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1:03:10

김도균(스포츠마케터)

김도균
대학교수 | Do Kyun Duke Kim
파일:김도균교수.jpg
<colbgcolor=#191E32> 출생 1966년 (음력) ([age(1966-01-22)]세)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속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교수)
학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스포츠 경영학 박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체육학과 학사)
중동고등학교
종교 기독교
가족 배우자 : 김지숙
아들 : 김진석(1994) / 김진혁(1996)
딸 : 김예진(1999) / 김수진(2000)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스포츠마케팅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개인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2.2. 경희대학교 교수2.3. 각종 협회장 활동
3. 경력4. 수상5. 저서6. 기타7. 외부 링크
7.1. 언론보도7.2. 신문 기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
現 경희대학교 체육 대학원 교수

2. 생애

중동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에서 체육학 학사를 취득한 뒤 나이키 스포츠에서 시작했다.
8년동안 스포츠 마케팅팀에 근무하면서 대한민국에 스포츠 마케팅의 기초를 놓았다.
나이키 근무 중에 경희대학교 사회 체육 석사 학위를, 한국체육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나이키 퇴사후 World Cyber Games에 입사하여 e스포츠를 기반으로 한 사이버 올림픽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16개 국가를 초청하여 세계적인 게임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후에 2002 한일 월드컵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을 관리하는 ISL에 마케팅 이사로 근무하며 부산 월드컵 경기와 부산 아시안 게임 마케팅 업무를 총괄하였다.
2002년 9월 경희대학교에 입사하여 스포츠 산업- 마케팅 – 경영을 강의해오고 있다.
교수로서 각종 국제 이벤트(2018 평창 동계 올림픽, 2019 광주 수영 선수권 대회,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1 세계육상선수권 대회에 자문역할을 담당하여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노력하였고, 스포츠 산업 협회장, 한국 체육 학회 회장,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장, 데상트 스포츠 재단 이사장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2.1.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

2.2. 경희대학교 교수

2002년 9월 경희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학과장, 3급 생활 체육 지도자 연수원 원장, 대학원 부원장, 체육 대학 부학장, 체육부장 등 다양한 학교내의 보직을 수행 하였다.
특히 체육 부장으로 14개 운동부를 총괄하고 대회 참여 및 학생 선수들의 복지를 위하여 활동 하였다.
2007년에는 경희대학교 최우수 연구 교수상을 수상하였고, 스포츠 산업 관련하여 대외적인 활동과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 산업 정책 개발 위원으로 활동 하였다.
대한 체육회 스포츠 외교 과정을 유치하여 스포츠 외교 인력을 양성하였고(2009), 문화 체육 관광부에서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유치하여 전문 인력을 육성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 스포츠 산업 경영학회 부회장, 스포츠 미디어 학회 부회장, 한국 이벤트 컨벤션 학회 회장, 27대 한국 체육 학회 회장,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기업 및 지자체등과 연계하여 각종 스포츠 산업 및 마케팅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새로운 학문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2023년 문화 체육 관광부로부터 스포츠 융복합 대학원인 스포츠 DNA(data, network, AI) 플러스 학과를 유치하여 5년 사업으로 스포츠 융복합 인재를 육성 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에는 경희대학교 교수 의회 전체 의장과 대학 평의회 의장에 선출되어 대학 행정 업무 및 교수, 직원, 학생들의 권익과 화합을 위한 학교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2.3. 각종 협회장 활동

3. 경력

4. 수상

5. 저서

6. 기타

7. 외부 링크

7.1. 언론보도

7.2. 신문 기고





[1] 70여편의 스포테인먼트 영상 강의를 통해 기업 CEO들에게 많은 인사이트와 비전을 제시하여 왔다. [2] 35편의 영상 교육을 통하여 리더십과 스포츠 혁신 그리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스포츠를 통한 코칭과 경쟁력을 지도 하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