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e4d>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동구 |
중구 |
유성구 |
대덕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518e>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518e> 은행선화동 | 은행동 | 선화동 | |||||||||||
목동 | 목동 | ||||||||||||
중촌동 | 중촌동 | ||||||||||||
대흥동 |
구청
대흥동
|
||||||||||||
문창동 | 문창동 | ||||||||||||
석교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석교동 | 옥계동 | 호동 | }}} | ||||||||
대사동 | 대사동 | ||||||||||||
부사동 | 부사동 | ||||||||||||
용두동 | 용두동 | ||||||||||||
오류동 | 오류동 | ||||||||||||
태평1, 2동 | 태평동 | ||||||||||||
유천1, 2동 | 유천동 | ||||||||||||
문화1, 2동 | 문화동 | ||||||||||||
산성동 | {{{#!wiki style="margin: -15.8px -11px" | 산성동 | 사정동 | 안영동 | 구완동 | 무수동 | |||||||
침산동 | 목달동 | 정생동 | 어남동 | 금동 | }}} |
대전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중구
中區 Jung-gu |
}}} | |||
<colbgcolor=#00518e><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중앙로 100 (대흥동)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7 동[1] | |||||
면적 | 62.18㎢ | |||||
인구 | 225,008명[2] | |||||
인구밀도 | 3,611.00명/㎢[3] | |||||
구청장 |
|
김제선 ( 초선) | ||||
구의회 |
|
5석[4] | ||||
|
5석[5] | |||||
|
1석[6] | |||||
시의원 |
|
3석[7] | ||||
국회의원 |
|
박용갑 (초선) | ||||
상징 | <colbgcolor=#00518e><colcolor=#fff> 구화 | 국화 | ||||
구목 | 소나무 | |||||
구조 | 비둘기 | |||||
지역번호 | 042 | |||||
링크 | | | | | |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의 중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동구와 함께 대전의 역사를 함께한 두 자치구 중 하나로 성심당 본점이 있는 곳이다. 서쪽은 유등천을 경계로 서구에, 동쪽은 대전천을 경계로 대덕구와 동구에, 남쪽은 금산군에 접해 있다.이름과는 달리, 지리적으로는 '남구(南區)'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남쪽에 치우쳐 있다. 원래 대전의 지리적 중심이자 행정적 중심이었으나, 대전 시역의 확장으로 교외 지역인 대덕군 지역이 차례로 편입되자, 대전의 중앙이었던 중구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남쪽으로 치우쳐진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8]
또한 대전광역시청이 둔산으로, 충청남도청이 내포로 이전해 간 뒤에는 중심지 기능까지 서구와 홍성·예산으로 넘어가면서 완전히 변방 지역이 되어 버렸다. 그래도 다른 중구들과 비교했을 때 인구는 가장 많고 면적도 제법 큰 편이다. 그러다보니 다른 대도시의 중구와는 다르게 유일하게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접해있다.[9][10][11]
2. 상징
마스코트 효도령&효낭자 | 브랜드 슬로건 |
|
|
대전 중구청[12] |
|
1989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한 옛 로고 |
3. 지역 특징
대전광역시청이 있었던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일대는 지금도 번화가가 있지만, 대전의 무게중심이 둔산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권은 조금씩 쇠락하고 있고, 은행동의 으능정이 정도만 남았다. 그래도 서대전네거리 근처는 큰 공원, 도시철도, 철도역, 대형마트, 영화관, 번화가, 큰 도로, 대학병원들( 충남대학교병원과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등등 소위 중심가가 갖출 수 있는 것은 모두 갖춘 곳이다.4. 인구
대전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77년 9월 1일 중부출장소 + 서부출장소 → 대전시 중구 설치 |
1980년 378,980명
|
1983년
2월 15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전역, 구즉면·탄동면·기성면·진잠면 각 일부 → 중구 편입 및 유성출장소 설치 1984년 9월 1일 대전시 중구 유성출장소 → 대전시 유성출장소(시 직할)로 승격 |
1985년 485,810명
|
1988년
1월 1일 유등천 서쪽 및 유성출장소 →
서구로 승격 분리 1989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 대전직할시 중구 승격 |
