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냉방병( 冷 房 病)이란, 냉방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벼운 감기와 비슷한 질환을 말한다. 에어컨이나 선풍기 같은 냉방기를 이용할 때 걸리는 여름감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감기'에서 볼 수 있듯, 굉장히 다양한 증세를 보여 주는 것 또한 특징이다. 하나의 질병이라기보단 여러 병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보이며, 상기 언급된 출처인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에서도 다양한 병인을 제시하고 있다.예로부터 한의학에서는 여름에 너무 서늘하게 지내려 하면 서한(暑寒)에 감촉되어 질병이 발생함을 감안하면 옛날부터 이미 냉방을 과하게 하다가 병에 걸리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에어컨 없이도 물에 젖은 채 생활하거나, 아예 마냥 추운 고랭지나 동굴 같은 데서 거주하는 등 전근대적 방법을 사용해서 냉방 및 피서를 할 수 있으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현대에는 에어컨 등 냉방기기의 발달 및 보급으로 인해 더욱 늘어나는 추세이다. 냉방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요인은 다양하다. 먼저 잦고 심한 기온차 때문에 면역력 및 신진대사의 저하되는 경우인데, 과도한 열 스트레스와 저온 스트레스의 반복으로 인해 신체가 지치게 된다. 그리고 레지오넬라증, 환기 부족 때문에 실내에 축적된 병원균 및 오염 물질이 생기는 게 주요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선풍기에 익숙한 사람이 에어컨을 장시간 쐬도 증상이 일어난다. 주로 오는 증세는 심한 두통이나, 메스꺼움, 설사 혹은 변비, 무기력증, 근육통, 발열, 인후염, 코 막힘, 피로감 등이 있다. 주로 50대 이상인 고연령층은 자연풍에 익숙하다가 선풍기를 쐬도 증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에어컨 바람을 쐬면 뼈가 시리다며 에어컨을 기피하는 경우도 제법 찾아볼 수 있다. 걸리면 일반적으로 감기와 비슷하게 치료한다고 하지만, 여름이기 때문에 증세도 겨울의 감기와는 좀 다르며, 따라서 치료법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재향군인회병이라고 번역되기도 하는 레지오넬라증(legionellosis, Legionnaires Disease)을 냉방병이라고 번역하기도 하는데, 레지오넬라증과 냉방병은 많이 다르다.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가 원인인 병으로 우리가 아는 냉방병과 달리 치명적인 병이다. 외국어로 이 레지오넬라증을 냉방병이라 번역해 의사소통하면 큰 실수를 할 수 있으니 둘의 차이에 주의해야 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는 레지오넬라증의 사망률을 대략 10% 내외로 보고 있다[1]. 다만 같은 레지오넬라가 일으키는 폰티악 열병은 그렇게 심각하지 않고 증상도 감기와 비슷하긴 하다. 그러나 실제로 레지오넬라가 유행한 강남 클럽에서 폰티악 열병을 강남역병이라 부르는 사람은 있었어도 냉방병이라 부르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폰티악 열병도 냉방병과는 다른것으로 보인다.
말은 이렇게 풀어놨지만 간단히 요약하자면 극명한 온도차이가 반복됨으로서 이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생기는 병이라 할 수 있다.
2. 원인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1. 잦고 심한 기온차로 인한 열 스트레스와 저온 스트레스의 잦은 발생으로 유발된 면역력 및 신진대사의 저하.
2. 불결한 냉방기 위생으로 인한 레지오넬라증.
3. 환기 부족으로 인해 실내에 축적된 병원균 및 오염물질.
이라 설명된다. '지나친-냉방은-건강에-적-냉방병-예방법' 참고.
3. 냉방병은 존재하는가?
