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2:15:14

내동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84년 폐지된 경전선상의 내동역에 대한 내용은 내동역(경전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내동역
역명 표기
평라선 내동
Naedong
內洞 / 内洞 / ネドン
주소
평안남도 양덕군 상신리
관리역 등급
불명
(평양철도총국)
운영 기관
평라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평원선 1941년 4월 1일
철도거리표
평양 방면
양 덕
← 7.8 ㎞
평라선
내 동
라진 방면
석탕온천
5.6 ㎞ →

1. 개요2. 역 정보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평라선의 철도역. 평안남도 양덕군 상신리 인근에 소재.

이 역과 석탕온천역 사이에서 평라선과 평양 - 원산간 1급도로가 갈라진다.

2. 역 정보

순천역부터 양덕역까지가 강으로 쭉 이어져 있는 역이라면 이 역부터는 그야말로 산지의 연속. 이 역은 그 출발지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험준한 산지로 들어가는 출발점이니 대략 석항역 정도의 입지를 가지고 있는 셈.

2006년에 지수역부터 석탕온천역 사이에 있는 모든 역(이 역 포함)의 선로가 폭우로 싹 유실된 전적이 있다.

이 역의 특징은 본선이 이 역을 지나가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 역에 정차하려면 인입선으로 들어가서 정차한 후에 후진한 후 다시 달려야 한다는 뜻. 서동탄역인가 진행 반대 방향으로 아무 데도 연결되어 있지 않는 인입선이 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비슷한 역으로 같은 노선의 상룡전역이 있다.

3. 둘러보기

평라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로공유(평의선):
- - - -
옛 평원선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옛 함경선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옛 청라선 구간: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