1990년 293,823명
|
1995년 266,071명
|
2000년 253,990명
|
2005년 255,962명
|
2010년 265,846명
|
2015년 256,186명
|
2020년 235,550명
|
2024년 10월 224,53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산성동 26,035명
|
태평2동 24,630명
|
|
문화1동 20,784명
|
|
목동 16,776명
|
|
석교동 14,836명
|
|
은행선화동 14,025명
|
|
중촌동 13,784명
|
|
유천2동 13,304명
|
|
대흥동 13,120명
|
|
태평1동 12,857명
|
|
문화2동 11,805명
|
|
오류동 10,333명
|
|
용두동 9,144명
|
|
부사동 6,455명
|
|
유천1동 5,918명
|
|
대사동 5,397명
|
|
문창동 4,303명
|
|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행정동별 인구 #===
은행선화동 인구 추이[13]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은행동, 선화동(법정동) → 은행동, 선화동(행정동) |
1966년 33,821명(은행동 8,230명 + 선화동 25,591명)
|
1968년
9월 1일 선화동 → 선화1동, 선화2동 분동 1970년 7월 1일 선화2동 → 선화2동, 선화3동 분동 |
1970년 37,536명(은행동 8,760명 + 선화1동 13,015명 + 선화2동 6,539명 + 선화3동 9,222명)
|
1975년 36,114명(은행동 7,046명 + 선화1동 13,042명 + 선화2동 6,905명 + 선화3동 9,121명)
|
1980년 35,080명(은행동 6,163명 + 선화1동 11,359명 + 선화2동 7,293명 + 선화3동 10,265명)
|
1985년 33,659명(은행동 5,864명 + 선화1동 10,642명 + 선화2동 6,943명 + 선화3동 10,210명)
|
1990년 25,161명(은행동 3,953명 + 선화1동 6,731명 + 선화2동 5,361명 + 선화3동 9,116명)
|
1995년 17,105명(은행동 2,241명 + 선화1동 4,798명 + 선화2동 3,387명 + 선화3동 6,679명)
|
1998년
1월 1일 선화1동 + 선화2동 + 선화3동 → 선화동 합동 1998년 11월 23일 은행동 + 선화동 → 은행선화동 합동 |
2000년 13,787명
|
2005년 14,534명
|
2010년 16,037명
|
2015년 17,593명
|
2020년 16,161명
|
2023년 9월 14,16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목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목동(법정동) → 목동(행정동) |
1966년 10,275명
|
1970년 10,258명
|
1975년 12,199명
|
1980년 12,784명
|
1985년 12,088명
|
1990년 11,472명
|
1995년 8,896명
|
2000년 7,181명
|
2005년 14,025명
|
2010년 14,149명
|
2015년 16,210명
|
2020년 14,737명
|
2023년 9월 16,75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중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중촌동(법정동) → 중촌동(행정동)(?) |
1966년 -명[W]
|
1970년 5,318명
|
1975년 7,364명
|
1980년 7,754명
|
1985년 8,055명
|
1990년 17,215명
|
1995년 18,208명
|
2000년 19,522명
|
2005년 17,980명
|
2010년 17,232명
|
2015년 15,232명
|
2020년 13,385명
|
2023년 9월 13,82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대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흥동 → 대흥1동, 대흥2동, 대흥3동 분리 |
1966년 27,426명(대흥1동 4,959명 + 대흥2동 11,816명 + 대흥3동 10,651명)
|
1970년 29,765명(대흥1동 4,796명 + 대흥2동 12,538명 + 대흥3동 12,431명)
|
1975년 29,120명(대흥1동 5,373명 + 대흥2동 12,607명 + 대흥3동 11,140명)
|
1980년 27,548명(대흥1동 4,615명 + 대흥2동 12,352명 + 대흥3동 10,581명)
|
1985년 26,798명(대흥1동 4,172명 + 대흥2동 12,548명 + 대흥3동 10,078명)
|
1990년 20,706명(대흥1동 1,931명 + 대흥2동 9,561명 + 대흥3동 9,214명)
|
1995년 14,434명(대흥1동 1,068명 + 대흥2동 5,603명 + 대흥3동 7,763명)
|
1998년 1월 1일 대흥1동 + 대흥2동 + 대흥3동 → 대흥동 합동 |
2000년 11,582명
|
2005년 10,941명
|
2010년 11,324명
|
2015년 14,035명
|
2020년 14,132명
|
2023년 9월 13,21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문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문창동(법정동) → 문창동(행정동) |
1966년 15,325명
|
1970년 7월 1일 문창동 → 문창1동, 문창2동 분동 |
1970년 18,663명(문창1동 9,249명 + 문창2동 9,414명)
|
