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6:45:27

궈타이위안

궈타이위엔에서 넘어옴
궈타이위안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43d69>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1953 1954 1955
키노시타 이사무 타케스에 요시마사 카와사키 토쿠지 오타 마사오 나가사카 마모루
<rowcolor=#ffffff> 1956 1957 1958 1959 1960~1963
카와무라 히사후미 시마바라 유키오 카와무라 히사후미 시마바라 유키오 이나오 카즈히사
<rowcolor=#ffffff> 1964~1967 1968 1969 1970 1971~1972
타나카 츠토무 이케나가 마사아키 요다 요시노부 이케나가 마사아키 타카하시 아키라
<rowcolor=#ffffff> 1973 1974 1975~1977 1978 1979~1981
가토 하지메 미우라 키요히로 히가시오 오사무 야마시타 리츠오 히가시오 오사무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1987 1988~1989 1990~1991
모리 시게카즈 타카하시 나오키 히가시오 오사무 쿠도 키미야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1995 1996 1997~1999
쿠도 키미야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궈타이위안 신타니 히로시 니시구치 후미야
<rowcolor=#ffffff> 2000~2005 2006~2007 2008~2012 2013~2014 2015
마쓰자카 다이스케 니시구치 후미야 와쿠이 히데아키 키시 타카유키 마키타 가즈히사
<rowcolor=#ffffff> 2016~2018 2019 2020 2021~2023 2024
기쿠치 유세이 타와타 신사부로 잭 닐 타카하시 코나 이마이 타츠야
}}}}}}}}}}}} ||

일본시리즈 우승 반지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2014
(코치)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1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MVP
노모 히데오
(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궈타이위안
( 세이부 라이온즈)
이시이 타케히로
( 세이부 라이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88, 1994 퍼시픽 리그 승률왕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1, 1992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와타나베 히사노부
( 세이부 라이온즈)
궈타이위안
( 세이부 라이온즈)
노다 코지
( 오릭스 블루웨이브)

}}} ||
파일:궈타이위안 대만 야구대표팀 감독.jpg
궈타이위안
郭泰源 | Kuo Tai Yuan
생년월일 1962년 3월 20일 ([age(1962-03-20)]세)
국적
[[대만|]][[틀:국기|]][[틀:국기|]]
출신지 타이난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등번호 12[1], 18[2]
프로입단 1985년 자유계약
소속팀 세이부 라이온즈 (1985~1997)
지도자 청타이 코브라스 감독 (2004~2005)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투수코치 (2013~2014)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1군 수석·투수코치 (2015)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감독 (2016)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07[3], 2015, 2017)
응원가 링크

1. 개요2. 선수 시절3. 은퇴 이후4. 플레이 스타일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궈타이위안.jpg

대만 출신의 야구선수, 지도자. 일본프로야구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활약했으며, 일본에서는 그의 이름을 음독한 가쿠 타이겐으로 불리었다.[4] 한국식에서는 한자의 한국식 음독인 곽태원으로 주로 알려져있다.

2. 선수 시절

대만 육군 야구부에 입대한 1982년 야구 월드컵에서 대만의 대표팀 투수로 활약하며 각국 스카우트들의 눈을 끌었고, 1984 LA 올림픽 지역예선에서 일본을 꺾는데 기여하고 팀을 LA로 이끌었다. 본선에서 동메달 획득에 성공했고,[5] 이후 세이부 라이온즈와 입단계약을 체결했다.

히로오카 타츠로 감독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 프로 1년차부터 기회를 받았고 데뷔시즌인 1985년에 노히트 노런 달성 및 9승을 획득했다. 프로 2년차인 1986년은 부상으로 인해 임시 마무리를 보다가 시즌 말부터 선발 로테를 돌기 시작했으며 1987년에는 NPB 첫 두자리수 승수(13승)를 기록했다. 1988년에는 전년도와 같은 13승을 기록했으며, 1989년에는 선발진을 지탱하던 히가시오 오사무가 은퇴하며 그를 대체할 투수로서 기대되었다. 1991년에는 본인의 한 시즌 최다승인 15승을 기록하며 퍼시픽리그 MVP를 차지하게 된다. 와타나베 히사노부, 쿠도 키미야스와 함께 명실상부 세이부 왕조 시기를 대표하는 선발 투수들 중 하나였으나, 손목 부상으로 1996년부터 하락세를 기록하기 시작한 뒤 1997년 시즌을 마치고 현역 은퇴를 결정했다.