일단 너무 냉방을 과도하게 해 외부와의 기온차가 크게 발생했을 때 신체가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다.여름철 냉방을 아주 과하게 한다고 해도 18도 내외이고 외부 온도는 아주 더운 날이라고 해도 38도 정도로 실내외 온도차는 20도 정도. 하지만 겨울철 외부 온도는 영하인 날이 대부분인데, 난방은 20도 아래로는 하지 않는다. 즉, 실내외 온도차는 여름철은 최대 20도이지만, 겨울철은 최소 20도이다. 현실적으로 냉난방을 25도 정도로 한다고 하면 실내외 온도차는 여름철은 10도, 겨울철은 25도로 벌어진다. 더욱더 현실적으로 따지자면 여름철 평균 온도를 30도, 에어컨으로 냉방하는 평균 온도를 23도 정도로 잡으면 여름철 실내외 온도차는 7도에 불과하나, 겨울철은 아무리 못해도 20도가 넘는다.
사실 이건 따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라는 속담이 있는 것처럼 과거에는 여름에 감기에 걸리는 것 자체를 이상하게 봤었지만, 겨울에 감기에 걸리는 것은 아무도 이상하게 보지 않았다. 즉, 겨울에 감기에 걸리는 것은 애초에 당연하니 난방병 등의 말이 생길 필요가 없는 것.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겨울에는 난방은 다 하고 살아왔다.
그리고 실외활동의 빈도, 복장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여름에는 옷을 얇게 입고 다니는 반면 겨울에는 두껍게 입고 다닌다. 반팔이나 민소매등의 옷을 입고 다니면 당연히 체온이 많이 방출된다. 그런데 그 상태로 빈번히 냉방이 되는 실내, 더운 실외를 이동하면 직접적 체온 변화는 크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한편 겨울에는 그냥 다 두껍게 입고 다닌다. 방에서도 꽁꽁 껴입는 경우가 많으니 정말 극한의 추위, 장시간의 실외활동의 경우가 아닌 한 의외로 체온이 떨어질 일은 많지 않다.
그런데 온도차는 겨울이 훨씬 더 크므로, 냉방병의 주 원인이 될 수는 없다. 또는 냉방병이라는 것은 실존하지 않는다. 즉, 위의 '온도차' 논지가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사람들이(당연하게도 그럴 일은 없지만) 겨울에도 여름처럼 실내외에서 똑같은 복장을 하고 다녀야 한다. 또 여름에 냉방이 센 실내에서 긴팔 겉옷을 걸치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는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냉방병을 호소하는 빈도에 차이가 없어야 한다. 아울러 여름이나 겨울이나 사람들이 똑같은 빈도로 추운(더운) 실외에 외출을 해야 한다.
식품, 생활용품을 다루기 때문에, 사람들의 외출 빈도를 가장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편의점 매출을 보면 여름 매출이 겨울대비 압도적으로 높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여름은 성수기로 치고 겨울을 비수기로 친다. 여름의 외부 활동량 및 출입 횟수가 월등히 많다는 말. 그러므로 셋 다 현실과 부합하지 않으므로 상당히 빈약한 논리이다.
게다가 추위에 대한 경계심이 더위에 대한 경계심보다 높다는 이유도 있다. 실제로 여름에는 폭염 특보이니 뭐니 하면서 동네방네 스피커로 방송을 하고 TV에서도 방송을 하지만 반대로 추울 때는 역대급 추위가 아닌 이상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 많이 알리니 더 경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람들이 더 소홀하니' 방송 등으로 더 경계를 하는 것이다.
또한 냉방병이라는 개념은 fan death와 마찬가지로 영어권에서는 이를 표현하는 단어가 없다. 네이버 영한사전은 "Get sick from overexposure to air conditioning"이라는 구문으로 대처하고 있다.
이 Air-conditioningitis는 영어권의 의학 용어가 아니다. Air-conditioning에다가 병을 의미하는 접미어인 -itis를 조합한 것인데, 의학에서의 -itis는 장기에 염증이 생기는 병에다가 붙이는 것이다. 위 dictionary.com의 예문을 예로 들면 arthritis(관절염), bronchitis(기관지염), gastritis(위염), neuritis(신경염). 즉 Air-conditioningitis를 번역하면 냉방염이 된다.게다가 어학적으로도 잘못된 표현이다. -itis 접미사 앞에는 무조건 그리스어가 들어가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원인불명의 괴증상에 대해서는 증후군(syndrome)이라는 단어가 더 적절하다. 하긴 영미권에서도 대2병이나 꾀병 같은 실제 질환이 아닌 것에 -itis 를 우스갯소리로 붙이는 경우가 많이 있긴 하다. Senioritis나 Lazyitis가 대표적인 예.