1975년 18,351명(문창1동 9,798명 + 문창2동 8,553명)
|
1980년 17,606명(문창1동 8,826명 + 문창2동 8,780명)
|
1985년 15,976명(문창1동 7,848명 + 문창2동 8,128명)
|
1990년 13,878명(문창1동 6,616명 + 문창2동 7,262명)
|
1995년 9,971명(문창1동 4,751명 + 문창2동 5,220명)
|
1998년 1월 1일 문창1동 + 문창2동 → 문창동 합동 |
2000년 7,943명
|
2005년 6,375명
|
2010년 5,876명
|
2015년 5,208명
|
2020년 4,766명
|
2023년 9월 4,35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석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석교동 + 호동 + 옥계동 → 석교동 신설 |
1966년 4,427명
|
1970년 6,816명
|
1975년 12,612명
|
1980년 20,625명
|
1985년 25,888명
|
1990년 28,313명
|
1995년 26,594명
|
2000년 24,168명
|
2005년 21,308명
|
2010년 19,962명
|
2015년 17,765명
|
2020년 15,910명
|
2023년 9월 14,94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대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사동(법정동) → 대사동(행정동) |
1966년 9,797명
|
1970년 13,081명
|
1975년 15,216명
|
1980년 15,700명
|
1985년 15,375명
|
1990년 13,148명
|
1995년 9,758명
|
2000년 7,941명
|
2005년 7,437명
|
2010년 7,208명
|
2015년 6,287명
|
2020년 5,470명
|
2023년 9월 5,43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부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부사동(법정동) → 부사동(행정동) |
1966년 7,363명
|
1970년 10,253명
|
1975년 14,129명
|
1980년 17,401명
|
1985년 18,319명
|
1990년 15,586명
|
1995년 11,721명
|
2000년 9,948명
|
2005년 8,238명
|
2010년 7,862명
|
2015년 7,464명
|
2020년 6,780명
|
2023년 9월 6,48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용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용두동(법정동) → 용두동(행정동) |
1966년 14,148명
|
1970년 7월 1일 용두동 → 용두1동, 용두2동 분동 |
1970년 17,811명(용두1동 9,591명 + 용두2동 8,220명)
|
1975년 21,790명(용두1동 11,045명 + 용두2동 10,745명)
|
1980년 22,690명(용두1동 10,838명 + 용두2동 11,852명)
|
1985년 22,374명(용두1동 10,894명 + 용두2동 11,480명)
|
1990년 19,277명(용두1동 8,652명 + 용두2동 10,625명)
|
1995년 13,636명(용두1동 5,344명 + 용두2동 8,292명)
|
1998년 11월 23일 용두1동 + 용두2동 → 용두동 합동 |
2000년 11,520명
|
2005년 10,176명
|
2010년 11,404명
|
2015년 10,527명
|
2020년 9,679명
|
2023년 9월 9,18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오류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오류동(법정동) → 오류동(행정동) |
1966년 10,282명
|
1970년 4,564명
|
1975년 6,721명
|
1980년 8,718명
|
1985년 8,387명
|
1990년 15,923명
|
1995년 13,098명
|
2000년 11,927명
|
2005년 10,888명
|
2010년 10,814명
|
2015년 10,308명
|
2020년 10,431명
|
2023년 9월 10,39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태평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태평동(법정동) → 태평동(행정동) |
1966년 -명[W]
|
1970년 9,213명
|
1975년 13,702명
|
1980년 20,313명
|
1983년 10월 1일 태평동 → 태평1동, 태평2동 분동 |
1985년 17,877명
|
1990년 14,920명
|
1995년 10,644명
|
2000년 15,993명
|
2005년 13,908명
|
2010년 16,114명
|
2015년 14,968명
|
2020년 13,607명
|
2023년 9월 12,86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태평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태평동 → 태평1동, 태평2동 분동 |
1985년 15,233명
|
1990년 18,679명
|
1995년 17,039명
|
2000년 19,665명
|
2005년 32,054명
|
2010년 31,269명
|
2015년 29,076명
|
2020년 26,297명
|