13시즌 통산 기록은 272경기 등판, 117승 68패 18세이브, 평균자책 3.16 이다. 117승은 일본프로야구 외국인 사상 최다승이다.[6][7]

3. 은퇴 이후

청타이 코브라스 No.88
궈타이위안(郭泰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83
궈타이위안(郭泰源)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No.88
궈타이위안(郭泰源)

대만프로야구에서 현역으로 1-2년 더 뛸 계획이었으나, 야구계의 혼란으로 뜻을 접고 현역 은퇴. 기술고문으로 팀 동료였던 와타나베 히사노부를 영입했고, 와타나베는 대만에서 현역 투수까지 겸하며 큰 활약을 했다. 2004년 청타이 코브라스 감독으로 취임해 2년간 감독직을 맡았다. 2005년 팀을 타이완시리즈에 진출시켰으나 4-0으로 완패하며 감독직에서 물러난다.[8]

2007년에는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으나,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12월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서 한국과 일본에 밀리며 출전권을 손에 넣지 못하고 감독직을 사임했다.[9] 이후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의 투수 코치를 쭉 맡다가 2013년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1군 투수(불펜)코치로 취임했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후 대만으로 돌아와 2015년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 코치로 취임했고, 2016년 시즌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1시즌 만에 퇴진한다.

그리고 2007년 이후 8년만에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해서 2015 WBSC 프리미어 12,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감독을 맡았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

결국 감독으로서는 클럽이나 국가대표팀 모두 유의미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오리엔탈 익스프레스'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당대 아시아를 대표하는 우완 파워피처였다. 스리쿼터의 투구폼에서 나오는 최대 158km/h의[10] 패스트볼과 테일링이 걸리는 슈트라 불리는 공 그리고 고속 슬라이더 등을 구사했고 제구력의 평가도 좋았다. 평가가 쿠도 키미야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이시이 다케히로 등으로 구성된 세이부 황금 마운드에서도 1-2위를 다툴 정도였다. 같이 배터리를 이룬 이토 쓰토무 퍼시픽리그에서 대전한 오치아이 히로미츠는 은퇴 이후에 극찬했을 정도

생애 기록을 살펴보면 알겠지만 활약은 뛰어났으나 이닝수,게임수가 동시대를 뛰었던 일본프로야구의 선발투수 치고는 매우 적다. 사와무라상의 기준점이 되는 25경기 이상 등판이 13시즌중 단 3시즌밖에 없으며심지어 1시즌은 임시 마무리로 뛰던 시즌이었다. 200이닝을 기록한 적은 한번도 없을 정도인데 이는 궈타이위안과 함께 80년대 중후반 세이부의 로테이션을 형성했던 히가시오 오사무, 와타나베 히사노부, 쿠도 키미야스와 비교해도 확실하게 비교가 된다. 특히 쿠도도 부상이 있는걸 생각하면

이렇게 동시대의 에이스에 비해 등판기회가 적었던 이유는 고질적인 유리몸인 영향이었는데 부상 연혁만 봐도 다음과 같다.