그런데 냉방병의 대표적인 증상들인 오한, 부종, 어깨 결림( 근육통), 요통 등을 생각해 보면 이 '냉방염(air-conditioningitis)'이라는 번역은 의외로 적절할 수도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겪을 일이 드물지만 특수한 경우, 예를 들면 추운 날씨에 야외에서 비박하거나 추운 곳에서 잠이 들면 어깨나 팔 근육에 가볍게 담이 걸려서 뻐근하고 아픈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담'이라는 것도 염증의 일종이고, 안티푸라민 등의 진통소염제를 사용하면 빨리 낫는다.
일본에서도 냉방병(冷房病)이란 개념이 있다. # 냉방병(冷房病)은 일본식 표현이고 세계적으로는 냉방병(冷房病)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여름이 매우 습하고 덥다. 한편 겨울도 만만치 않게 추운 관계로 거주민들이 더위에 대한 내성이 (같은 덥고 습한 동남아 등지에 비해) 약하며, 그만큼 냉방의 필요성도 크다. 어쩌면 동아시아 국가들에만 실존하는 병일 수도 있다.
안과 바깥의 온도차에 의해 생긴 냉방병(冷房病)을 일본어로 설명하고 있는 그림 #
4. 정말 없나?
냉방병이라는 단어 자체는 다른 나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해도, 냉방으로 인해 생기는 여러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례들이 우리나라에서 냉방병이라 부르는 증상과 거의 일치하는 것도 사실이다. 가장 흔히 찾을 수 있는 증상은 두통이나 피로, 건조한 피부 등. Top 5 health problems associated with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health 심한 경우 부비동염을 호소한 사례도 있다. Air conditioning made my sinuses so bad I thought my head would explode. 이 상태를 그냥 넘기고 상태가 더 악화될 경우 발열, 메스꺼움 등의 증상과 함께 감기몸살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보통 이 단계에 병원에 간다. 외국의 경우 중앙냉방을 가동하는 건물이 많은데, 이런 경우는 실내 온도를 직접 조절할 수 없다 보니 과도한 냉방에 노출된 사람들이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고 한다.5. 진실은?
사람이 덥다/춥다고 느끼는 온도는 개인차가 크므로 일반화 시키기 어렵지만, 사실관계만 다시 확인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냉방병의 정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냉방이 원인이라는 점이다.
보통 간과하기 마련이나, 가장 중요한 사실이다. 논리적으로 보면 냉방기의 불결한 위생 및 레지오넬라증은 그 연구 결과가 아무리 탁월하다고 해도, 냉방병이라는 단어의 정의 때문에 냉방병의 유무에 대한 증거로 쓰일 수가 없다. 불결한 냉방기로 냉방을 하는 것도 냉방은 냉방이며, 냉방을 한다는 자체로 질병 유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 실험실이 아닌 한, 아무리 세척을 잘 하고 소독을 잘 한다 해도 일상에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를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렇듯 어떤 질병군을 특정 공통점을 통해 카테고리화 하는 경우는 흔하다. 가령 탄저병의 경우 동물탄저와 식물탄저가 있다. 동물탄저는 간균에 의한 것이나 식물탄저는 진균에 의한 것이므로 굉장히 다르며 오로지 '탄저(썩어들어감)'를 기준으로 묶인 것이다. 냉방병은 증세가 아니라 원인을 가지고 카테고리화한 것이다. 레지오넬라가 냉방기에 번식한다? 그러니 냉방병에 속하게 된다. 냉방기로 인해 점막이 건조해지고 외부 오염원의 침입에 취약해져 목이 아픈 데다 다른 감염증이 유발된다? 당연히 냉방병이다.