2023년 9월 24,66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유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유천동(법정동) → 유천동(행정동) |
1966년 4,626명
|
1970년 6,990명
|
1975년 10,743명
|
1980년 30,132명
|
1982년 9월 1일 유천동 → 유천1동, 유천2동 분동 |
1985년 16,076명
|
1990년 13,940명
|
1995년 10,417명
|
2000년 8,271명
|
2005년 7,536명
|
2010년 8,070명
|
2015년 6,820명
|
2020년 6,673명
|
2023년 9월 5,96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유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유천동 → 유천1동, 유천2동 분동 |
1985년 16,144명
|
1990년 14,719명
|
1995년 19,191명
|
2000년 18,161명
|
2005년 16,969명
|
2010년 16,036명
|
2015년 14,726명
|
2020년 13,898명
|
2023년 9월 13,35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문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문화동(법정동) → 문화동(행정동) |
1966년 7,007명
|
1970년 12,635명
|
1975년 19,015명
|
1980년 26,483명
|
1985년 29,751명
|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
1990년 15,345명
|
1995년 14,817명
|
2000년 16,464명
|
2005년 16,064명
|
2010년 24,435명
|
2015년 24,606명
|
2020년 22,851명
|
2023년 9월 20,85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문화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
1990년 11,009명
|
1995년 19,730명
|
2000년 19,193명
|
2005년 17,843명
|
2010년 16,676명
|
2015년 14,666명
|
2020년 12,906명
|
2023년 9월 11,88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산성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산성동 + 사정동 + 안영동 + 복수동 → 산성동 신설 |
1966년 5,355명
|
1970년 7,723명
|
1975년 13,203명
|
1980년 20,352명
|
1985년 24,032명
|
1985년
11월 1일 산성동 → 산성동, 복수동 분동 1988년 1월 1일 대전시 서구 신설 복수동 일부[16] → 산성동 환원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산내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산내면 → 산서동, 산내동 분리 |
1990년 24,532명(산성동 22,829명 + 산서동 1,703명)
|
1995년 30,812명(산성동 29,524명 + 산서동 1,288명)
|
1998년 11월 23일 산성동 + 산서동 → 산성동 합동 |
2000년 30,724명
|
2005년 29,686명
|
2010년 31,378명
|
2015년 30,426명
|
2020년 27,867명
|
2023년 9월 26,11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5. 경제
과거에는 중구가 원도심이었고 대전시청과 충남도청이 위치해 잘 나갔지만, 둔산신도시, 노은지구 개발 등 서구와 유성구 위주로 점차 대전이 확장하기 시작했고 둔산신도시로 대전광역시청이 이전하는 등 비롯한 주요 중구 소재 주요 관공서들이 둔산 등 신도심으로 이전했고 이외에도 대덕연구단지 조성으로 기업체, 공공기관들이 이동하며 쇠락하기 시작하였다.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키던 충청남도청이 홍성군에 위치한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며 예전보다 영광이 덜한 편이다.그래도 시청에서 손만 놓고 보는 것이 아닌지 대전도시공사,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테크노파크 등 굵직한 시청 산하 기관들과 지방병무청이나 출입국관리소, 준법지원센터 같은 일부 관공서가 원도심에 아직까지 자리잡고 있지만 경제적인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격차 이유로는 서구와 유성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대전청사, 대전광역시청, 각종 대학교 캠퍼스 등으로 대기업은 물론 중소 기업들과 백화점이 많아 기업 및 상권이 활발하지만 중구는 은행동 으능정이이나 중앙로 지하상가를 보듯 소상공인 위주 사업에다가 코스트코와 같이 소비업이 많은 구조이다. 오죽하면 중구 경제는 성심당과 코스트코 대전점,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와 충무체육관이 책임지고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시측에서도 대전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 0시축제를 기획하는 등 어떻게든 살리려고는 노력은 하고 있지만 여전히 예전 영광을 찾지 못하고 있다.
