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0:46:14

기원전 1세기

기원전 0년대에서 넘어옴
세기 천년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원전|기원전]]'''
~11 10 9 8 7 6 5 4 3 2 1
기원후
제1천년기 1 2 3 4 5 6 7 8 9 10
제2천년기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제3천년기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제4천년기 이후 }}}}}}}}}

세계 각 지역의 표기
서기 기원전 100년~기원전 1년
단기 2234년~2333년
불기 445년~544년
황기 561년~660년
간지 경진년~ 경신
히브리력 3661년 ~ 3761년
전한 천한 원년~원수 2년
고구려 X~ 유리명왕 19년
백제 X~ 온조왕 18년
신라 X~ 혁거세 거서간 57년
인류세력 9901년~10000년

1. 개요2. 연표3. 주요 사건
3.1. 아시아3.2. 유럽
4. 사망5. 탄생6.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7. 기원전 1세기 범위

[clearfix]

1. 개요

기원전 1세기는 기원전 100년부터 기원전 1년까지의 기간이다.

2. 연표

3. 주요 사건

3.1. 아시아

동아시아의 대륙에 자리잡은 한나라 한무제의 통치 하에 크게 발전한다. 동아시아 최초의 기전체 역사서인 사마천의 사기는 이 시기(대략 기원전 91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하 곽광이 국정을 농단하고, 후반에는 왕망이 권력을 잡는 등 멸망의 위기를 겪는다.

한국은 한나라의 혼란기에 한반도에서는 철기를 바탕으로 한 국가들이 하나둘 성장한다. 대부분 성읍국가의 행태를 띄었고, 성읍국가에 발전하여 신라, 고구려, 백제, 가야국과 같이 군주제 국가가로 발전/성장하게된다.

남아시아 데칸 고원의 안드라 왕조는 유럽의 로마, 동남아시아 등과 교역한다. 안드라 왕조와의 교역으로 상좌부 불교 브라만교가 동남아시아에 전파된다.

3.2. 유럽

기원전 2세기와 마찬가지로 정치적, 군사적으로는 지중해 패권을 장악한 로마의 시대, 문화적으로는 헬레니즘의 시대였다. 이러한 추세는 기독교 문화가 헬레니즘 문화를 밀어내는 4세기 초까지 지속된다.

이 시기 로마의 정치사는 공화정의 위기-삼두정치-제정의 출현까지 이어진다.

로마에서는 노예 반란이 일어나는 등 공화정의 붕괴가 계속된다. 동맹시 전쟁과 같은 내전을 자주 겪었다.

원로원은 평민파의 권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에게 종신독재관의 자리를 부여해 마리우스의 평민파들을 대거 숙청했다. 술라 또한 원로원을 등에 업었던만큼 종신독재관 자리를 마음대로 누릴 수는 없었고 결국 그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빈 자리를 폼페이우스가 채우고, 평민파 중 살아남았던 카이사르가 나타났으나, 폼페이우스는 재정을 함부로 사용할 수 없었으며 카이사르는 재정이 상당히 쪼들렸던지라 재정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크라수스가 나타나 삼두정치의 시대로 넘어간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라는 영웅의 등장은 로마를 사실상 제정으로 만들었고, 그의 사후 레피두스,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가 제2차 삼두정치를 벌였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는 내전을 벌였으며,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한 옥타비아누스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끝장내면서 정치적 의미의 헬레니즘 시대는 종료되었다.

옥타비아누스는 원로원으로부터 존엄한 자 ' 아우구스투스'의 칭호를 받아 신격화되었고, 그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절대권력자가 되었다. 공화정의 제도는 유지되었고, 아우구스투스 스스로 황제를 칭한 적은 없으나, 그가 자칭한 원로원의 1인자 '프린켑스'를 비롯해 많은 권좌를 독식하면서, 사실상의 제정이 수립된 것과 마찬가지였기에, 기원전 27년부터를 제정 즉 로마 제국이라 칭한다.

유럽과 서아시아. 아프리카에 걸친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마지막 남은 헬레니즘 제국이였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멸망으로 헬레니즘 시대가 '정치적으로는' 기원전 30년에 종결되었다. 그러나 헬레니즘의 문화적 의미는 로마 제국의 동쪽 영역에서 끝까지 살아남았다. 신약성서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이후 4세기 동로마 제국이 형성될 때도 헬레니즘 문화는 큰 영향을 행사했고, 기독교 문화와 융합하면서 비잔틴 미술과 같은 독창적인 양식을 낳는다.

4. 사망

니계상 (? ~ 기원전 99년)
동방삭 ( 기원전 154년 ~ 기원전 93년)
전한의 7대 황제 한무제 ( 기원전 157년 ~ 기원전 87년)
전한의 8대 황제 한소제 ( 기원전 94년 ~ 기원전 74년)
전한의 9대 황제 한폐제 ( 기원전 92년 ~ 기원전 59년)

5. 탄생

6.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7. 기원전 1세기 범위



[1]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의 건국을 기원전 57년으로 전하고 있으며, 삼국유사 역시 동일한 사실을 전하고 있다. 다만 삼국유사에는 이 외에도 건호 원년(기원후 25년), 건원 3년(기원전 138년) 등의 연호도 같이 전하고 있다. [2] 기원전 58년설, 기원전 3세기설도 있다. [혹은] 거서간 [4] 기원전 1년 12월 31일후에는 0년이 아닌 기원후 1년 1월 1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