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9-19 20:57:23

동티모르 여권

파일:아시아 아이콘.svg 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별 여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대한민국 여권 북한 여권 중국 여권 홍콩 여권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마카오 여권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대만 여권 일본 여권 몽골 여권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레바논 공화국 여권 시리아 여권 이라크 여권 쿠웨이트 여권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이란 여권 이스라엘 여권 팔레스타인 여권 요르단 여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여권 바레인 여권 예멘 여권 오만 여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여권 카타르 여권 튀르키예 여권 키프로스 여권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북키프로스 여권 압하지야 여권 남오세티야 여권
남아시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여권 파키스탄 여권 인도 여권 방글라데시 여권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몰디브 여권 스리랑카 여권 네팔 여권 부탄 여권
북아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연방 여권
동남아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미얀마 여권 라오스 여권 캄보디아 여권 베트남 여권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태국 여권 말레이시아 여권 싱가포르 여권 브루나이 여권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필리핀 여권 인도네시아 여권 동티모르 여권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여권 우즈베키스탄 여권 키르기스스탄 여권 투르크메니스탄 여권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여권 }}}}}}}}}
동티모르 민주공화국 여권
Passaporte da 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
Passport of Democratic Republic of Timor-Leste

파일:EPassport_logoWhite.svg
파일:동티모르 여권 표지.jpg
발급 국가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발급 기관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법무부
제작 기관 파일:Thales.png
파일:한국조폐공사 CI_좌우.svg
포르투갈어 Passaporte da 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
Passaporte timorense
영어 Passport of Democratic Republic of Timor-Leste
East Timorese passport
한국어 동티모르 민주공화국 여권
동티모르 여권

1. 개요

1. 개요

동티모르의 국적자가 발급받을수 있는 여권이다. 2002년 인도네시아로부터 정식독립하기 전까지는 UN이 발급한 여행증명서를 발급받아 사용해야했다. 코소보 여권의 역사와 닮았다.

2015년부터 유럽연합 각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졌으며 2022년 기준 영국에서도 6개월 체류할 수 있다. 이 덕에 여권 순위를 보면 중국 여권보다 10여개국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일랜드는 아직 무비자 혜택이 없으며, 언어적으로 가까운 남미 국가들도 에콰도르 90일과 수리남 전자비자를 제외하면 무비자인 국가가 없다. 동아시아 또한 아직 갈 길이 멀다.

2017년 6월 6일부터 전자여권 발급을 시작했다. 프랑스 탈레스 그룹(당시 제말토)과 한국조폐공사가 동시에 제작하고 있는데, 이름과 출신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각각 동티모르 독립에 관여한 유럽연합, 대한민국 정부와 연관이 깊다. 제작 분담은 아무래도 신생국가인 만큼 비용상승과 외화유출을 억제하려는 면이 크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