우 いちもんじ로 읽는다.
- 十文字: 열 글자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じゅうもじ로 읽으며, ' 十'을 쓴 것을 이르는 의미로 쓸 경우 じゅうもんじ로 읽는다.
- 大丈夫: 대장부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だいじょうふ로 읽으며, 괜찮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だいじょうぶ로 읽는다.
- 紅葉: 단풍나무의 잎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もみじ로 읽으며, 단풍이 물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こうよう로 읽는다.
- 百姓: 백성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ひゃくせい, 농민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ひゃくしょう라고 읽는다.
- 上下: 위아래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うえした/じょうげ/しょうか, 사무라이의 예복[8]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かみしも로 읽는다.
- 石: 암석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せき 또는 いし, 섬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こく로 읽는다.
- 天津: 톈진시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てんしん, 하늘에 있는 무언가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あまつ로 읽는다.
- 仏語: 붓다의 말씀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ぶつご, 불어( 프랑스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ふつご로 읽는다.
- 汁: 즙 또는 국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しる, 조미 간장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つゆ로 읽는다.
- 白湯: 끓인 물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さゆ, 목욕물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はくとう, 육수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パイタン으로 읽는다.
- 菖蒲: 창포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しょうぶ, 붓꽃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あやめ로 읽는다.
- 訓読: 훈독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くんよみ, 일본식으로 재배치한 한문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くんどく로 읽는다.
2.4. 중국어
한문을 배울 때 '왜 이 한자는 훈음이 두 개이지?' 하는 질문을 떠올렸을 것이다. 문백이독 참조.- 了: 완료 상을 나타내는 의미로 쓸 경우 le(무성조)로, 가능, 이해, 끝내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liǎo/(⮍)로 읽는다.
- 发: 하다, 발사하다라는 의미[9]로 쓸 경우 fā(→)로, 머리카락이라는 의미[10]로 쓸 경우 fà(↘)로 읽는다.
- 鉈: 분동, 추라는 의미로 쓸 경우 tuó(↗)로, 탈륨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tā(→)로 읽는다.
- 乐: 즐거움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lè(↘)로, 음악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yuè(↘)로, 좋아하다는 의미로 쓸 경우 yào(↘)로 읽는다.
- 斗: 도량형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dǒu(⮍)로, 싸움을 뜻하는 의미[11]로 쓸 경우 dòu(↘)로 읽는다.
2.5. 아랍어
아랍어는 아브자드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단모음을 표기하지 않기 때문에[12] 철자가 같더라도 단모음 발음이 다른 경우가 많다.- فطور: /fatˤuːr/는 '아침밥(단수 명사)', /futˤuːr/는 '버섯(복수 명사)'
- من: /man/은 '누구(의문사)', /min/은 '~에서(영어 from에 해당하는 전치사)', '~보다(비교급 전치사)'
- جزر: /d͡ʑazar/는 '당근(명사)', /d͡ʑazara/는 '그가 살육했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d͡ʑazr/는 '살육(단수 명사)', /d͡ʑuzur/는 '섬(복수 명사)'
- يغير: /juɣajːiru/는 '그가 바꾼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ɣiːru/는 '그가 공격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 غير: /ɣajːara/는 '그가 바꿨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ɣajr/는 '없다, 아니다'(불변사)
- كتب: /kataba/는 '그가 적었다, 그가 썼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kutiba/는 '그것이 적혔다, 그것이 쓰여졌다, 그것이 작성됐다, 그것이 집필됐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수동태), /kutub/는 '책(복수 명사)'
- يكتب: /jaktubu/는 '그가 적는다, 그가 쓴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ktibu/는 '그것이 적힌다, 그것이 쓰인다, 그것이 작성된다, 그것이 집필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수동태)
- قتل: /qatala/는 '그가 죽였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qattala/는 '그가 학살했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qutila/는 '그가 살해됐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수동태), /qatl/은 '살인, 살해'(명사)
- يقتل: /jaqtulu/는 '그가 죽인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qattilu/는 '그가 학살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qtalu/는 '그가 살해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수동태)
- أجر: /ʔad͡ʑara/는 '그가 보상했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ʔajr/는 '급여, 임금'(명사), /ʔad͡ʑd͡ʑara/는 '그가 빌려줬다, 그가 임대했다, 그가 세놓았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2.6.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강세 유무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따라서 철자가 같더라도 강세 위치가 다르면 발음이 달라진다.- дома: до́ма /'dwomə/ '집에, 집에서', дома́ /dɐ'ma:/ '집들'(복수)
3. 관련 개념
표기와 음성, 의미의 관계로 다음의 관련 부류를 형성할 수 있다.아래 네 개념은 한 단어의 변이형이다.
- 동철 동음 동의어: 그냥 동일한 단어이다. 따라서 이 부류에는 특별한 명칭을 만들 필요가 없다.
- 동철 이음 동의어: 한 단어의 발음 변이이다. 한국어에서는 '금융'(그뮹/금늉)[13] 따위를 들 수 있다.
- 동철 동음 이의어: 표기 심도가 얕은 곳에서는 대체로 동철 = 동음이므로 대체로 동음이의어와 지칭 대상이 같다. 보통 동음이의어라고 하면 이를 지칭한다.
- 동철 이음 이의어 (본 문서)
- 이철 동음 이의어: 발음이 겹친 다른 단어로, 동음이의어의 특수한 종류이다. 표기 심도가 깊은 곳의 동음이의어에서 종종 나타난다. right - rite 등. 음성언어로는 구별이 되지 않지만 문자언어로는 구별이 가능하기에 높은 표기 심도의 장점 중 하나가 된다.
- 이철 이음 이의어: 일반적인 별개의 단어이다.
4. 관련 문서
[1]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
[2]
구속 영장, 군대 영장
[3]
학원 원장, 유치원 원장 등
[4]
회계 원장, 소송 원장 등
[5]
김홍석, "후행 음절 고유어의 硬音化에 대하여 - 이음절의 同綴異音語를 대상으로 -", 한어문교육 제13집, 2005년 1월, pp.147-159. 단, 이 논문의 문제점은 다양한 음운론적 변인을 통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컨대,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한자어에만 적용되는 '
ㄹ-경음화'라는 현상이 있는데, ㄹ 뒤에 나오는
치경음을 무조건적으로 경음화하는 것이다.
[6]
ㄹㄴ이 ㄹㄹ로 동화함.
[7]
후자는 하이픈을 넣어 re-sign으로 적을 수 있다.
[8]
裃라는 한자를 따로 쓰기도 한다.
[9]
정체자의
發에 해당
[10]
정체자의
髮에 해당
[11]
정체자의
鬪에 해당
[12]
단어의 실제 의미는 자음에 있는 데다 모음이 적기 때문에 통생략해도 불편이 적은 것. 모음을 명시하는 곳은
쿠란이나 초등학교 교과서 등 한정적이다.
[13]
후자는
사잇소리가 개재된 것이다. 주로
동남방언에서 자주 일어나며 동남방언에선 '
금요일'도 종종 [금뇨일\]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