데뷔시즌인 1985년 어깨 통증으로 시즌 도중 이탈, 1986년 작년의 어깨 통증이 남아있어 마무리로 임시 전향, 1987년 어깨 통증, 1988년 팔꿈치 통증, 1990년 팔꿈치 및 어깨 통증으로 인해 규정이닝 달성 실패, 1991년 팔꿈치 피로 호소, 1992년 허리 통증으로 올스타전 결장[11], 1993년 손목 수술, 1995년 손목 통증, 1996년 손목,팔꿈치 통증, 1997년 은퇴

이렇게 NPB 커리어 중에서 부상 없이 치룬 시즌이 손에 꼽는 정도였고 저렇게 다치다보니 향간에는 이타이이타이병에 걸린거 아니냐라는 음해까지 돌았을정도였다. 심지어 선수 본인도 밤늦게 까지 술을 마시는걸 좋아하는 등 몸관리를 잘하는 편이 아니었다. 물론 당시의 세이부 라이온즈는 황금시대라 불릴정도로 강력한 라인업을 가지고 있었고 그 영향인지 세이부의 감독이었던 모리 마사아키는 그 시대에 선호되지않았던 6인 로테이션을 쓸 정도로 궈타이위안의 로테이션을 조정하면서 관리했다.[12]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color: #002d7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ff> A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인식
파일:대만 국기.svg

궈타이위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헨슬리
뮬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제리
와인스타인
B조 파일:일본 국기.svg
고쿠보
히로키
파일:호주 국기.svg

디블
파일:중국 국기.svg

맥라렌
파일:쿠바 국기.svg
카를로스
마티
C조 파일:미국 국기.svg

릴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어니
위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루이스
우루에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니
페냐
D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드가
곤잘레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코
마치에리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에드윈
로드리게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마
비즈켈
}}}}}}}}}}}} ||



[1] 1985년~1986년 [2] 1987년~1997년 [3] 아시아선수권 한정. 아시아선수권을 한시적으로 지휘하고, 이후 2008년 대륙별 플레이오프부턴 홍이중에게 넘겼다. [4] 그 이전 시기에 뛰었던 백인천, 동시기에 활약한 궈위안즈(곽원치) 등의 다른 아시아인 선수들도 당시에는 이렇게 일본식으로 음독해 불렀다. 일본프로야구에서 아시아인 선수명을 현지어 발음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표기하기 시작한 건 조성민이 시초라 알려져 있다. [5] 일본이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대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준결승전에서 미국에 2-5로 패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선 대만에 연장 14회초 3실점 하는 바람에 0-3으로 패했다. [6] 일본프로야구 외국인 투수 중 NPB 통산 100승을 달성한 투수는 곽태원 외에도 동시기에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활약한 대만인 투수인 카쿠 겐지(106승)와 1960년대에 활약한 진 바키(100승), 조 스탠카(100승) 단 네 명 뿐이다. [7] 80년대 후반 일본프로야구에서 활약했던 3명의 대만인 투수 곽태원(카쿠 타이겐, 세이부), 곽원치(카쿠 겐지, 주니치), 장승웅(소 카츠오, 롯데)은 대만과 일본 야구계에서 '이곽일장'으로 불렸다. 이들 중 곽원치와 장승웅은 나중에 일본 국적을 취득했다. [8] 이 팀의 짧은 역사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이었다. 만약 이 팀에 유임되었다면 커리어 말년에 험한 꼴을 당할 뻔 했다. 이 팀이 해산되기 전 마지막 시즌 승부조작 때문에 한 시즌에 감독만 여러 명 교체되다 결국 해체되었다. [9]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은 이듬해인 2008년 3월 대륙별 플레이오프 3위를 차지하면서 올림픽 본선티켓을 획득한다. [10] LA 올림픽에서 기록했다 NPB 입단 후 최고기록은 156km/h [11] 그런데 이 시즌에 궈타이위안이 꾀병을 부려서 올스타전에 불참한것 아니냐고 다른 구단이 항의를 했고 그걸 의식했는지 세이부 자체적으로 올스타전 불참시에 내리는 징계인 10경기 정지 징계를 의식한 10경기동안 궈타이위안을 로스터에서 제외했다. [12] 비슷한 6인 로테이션 관리를 받았던 선수는 롯데 오리온즈의 무라타 쵸지가 있었는데 이 선수의 경우에는 당시 대중화되지 않았던 토미 존 수술로 인해 관리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