5.1.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518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구청 | 중구의회 | 중구보건소 | |||
대전충남지방병무청 | 대전세무서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 대전출입국·외국인사무소 | |
대전준법지원센터 | 위치추적대전관제센터 | 대전보호관찰심사위원회 | 국립환경과학원 중부권대기오염연구소 | |
서대전우체국 | 대전중부경찰서 | 대전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중부사업소 |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
대전교육연수원 분원 | 중구선거관리위원회 |
- 대전충남지방병무청
- 대전충남지방병무청 병역진로설계지원센터
- 대전세무서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 대전출입국·외국인사무소
- 대전준법지원센터
- 위치추적대전관제센터
- 대전보호관찰심사위원회
- 국립환경과학원 중부권대기오염연구소
- 서대전우체국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본사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전충청지역본부
- 코레일테크 본사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본사
- 한국컨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
- 한국문화정보원 문화체육관광사이버안전센터
- 한국산업인력공단 대전지역본부
- 한국가스공사 대전충청지역본부
- 한국가스기술공사 대전충청지사
- 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
-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중부지사
- 한국장학재단 대전센터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대전지역본부
- 새마을금고중앙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 대한결핵협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 인구보건복지협회 대전충남지회
-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대전교육센터
- 중구청
- 대전중부경찰서
- 대전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중부사업소
-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대전교육연수원 분원
- 한국효문화진흥원 본원
- 대전광역시노인복지관
- 대전평생교육진흥원 본원
- 대전복지재단 본사
- 대전문화재단 본사
- 대전도시공사 사옥[17]
- 대전도시공사 본사
-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소셜벤처캠퍼스
- 대전광역시노동권익센터
- 대전신용보증재단빌딩[18]
- 대전테크노파크 디스테이션[19]
- 대전테크노파크 본사
- 국민연금공단 동대전지사
- 대전세종연구원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 대전광역시일자리지원센터
5.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
대전 중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국가기관 | |||
서대전우체국 (10)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2)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5)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 | 우리은행 (2) | ||
SC제일은행 (1) | 하나은행 (7) | ||
국민은행 (2)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서대전농협 (10) | 동대전농협 (3) | 대전원예농협 (4) | 대전축산농협 (1) |
대전충남우유농협 (1) | |||
새마을금고 | |||
서대전새마을금고 (2) | 태평새마을금고 (2) | 대전중부새마을금고 (3) | 대전남부새마을금고 (2) |
남대전새마을금고 (3) | 대홍새마을금고 (2) | 원대전새마을금고 (4) | 대전건축사회새마을금고 (1) |
충무새마을금고 (2) | 대전개인택시새마을금고 (2) | ||
신용협동조합 | |||
유천신용협동조합 (3) | 충절로신용협동조합 (1) | 목동신용협동조합 (3) | 중도신용협동조합 (2) |
문창신용협동조합 (1) | 남대전신용협동조합 (1) | 대사신용협동조합 (1) | 선화신용협동조합 (1) |
대전교작원신용협동조합 (1) | KT대전충남신용협동조합 (2)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OK저축은행 (1) |
- NH농협은행 대전영업부
- 하나은행 대전영업부·대전고객센터[23]
- KB손해보험 충청호남본부
- 한화손해보험 중부본부
- 교보생명 중부본부·대전고객플라자
- 흥국생명 대전금융플라자
- KT 충남충북코어운용센터
- KT 대전지사
- LG유플러스 대전지사
- GS리테일 중부본부
5.3. 언론기관
5.4. 대형 상업시설
6. 교육