-
실내외의 기온차가 크다고 원인(병원균/바이러스) 불명의 병에 걸리진 않는다.
'병원균, 바이러스가 없다면.' 남극에서 감기 안 걸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 너무 추워서 병원균이고 뭐고 있을 수 없는 환경이다. 반대로 말할 경우 있으면 걸리는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실험실 수준이 아닌 한 가정의 에어컨에 무균 상태를 요구할 수는 없다.
또한 신체 신진대사, 면역계가 약화되면 원래 신체에 있던 병원균 및 바이러스 때문에 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가령 에이즈의 주요 지표에는 '주폐포자충 폐렴'이 있는데, 에이즈 및 면역억제제 투여 등으로 면역계가 박살나지 않는 한, 걸리지 않는 병이다.
마지막으로 병원균과 바이러스가 있어야만 사람에게 병증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대표적인 증세가 두통인데, 두통의 경우 혈관 문제나 스트레스, 거북목 등 병원체와는 하등 관계 없는 원인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
여름철은 저온 스트레스보다는 열 스트레스가 더 문제가 된다.
그러나 냉방병의 주요 요지는 저온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중 뭐가 문제가 되느냐가 아니라 '둘의 (잦은)교차'로 인한 신체의 이상이다. 어떤 스트레스가 더 강하냐보다는 짧은 기간내에 번갈아가며 극단점에 위치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는 것이 골자가 된다. 고온다습한 동북아 여름의 특성상, 그리고 전기세 먹는 하마인 에어컨의 특성상 언제까지고 주구장창 더운 온도에만 있을 수도 추운 온도에만 있을 수도 없다. 집에서 주구장창 에어컨을 펑펑 틀고 살기도 힘들고, 냉방 되는 건물에 아무리 오래 있다고 쳐도 들어갈 때랑 나갈 때부턴 다시 열 스트레스를 받아야 한다. 그래서 에어컨을 키면 저온 스트레스가, 끄면 열 스트레스가 들이닥치는 상황을 계속 경험할 수밖에 없다.
-
저온(한 겨울 수준이 아닌 상온 기준), 건조한 환경에서 맹위를 떨치는 질병도 있다.
습도가 낮아지면 세균의 활동이 어려워지나, 바이러스의 활동은 오히려 왕성해진다. 또한 한국은 겨울에 매우 건조하다. 이 때문에 건조한 겨울에는 바이러스성 감기가 판을 친다.
냉방병과 '여름'이라는 공통점을 공유하는 메르스가 특히나 대표적인 예시이다. 메르스의 한국 유행은 한국의 5~6월 가뭄과 궤를 비슷하게 했으며 발원지도 건조하기로 유명한 중동 지역이었다. 메르스가 습기에 약하다는 기사또한 존재한다. 더위에 약하다는 것은 덤. 냉방기는 결로현상으로 인해 실내를 건조하게 만들고, 실내 기온도 낮춰주니 바이러스가 활동하기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데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레지오넬라균의 감염증상 역시 냉방병과 유사하나, 대다수 바이러스의 감염증상 역시 냉방병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냉방기의 찬 바람을 쐬는 것을 기피하는 사람도 엄연히 존재하는데다, 냉방기로 인해 실내와 실외의 기온차가 큰 것도 사실이다. 또한 여름은 겨울에 비해 사람들이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계절이기도 하며, 겨울에 꽁꽁 싸매는 사람이 여름에 냉방기 대책으로 겉옷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보다 압도적으로 많을 것이다. 그렇기에 '겨울에 더 열, 저온 스트레스 교차가 심하게 일어나는데?' 라는 말은 근거로서의 힘이 떨어진다. 기록적 강추위가 아닌 한, 밖이라 해도 점퍼를 입으면 체온이 유지되고, 이는 사람이 겪는 실질적 영, 저온 스트레스의 교차가 기온 대비 적게 일어난다는 말이 될 테니까. 또한 '난방병' 같은 소리 역시 황당한 일이다. 모든 사람이 겨울에 감기 걸리는 것, 난방하는 것을 당연하게 본다. 그렇기 때문에 난방병이라는 말이 있을 수가 없다. 난방이 아니라 추위를 질병의 원인으로 보기 때문이다. 냉방병의 논증에 난방병이라는 있지도 않는 말을 만들어 들이대는 것은 맞지않다.
