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0:25:25

김창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창순(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동백장 약장.png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8
정건영
1970
김의형
1970
주영하
1972
강명순
1972
손치무
1972
조광운
1973
정범모
1977
이휘소
1982
이승복
1984
이천환
1985
김호길
1987
김창순
1988
윤양중
1988
고광욱
1994
이순형
1997
전길남
1998
김진애
2001
조성애
2005
김상희
2007
김옥라
2010
김동완
2011
석해균
2016
김혜심
2018
박경조
(2019)
김하종
}}}}}}}}}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김창순
金昌順
파일:김창순.jpg
출생 1920년 3월 20일
평안북도 의주군
사망 2007년 12월 3일 (향년 88세)
서울아산병원
본관 백천 김씨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묘소 동화경모공원
배우자 진용주
자녀 2녀
학력 만주 일·만중학교 (졸업)
만주국립대학교 하얼빈학원 ( 러시아사 / 졸업)
산석(山石)
상훈 국민훈장 동백장
5.16 민족상
세종문화상
1. 개요2. 생애3. 수상4. 저서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학자. 초대 내외문제 연구소 이사장, 전 내외통신사[1] 사장, 초대 한국통일문화진흥회의 회장, 전 북한연구소 이사장.
고려대학교에 재직하고 북한연구소 이사장을 지내며 북한학을 설립한 공산주의와 북한 연구에 평생을 바친 1세대 북한학자이다.

2. 생애

1920년 3월 20일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면 동린동 76번지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김명주였으나 월남 후 김창순으로 개명했다

1939년 만주 일·만중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3월 만주국립대 하얼빈 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러시아사를 전공했다.
해방 후 1946년 8월 북조선로동당 창당대표, 평북신보사 주필, 1948년 북한의 정부기관지 ‘ 민주조선’의 총무국장을 지내며 공산주의에 우호적인 행보를 보여 왔으나 1949년 11월 반공주의자로 몰려 평양형무소에 투옥되었다가 6·25전쟁 중 탈출해 월남했다.
이후 그는 철저한 반공주의자로 노선을 변경해 전쟁 중 차일혁과 함께 반공포로로 구성된 6.18부대를 조직해 인민군에 대항하는 유격대 활동을 벌였다.

이후 김창순으로 개명 후 문교부 반공교육전문위원을 지냈고, 대한민국 초대 내외문제 연구소 이사장, 국가안전기획부 소속의 내외통신사 사장을 역임했다. 아세아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재직(1962.11~1977.1)하다 사직 후, 북한연구소 제3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북한연구소 재임 기간 동안 북한학을 학문의 개념으로 새롭게 주창하며 북한학과 설립에 크게 기여하는 등 북한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1986년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편찬 상무위원을 지냈다. 2000년 북한학과 설립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경남대학교에서 명예정치학박사 학위를 수여 받았다.

2007년 12월 3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3. 수상

4. 저서

『역사(歷史)의 증인(證人)』한국아세아반공연맹(韓國亞細亞反共聯盟), 1956.
『북한 15년사(北韓 15年史) : 1945年8月 - 1961年1月』 지문각((知文閣), 1961.
『중국공산당(中國共産黨)의 만주(滿洲) 게릴라 조직(組織)과 한인대원(韓人隊員)에 관(關)한 연구(硏究)』, 북한학보 제1집 pp.51-81, 북한연구소 1977년.
『한민족독립운동사 6권 열강과 한국독립운동』 Ⅱ. 중국과 한국독립운동 / 3. 중국공산당과 좌파 한국독립운동 (국사편찬위원회, 1989년 12월 26일)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전5권)』, (청계연구소, 1987∼1988)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에 있어서의 김일성(金日成)」 : 한승조(韓昇助) 외 공저
『해방전후사(解放前後史)의 쟁점(爭点)과 평가 1. 독립 건국운동(獨立 建國運動)의 주도세력(主導勢力)은 누구인가』 (螢雪出版社, 1990) 제5장 pp.152 ~ 167
『만주 항일연군 연구(滿洲 抗日聯軍 硏究)』 國史館論叢 第11輯 (국사편찬위원회, 1990-07-15)
『북한(北韓)의 역사(歷史)』 (북한연구소, 1998)
『김일성(金日成) 사후(死後) 500日ㆍ북한(北韓) 이데올로기와 대모략(大謨略)』 (북한연구소, 2006)

5. 기타

고려대학교 총장 김준엽과 함께 집필한 "한국공산주의운동사'는 최초의 국내 공산주의 연구 서적으로서 기념비적 저작으로 평가받는다.[2]
부인 진용주씨 외 2녀가 있다.

[1] 문화공보부 국가안전기획부소속의 북한 전문 언론기관이었다.1998년 연합통신과 통합되었다 [2] 이 책 발간 이전에는 군사독재 시절의 이념적 제약으로 인해 국내 학자들이 일본이나 미국이 연구한 서적으로 연구를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