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21:16:38

김한용의 MOCAR/논란 및 사건사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한용의 MOCAR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논란
2.1. 퇴사자 평가 논란2.2. 직원 박선영의 퇴사 논란2.3. 태풍 힌남노 관련 실언을 비롯한 실언 논란
3. 사건사고
3.1. 김한용의 MOCAR 사칭 계정 사건


1. 개요

김한용 모터그래프 편집장이 모터그래프에서 퇴사하고 새로 설립한 자동차 매체인 김한용의 MOCAR의 논란 및 사건사고를 정리한 문서이다.

2. 논란

2.1. 퇴사자 평가 논란

잡플래닛 별점 1.7점으로 퇴사자의 후기는 영 좋지 않다. 아카이브
영상을 하루에 하나씩 필수로 제작해야 한다거나, 모든 직원이 평균적으로 밤 10시에 퇴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단. 퇴사자 평가는 사측에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작성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어느 정도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
장점
나름 자유로운 회사 분위기
간식 제공, 석식 제공, 야근 수당 지급
다양한 장비 구비로 다채로운 경험 가능

단점
하루에 영상 하나씩 필수로 제작해야 함. 문제는 막 회사에 들어온 사람에게도 이 규칙을 적용시킨다는 점.
인수인계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당혹스러운데 조금이라도 늦게 영상 만들면 팀장이 띠껍게 갈굼.
대표도 수시로 왔다갔다하며 예민하게 행동함.
마치 다른 회사 다녀본 적 없는 것처럼 주먹구구식으로 직원들을 굴림.
이 때문에 전 직원이 보통 10시 쯤에 퇴근하는 추세. 야근수당을 주기는 하지만,
기본급이 코딱지 수준이라 간에 기별도 안 차는 수준.
그마저도 영양제니 약이니 사다보면 텅-장 되기 십상.
연봉은 신입 수준으로 주는데, 하는 일은 짬 좀 되는 지원마냥 시킴.
스튜디오에 다양한 장비들이 있는데, 사용해본 적 없더라도 능숙하게 다뤄야 함.
아니면 대표가 짜증 오지게 냄. 촬영하는 내내 궁시렁궁시렁~
대표 이미지가 영상에서 보이는 것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라 적잖이 당혹스러움.
일단 기본적으로 일할 때 굉장히 예민함. 이따금씩 막말도 내뱉는데 약간 놀랄 때가 있음.
충격적이었던 건 익명으로 다른 자동차 유튜브 채널 저격하는 영상 찍자고 신나서 우리들한테 얘기하는데..
진짜..깼다..내가 알던 그 순딩한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그리고 말 잘하는 줄 알았는데 사실 그거 다 프럼프터에 대본 보고 읽는 거ㅋ
그것도 어버버대서 편집할 때 현타 오지게 옴..^^;
사세 확장을 위해 MCN으로의 전환을 꾀고 있는데, 그마저도 약간의 난항을 겪고 있음.
그래서 더 눈에 불 밝히고 모카를 더 키우려고 아둥바둥거리는 게 보임.
덕분에 직원들은 눈에 핏대 세우며 야근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게 이 회사의 현주소임ㅋ

경영진에 바라는 점
매일 영상 안 올리면 구독자가 안 늘어나나요? 매일 발퀄 영상 올리면 그나마 위로가 되나요?
발퀄 영상 매일 올리는 것보다 갯수 줄이고 퀄 높여서 제작하면 구독자가 안 늘어날까요?
솔직히 여기서 만든 영상들 포폴로 쓰기에도 쪽팔려요..ㅋ
아 그리고 대표님, 방송에서만 착한 척 하지 마시고 실제로 더 좋은 사람이 되도록 내실 좀 다지세요^^

2.2. 직원 박선영의 퇴사 논란

2021년 8월 7일 유튜브 채널 박선영 (전 박선영의 작카)에 한 영상( 퇴사했습니다)이 올라오면서부터 논란이 시작되었다.

영상에서 박선영은 퇴사 이후 바다를 보러 가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바다에 가는 길에 어떤 일을 당하게 되었는지 얘기하였다. 영상의 주된 내용은 처음 회사와의 계약 당시 연봉이 터무니없이 적어 생계유지가 힘들어 계약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자 개인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개인 채널에 대한 유튜브 수익을 5:5로 나누어 가지는 것으로 합의를 해 계약하였다.[1] 그러나 월급날 박선영 개인 유튜브에서 촬영한 광고의 수익이 들어오지 않았고 문의를 하자 광고 수익은 5:5 배분의 해당 사항이 아니라고 말했다고 한다.[2] 그러자 박선영은 광고비를 정산해주지 않는 시스템적 허술함과 크리에이터에게 광고비를 주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실망감을 느끼고 신뢰를 잃게 되어 퇴사를 하였고 우여곡절 끝에 현재 광고 수익은 받은 상태라고 한다.

이외에도 박선영이 김한용의 모카 채널에 처음 출연할 당시에[3]는 김한용의 모카의 직원이 아니었음에도 회사의 막내 작가라고 소개한 점[4], 박선영이 태어나서 처음해보는 업무(?)를 시킨 점, 박선영 개인 유튜브 채널의 지원해주기는 커녕 담당 pd도 배정해주지 않아 혼자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게 한 점[5] 등이 있다. 박선영은 더 할 말이 많아 보이나 개인이 법인 회사를 상대로 껄끄러운 문제를 만들기에는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어 모든 이야기를 명쾌하게 들려주긴 어려울 것이라 밝혔다.
논란이 생긴지 약 2시간 만에 김한용의 모카 채널의 커뮤니티에 사건을 언급하며 본인의 해명이 박선영에게 또 다른 피해가 생길 수 있기에 박선영이 원하지 않는 한 해명은 없을 것이며 모든 질타는 본인이 받겠다고 하는 글을 게재하였다
파일:Screenshot_20210809-195943_YouTube.jpg

2.3. 태풍 힌남노 관련 실언을 비롯한 실언 논란

자주는 아니지만 김한용 대표 본인 입장에서 실언이 자주 나오는 편이다. 가장 최근에 논란이 되었던 발언은 토레스 리뷰 영상 중 '힌남노 어디갔어' 발언.[6] #. 이후 댓글로 지적을 받자 가장 추천수가 많았던 댓글을 지운 뒤 영상을 수정하고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상기 영상의 댓글 여론은 매우 좋지 않아보인다.

3. 사건사고

3.1. 김한용의 MOCAR 사칭 계정 사건


2024년 6월 7일 20시 20분 경 업로드 된 영상을 통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밴드 등 다양한 곳에서 각종 사칭 계정이 있으며, 이에 속지 말고, 보이는 즉시 신고를 당부했다. 2023년 유명인 사칭 광고 사건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1] 계약서에는 갑은 을이 별도로 운영하는 채널에 대해 전적인 지원을 하며, 유튜브 수익의 50%를 매월 말 월급에 포함시켜 지급한다라고 명시 되어있다고 한다. [2] 박선영의 주장으로는 박선영 유튜브 채널의 단독 광고의 경우 50%를, 김한용의 모카에 딸려서 촬영하게 된 광고는 25%의 수익을 받기로 했다고 한다. [3] 2021년 1월 [4] 정식 직원으로 계약한 것은 2021년 4월 5일 [5] 편집은 다른 편집자들에게 구걸해서 했다고 한다 [6] 수도권에는 영향이 크지 않아 무감각할 수는 있으나 포항, 경주 등지에서 피해가 매우 컸고 사망자까지 나온 상황에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46 ( 이전 역사)
문서의 r425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