대전광역시 중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대전글꽃초등학교 | 대전대문초등학교 | 대전대신초등학교 |
대전대흥초등학교 | 대전동문초등학교 | 대전목동초등학교 | |
대전목양초등학교 | 대전문성초등학교 | 대전문창초등학교 | |
대전문화초등학교 | 대전버드내초등학교 | 대전보성초등학교 | |
대전보운초등학교 | 대전산성초등학교 | 대전석교초등학교 | |
대전선화초등학교 | 대전성모초등학교 | 대전신평초등학교 | |
대전오류초등학교 | 대전옥계초등학교 | 대전원평초등학교 | |
대전유평초등학교 | 대전중앙초등학교 | 대전중촌초등학교 | |
대전태평초등학교 | 산서초등학교 | 서대전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전광역시 중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대전글꽃중학교 | 대전대문중학교 | 대전대성중학교 | 대전동산중학교 | 대전문화여자중학교 | |
대전신일중학교 | 대전여자중학교 | 대전중앙중학교 | 대전중학교 | <colbgcolor=#fff,#1c1d1f> 대전태평중학교 | |
동명중학교 | 청란여자중학교 | 충남여자중학교 | 호수돈여자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전광역시 중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남대전고등학교 | ⊙ 대전고등학교 | ◈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 ※ 대전대성고등학교 | 대전동산고등학교 | |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 | ◈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 <colbgcolor=#ffcbcb,#340000> ◈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 대전중앙고등학교 | <colbgcolor=#fff,#1c1d1f> 대전한빛고등학교 | |
청란여자고등학교 | ◈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 충남여자고등학교 | 호수돈여자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구도심이다보니 학교 수 대비 학생 수가 부족하며, 특히 서대전네거리쪽이 아닌 부사동 쪽은 상황이 심각하다. 10~20대 학생/청년층의 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 당장 학교만 봐도 청란여자중학교는 1~3학년을 모두 합쳐도 147명에 불과한 관계로 폐교대상에 들어가는 학교이며 전체 학생수가 170명에 불과한 중구 신일여자중학교도 똑같이 학생부족으로 폐교 대상 학교에 들어간다.[24] 심지어 사립 동명중학교[25]는 학년당 인원이 아닌 1~3학년 전교생을 모두 합친 숫자가 118명이다. 만약 이 학교들이 공립이라면 여중인 청란여중/신일여중과 남중인 동명중을 폐교하고 남녀공학 중학교를 하나 개교하면 인원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되겠지만 문제는 세 중학교가 모두 사립이다. 게다가 2017년 기준으로 부사동과 인근 동네는 앞으로도 학생이 줄어들면 줄어들지 늘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반짝 인원이 늘어날 가능성은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초, 중학교는 학교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가능성도 있다. 결국 신일여중은 2023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심지어 고등학교인 청란여고- 남대전고도 도안신도시로 이전하려고 했었다. 학생이 적어도 너무 적어서 정원을 채우기 힘들다는 이유였는데 공립도 아닌 사립재단에 땅도 안 팔리는 등 돈이 없어서 포기하였다고 한다.
그 외 문화동에 있는 대문중학교도 상황이 자못 심각한데 대문중학교는 부사동 일대보다는 그나마 상황이 낫다는 문화동에 소재해 있고 주위에 주택가 및 빌라, 아파트 단지[26]와 상가들이 제법 들어서 있기는 하지만 문화동, 산성동 일대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이 대문중학교를 기피하고[27] 동산중학교/문화여자중학교를 지망하는 경향이 큰 데다가 신계중학교[28], 글꽃중학교[29]가 2006년, 2007년에 나란히 개교하여 이쪽으로도 학생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2000년대 중반만 해도 1,000명이 넘었던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 현재는 전체 학생수 100명대에 학년당 2학급 정도의 소규모 학교로 쇠락하여 폐교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30] 막장재단이 막장으로 운영하는 사립도 아닌 제대로 돌아가는 공립학교임에도 왜 이렇게까지 수준이 떨어졌는지 의문. 대전광역시 교육계에서 대표적인 실패사례 및 연구사례로 유명하다.
참고로 문화여자중학교 역시 대문중학교보다는 좋은지 몰라도 상당히 수준 떨어지는 학교로 문제가 많다. 문화여중 역시 상당한 문제를 가진 학교로 악명높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많은 학생들이 다니고 있다.
