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03:41:07

기욤 드 티레


<nopad>파일:Guillaume de Tyr.jpg
역사서를 편찬하는 기욤 드 티레
1. 개요2. 생애3. 유산

1. 개요

기욤 드 티레(Guillaume de Tyr. 영어로는 William of Tyre) ( 1130년 경 ~ 1186년 9월 29일)는 십자군 시대의 집정대신(執政大臣)이자 연대기 역사가, 티레 대주교였다.

2. 생애

기욤 드 티레는 예루살렘 왕국 보두앵 2세의 정복 전쟁이 한창인 전성기 시절, 수도 예루살렘에서 1세대의 유럽인들의 자식으로 토종 우트르메르의 첫번째 세대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다. 부모는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태생으로 시칠리아 왕국의 노르만인이었을 것으로 예상되고 예루살렘 왕국에 상인이었던 형제가 있었으니 의심의 여지없이 그들은 귀족에 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멜리장드의 아들 보두앵 3세와 친구이자 동기로 예루살렘 왕국 최고의 교육기관인 성묘교회에서 라틴어 및 중세 자유과(Liberal arts)[1]와 그리스어 아랍어 같은 다양한 학문과 문화를 공부했으며, 1145년 무렵에는 장장 20년 동안 파리에서 후세에 파리 주교가 되는 피에르 롱바르(Pierre Lombard)와 인문학을 1155년부터는 오를레앙에서 신학 교회법(Canon law)을, 1161년부터는 중세시대 가장 권위있는 법학대학인 볼로냐 대학교에서는 법학을 전공했다.
<nopad>파일:Manuel I Comneno-Guillaume de Tyr.jpg
마누일 1세를 알현하는 기욤 드 티레
1165년 기욤 드 티레가 인문학과 교회법 신학, 마지막으로 법학 과정을 마쳤다. 현대와 비교해보자면 삼중 박사(Dr. Dr. Dr. Guillaume de Tyr)라는 넘사벽 학벌을 가지고 예루살렘으로 강림 귀환하자, 문관 인재난에 시달리던 아모리 1세는 곧바로 등용하여 아크레 대성당의 부제, 1167년 티레의 수석부제를 거쳐, 1168년 이집트 파티마 왕조를 상대로 한 동로마 제국 예루살렘 왕국의 연합 원정을 위한 조약을 체결하기 동로마 제국의 대사로 파견되었다. 협상은 잘 마무리 되었고 아모리 1세의 네 번째 원정대는 동로마 해군의 지원을 받은 최초의 정복전쟁이었다. 전황은 나일강 삼각주 다미에타까지 정복했지만 수 년뒤 살라딘이 나타나 전선을 물러야 했다. 1169년에는 교황청과 왕국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로마를 방문했고 1170년 귀환하여 역사서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당시 왕자였던 보두앵 4세의 스승으로 그를 지도했고 보두앵 4세가 또래 아이들과 얼굴을 꼬집는 게임중세 놀이수준 보소에서 백전백승하는 기염을 토하면서 고통을 느끼지 않는 행실을 보이자 나병환자라는 것을 진단하고 부왕에게 보고했다. 모든 수를 써서 치료를 했지만 중세 의학수준에서는 나병은 불치병[2]이라 병세는 서서히 커져갔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ldwinIV.jpg
보두앵 4세[3]의 나병 증상을 의심하는 기욤 드 티레[4]
아모리 1세의 사후 보두앵 4세가 등극하자, 왕의 스승인 기욤 드 티레는 당시 중세인들에게 지상아래 가장 성스러운 장소인 예루살렘 왕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직책인 대주교와 수상을 겸임했다. 1179년 로마 가톨릭 교황청에서 제 3차 라테란 공의회[5]가 개회했는데, 그리스도교 세계 각지에서 모인 300여명의 주교들을 비롯해 수도원장들은 물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거의 모든 왕과 제후들이 참석하는 가운데 십자군의 승리로 수백년 만에 정식으로 복구된 동부 기독교 대표단을 모조리 이끌고 참석하는 극강의 위세를 뿜었다. 전성기를 구가하던 그는 1180년 예루살렘 총대주교 선거에서 왕의 모후 아그네스 드 쿠르트니의 기각으로 낙선하고 대신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헤라클리오스 도베르뉴(Héraclès d'Auvergne)가 당선되자 내리막길을 걷게된다. 게다가 나병왕 보두앵 4세의 통치 기간에 일어난 후임 왕권 투쟁이 정리가 되었는데 기욤 드 티레는 발리앙 디벨린 왕당파 측에서 관여했기 때문에, 예루살렘 총대주교 기 드 뤼지냥의 귀족 파벌이 왕실을 장악했을 때 그의 입지는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급기야 1183년 예루살렘 총대주교 에라클리우스에게 파문까지 당하는 굴욕을 당하고 로마로 내몰리듯 건너가져 버렸다. 1186년 시빌라와 공동 국왕에 등극하자 채 한달을 못 채우고 왕국의 미래를 걱정하며 사망했다. 이후로 의 무능으로 막장 테크를 탄 예루살렘 왕국을 고려할 때 결과적으로 중세판 만고의 충신이 되어버렸다.