추울 정도로 냉방을 하면 당연히 건강상 좋지 않지만, 더운데도 냉방병이 무섭다고 참으면서 더위에 헥헥거리는 것이 해결책은 아니라는 말. 그런데 보통 적정실내온도를 유지하고 살면 노약자, 와병중인 환자 등의 질환자가 아닌 한 냉방병이 거의 오지 않는다. 실제 냉방병을 가장 걱정해야 할 병원에서 냉방을 잘 해준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환자들에게 냉방을 좀 세게 해 주는 것이 냉방병에 대한 반증사례가 되지 않냐고 할 수도 있는데, 일단 환자는 비치된 담요를 쓸 수도 있고 땀과 같이 더위로 인해 조성되는 불결한 요소를 제거하는 편이 상처의 치유에 더 도움이 되며, 환자는 어지간해선 일반인처럼 바깥으로 나돌아다니지 않아 '기온차가 큰 상황'을 거의 겪지 못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체질에 따라 냉방을 줄여주거나 가습기를 구비해주거나 하기도 하는 것은 덤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냉방병이라는 '신드롬'이 이처럼 사회 전반에 넓게 퍼져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길텐데, 의외로 해답은 간단할 지도 모른다.
일단 냉방병이라는 개념이 없는 (것이 확실한)
청소를 소홀히 하기 쉬운 자동차 에어컨에서 종종 발견되는 악취의 근원인 레지오넬라균의 감염 증상은 위에서 언급된 냉방병의 증상과 매우 비슷하다. 고열, 오한, 기침, 근육통, 두통, 피로, 식욕저하, 설사, 구토 등("Patients with Legionnaires' disease usually have fever, chills, and a cough, which may be dry or may produce sputum. Some patients also have muscle aches, headache, tiredness, loss of appetite, loss of coordination (ataxia), and occasionally diarrhea and vomiting."). 그러나 레지오넬라균은 수인성 세균이며 에어컨으로 인한 레지오넬라균 감염 사례는 냉매를 사용하는 일반 에어컨과 달리 냉각탑을 쓰는 대형 건물에서 주로 발생한다. 냉각수가 오염되고, 오염된 물이 냉각탑을 통해 비산되어 사람이 흡입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감염사례이다. 따라서 밀폐된 공간에서 에어컨을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는 우리나라의 냉방병 사례에는 들어맞지 않는다. 허나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알아본 결과 호흡기 질환, 피로, 두통 등 흔히 이야기 하는 '냉방병'의 증상과 에어컨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며, 연구자들은 에어컨 내부의 냉각코일과 팬 등의 장치가 세균이 번식하기 위한 천혜의 조건이기에 병원체가 증식하여 냉방병 증세를 야기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내놓고 있다.( Risk factors in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s for occupant symptoms in US office buildings: the US EPA BASE study M. J. Mendell, Q. Lei-Gomez, A. G. Mirer, O. Seppänen, G. Brunner )
에어컨을 자외선으로 멸균처리했을 때의 바람과 그렇지 않은 바람에 실험자들을 노출시켜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을 시, 흡연자들에게서는 30%가량의, 비흡연자들에게서는 60%가량 저호흡 증세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 Menzies D, Popa J, Hanley JA, Rand T, Milton DK. Effect of ultraviolet germicidal lights installed in office ventilation systems on workers' health and wellbeing: double-blind multiple crossover trial. Lancet 2003;362:1785–91 ). 그러나 앞서 말한대로 오염된 냉방기로 인한 질병 자체도 냉방병에 포함되는데다, 저호흡만이 냉방병의 증상도 아니라는 한계가 뚜렷히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