7. 의료기관
대전/세종/충남권 최대의 종합병원이자 상급종합병원인 충남대학교병원(1,303병상)의 입지가 확고하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도 붙어 있으며, 재활센터의 규모가 전국에서 손꼽힌다. 뒤를 이어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658병상)과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395병상)이 있어 의료서비스 면에서는 지역 내에서 압도적으로 편리하다.8. 정치
자세한 내용은 중구(대전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9. 하위 행정구역
10.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중구(대전) 출신 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권상우 : 배우
- 김동현 : 가수, 보이그룹 AB6IX의 멤버
- 김성미 : 치어리더 겸 뮤지컬 배우
- 김풍 : 웹툰 작가 겸 방송인, 중구 문창동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에 서울 관악구 봉천동으로 상경했다.
- 레디 : 래퍼
- 류근지 : 코미디언
- 류인범 : 정치인, 11대 국회의원
- 민수현 : 가수
- 박병배 : 경찰공무원 출신 정치인, 4,5,7~9대 국회의원
- 박영규 : 배우
- 박천일 : 정치인
- 박해미 : 배우
- 백예린 : 가수, 듀오 15&의 前 멤버
- 설윤 : 가수, 걸그룹 NMIXX의 멤버
- 성윤모 : 정무직 공무원, 특허청장,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한국공학대학교 이사장 역임
- 손석구 : 배우, 중구 태평동에서 태어났으나 초,중학교 시절을 유성구 전민동에서 보냈다.
- 신지훈 : 배우, 부산광역시 출생이지만, 일생 대부분을 대전 중구에서 보냈다.
- 신채호 : 독립유공자
- 에이든 : 가수, 보이그룹 EPEX의 멤버, 대구광역시에서 출생했으나 실질적 성장은 대전 중구에서 했다.
- 여원 : 가수, 아이돌 펜타곤의 멤버
- 이원복 : 만화가
- 임세혁 : 아나운서
- 전웅 : 가수, 보이그룹 AB6IX의 멤버
- 최병서 : 코미디언
- 홍승민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이머
- 황성재 : 배우
- 황운하 : 경찰공무원 출신 정치인, 울산지방경찰청장, 대전지방경찰청장 역임, 21대 국회의원
- 황인철 : 정치인
[1]
26개
법정동, 17개
행정동
[2]
2024년 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유은희,
육상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류수열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오은규
중구 비례대표: 김선옥 [5]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김석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김옥향, 이정수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안형진
중구 비례대표: 오한숙 [6]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윤양수 [7] 중구 제1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박주화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김선광 (초선)
중구 제3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민경배 (초선) [8] 이렇다보니 현재 대전의 중심부는 서구에 있다. 대전광역시청이 있는 둔산신도시가 현재 대전의 정중앙이다. [9] 이렇게 된 이유는 대전 원도심 지역의 남쪽이 해발 500m 가량의 산들이 솟아있어서 그런 것이다. 면적이 좁은 분지에서 도시가 성장했기 때문에 도시가 남쪽으로 성장하지 못 하고, 서쪽과 북쪽 위주로 개발이 되어서 타 지자체와 접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 [10] 만약 금산군이 대전광역시로 편입된다면 해당 타이틀은 깨지게 된다. [11] 인천광역시 역시 인천직할시 당시인 1989년에 영종도를 중구에 편입시키면서, 1994년까지 이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1994년까지 옹진군은 경기도에 속해있었다. [12] 참고로 현 청사는 1999년 11월까지 대전광역시청사로 사용된 건물이다. 1959년에 완공되었으며, 대전 중구청이 2002년에 현 청사로 이전했다. [13] 1966년 통계에 선화1동/선화2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대전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및 은행선화동 행정복지센터의 소개에 따르면 1968년 9월 1일 분동이 맞는 것으로 보여, 통계상 오류인 듯 보임. [W] 자료 누락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1970년부터 시작됨.(기존의 동구 대동-자양동의 관계와 달리, 분동에 관한 자료가 미비하고, 통계청 인구총조사에도 등장하지 않았음.) [W] [16] 사정동, 안영동 [17] 옛 대신증권 대전지점 사옥 [18] 옛 한화생명 대전사옥 [19] 옛 삼성생명 대전선화빌딩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3] 옛 충청은행 본사 [24] 이대로는 학교운영도 어려울 정도라 2017년 들어서 예술계열 특성화중학교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25] 참고로 배우 권상우와 성악가 박상돈의 모교이기도 하다. [26] 문화주공 1,2,3단지와 삼성푸른아파트. [27] 이렇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긴 하나 같은 통학권에 속하는 동산중, 글꽃중, 신계중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자랑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28] 단 신계중학교는 서구 복수동 소재여서 문화동보다는 대부분 복수동, 산성동, 사정동 일대에서 많이 가는 편이다. 