3. 유산

기욤 드 티레는 제 3차 라테란 공의회에 대한 기사와 무함마드 시대의 이슬람 국가에 대한 동양의 역사(Historia Orientalis)를 집필했지만 현재까지는 둘다 유실되어 제목만 존재하는 실정이다.[6] 대신에 그는 오늘날 예루살렘 왕국의 역사 저자로 유명한데, 바로 자신의 필생의 역작인 예루살렘의 역사(Historia Ierosolimitana)바다 너머에서 행해진 일의 역사(Historia rerum in partibus transmarinis gestarum)가 현전하기 때문이다. 그의 죽음 직후에 프랑스어로 번역되었고, 그 후 수많은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중세 역사가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책에 인용됐다. 그것도 그럴것이 12세기 예루살렘의 원주민이 기록한 유일한 출처이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십자군 연구의 정석이자 개론으로 활용되어 기욤 드 티레의 진술이 액면 그대로 취해졌다. 최근의 역사 학자들은 기욤 드 티레가 왕국의 정치적 분쟁에 개입 한 것이 그의 기록에 편향된 결과를 초래했다고 뇌피셜비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연대기 역사서의 유일본이라 교차검증이 불가능해, 기욤 드 티레는 십자군 전쟁의 가장 큰 연대기 역사가로 간주되고 있고 현대의 많은 십자군 관련책들은 그것을 원전으로 나오고 있다.
[1] 쉽게말해 인문(人文). 자유 7과라고도 하며 중세 그 시대를 살아가는 '교양있는 지식인'이 갖춰야할 소양과 그에 관련된 학문으로 시절마다 종류가 변경되기도 했지만 대체로 문법, 수사학, 변증법, 산술, 기하학, 음악, 천문 7가지이다. [2] 현대는 극심한 병세가 아니라면 리팜핀(리팜피신) 600mg을 1회만 복용하고 여러가지 항생제를 삼키면 완치가 되어 버린다. [3] 아이들 몸과 얼굴에 멍이 잔뜩 들어있고 보두앵이 상대편 아이의 볼을잡고 심판인 듯한 아이가 손을 들고 있다. [4] 확실히 중세 성직자라 그런지 남겨진 그림이 전부 원형탈모소갈머리. [5] 대립교황의 난립의 폐해를 막기 위한 교황 선출권 개정( 콘클라베 초기모델), 카타리파 이단 선언, 주교좌성당에 교육교사 상주 등 총 27장의 규정을 결의했다. [6] 선지자 무함마드에 대한 불경한 실화묘사(늘그막에 9살의 아이샤와 결혼 그리고 유아와의 성관계...)가 있다고해서 무슬림들이 현상금 걸고 다 찾아내 찢어발겼다훼손했다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