특히 복수동 살면 대부분 신계초/신계중으로 간다고 봐도 좋다. [29] 특히 여기는 문화동 학생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사실상 이 학교의 개교로 인해 대문중학교의 학생 수가 급감하게 되었다고 봐도 된다. [30] 더 충격적인 것은 2017년 기준 1학년 학급이 고작 1반밖에 운영을 못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이르렀을 정도로 신입생 수가 처참해졌다. 그래도 2018년 입학생부터는 다시 2학급으로 간신히 운영되기는 했으나, 2021년 입학생 수가 30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또 1학급 운영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류수열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오은규
중구 비례대표: 김선옥 [5]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김석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김옥향, 이정수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안형진
중구 비례대표: 오한숙 [6]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윤양수 [7] 중구 제1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박주화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김선광 (초선)
중구 제3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민경배 (초선) [8] 이렇다보니 현재 대전의 중심부는 서구에 있다. 대전광역시청이 있는 둔산신도시가 현재 대전의 정중앙이다. [9] 이렇게 된 이유는 대전 원도심 지역의 남쪽이 해발 500m 가량의 산들이 솟아있어서 그런 것이다. 면적이 좁은 분지에서 도시가 성장했기 때문에 도시가 남쪽으로 성장하지 못 하고, 서쪽과 북쪽 위주로 개발이 되어서 타 지자체와 접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 [10] 만약 금산군이 대전광역시로 편입된다면 해당 타이틀은 깨지게 된다. [11] 인천광역시 역시 인천직할시 당시인 1989년에 영종도를 중구에 편입시키면서, 1994년까지 이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1994년까지 옹진군은 경기도에 속해있었다. [12] 참고로 현 청사는 1999년 11월까지 대전광역시청사로 사용된 건물이다. 1959년에 완공되었으며, 대전 중구청이 2002년에 현 청사로 이전했다. [13] 1966년 통계에 선화1동/선화2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대전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및 은행선화동 행정복지센터의 소개에 따르면 1968년 9월 1일 분동이 맞는 것으로 보여, 통계상 오류인 듯 보임. [W] 자료 누락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1970년부터 시작됨.(기존의 동구 대동-자양동의 관계와 달리, 분동에 관한 자료가 미비하고, 통계청 인구총조사에도 등장하지 않았음.) [W] [16] 사정동, 안영동 [17] 옛 대신증권 대전지점 사옥 [18] 옛 한화생명 대전사옥 [19] 옛 삼성생명 대전선화빌딩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3] 옛 충청은행 본사 [24] 이대로는 학교운영도 어려울 정도라 2017년 들어서 예술계열 특성화중학교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25] 참고로 배우 권상우와 성악가 박상돈의 모교이기도 하다. [26] 문화주공 1,2,3단지와 삼성푸른아파트. [27] 이렇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긴 하나 같은 통학권에 속하는 동산중, 글꽃중, 신계중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자랑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28] 단 신계중학교는 서구 복수동 소재여서 문화동보다는 대부분 복수동, 산성동, 사정동 일대에서 많이 가는 편이다. 특히 복수동 살면 대부분 신계초/신계중으로 간다고 봐도 좋다. [29] 특히 여기는 문화동 학생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사실상 이 학교의 개교로 인해 대문중학교의 학생 수가 급감하게 되었다고 봐도 된다. [30] 더 충격적인 것은 2017년 기준 1학년 학급이 고작 1반밖에 운영을 못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이르렀을 정도로 신입생 수가 처참해졌다. 그래도 2018년 입학생부터는 다시 2학급으로 간신히 운영되기는 했으나, 2021년 입학생 수가 30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또 1학급 운영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