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0:03:49

구례구역

구례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구례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역인 김포 골드라인에 대한 내용은 구래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례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곡 성
← 20.3 ㎞
}}}}}}}}}
역명 표기
전라선 구례구
Guryegu
求禮口 / 求礼口 / [ruby(求礼口, ruby=クリェグ)]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섬진강로 217 (선변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 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역 운영기관
전라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라선 1936년 12월 16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11년 10월 5일
파일:Untitled-1.png 2023년 9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S-train 2013년 9월 27일
}}}}}}}}} ||
철도거리표
전라선
구례구
파일:former_guryegy.jpg
구 역사 (1957년 준공, 1986년 철거)
파일:ㄱㄹㄱㅇ.png
현 역사 (1989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2.2. 열차 운행 정보
3. 승강장4. 일평균 이용객5. 연계 교통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구례구역 스탬프.jpg
구례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을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중간에 도난으로 인해 크기와 글씨체가 약간 변경되었다.
1936년 개업, 한국전쟁으로 역사 소실
관광객을 반기는 기와지붕의 고풍스런 역사
구례구역은 1936년 12월 전라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이후 임시역사를 거쳐 1957년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뒤이어 1986년 579.8㎡ 규모의 벽돌조 기와 단층의 현재 역사가 탄생하였는데 화엄사와 천은사, 쌍계사 등 지리산의 유명 사찰과 인접한 고장의 역사답게 고풍스러운 모습이다. 이후 1999년 구례구-동순천 구간 복선화 공사의 준공과 2002년 압록-구례구 구간 복선화공사가 준공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섬진강로 217 (선변리 850-2) 소재.

2. 역 정보

전라선 KTX 운행 초기 계획에는 정차 계획이 없었으나 2011년 10월부터 곡성역과 함께 KTX-산천이 하루 상행 2회, 하행 2회씩 정차하게 되었고, 호남고속선이 개통된 2015년 4월부터는 4회씩으로 증회가 되었다. 곡성역과 마찬가지로 정치적인 판단에 의한 증차였기 때문에 곡성역과 함께 비판받는 신세였지만 2015년부터 승하차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2017년에는 3만여명이나 되는 승하차를 기록했다. 2022년 4월 현재, KTX가 상행 7회(주말 8회), 하행 6회가 정차하고 있다.

이용 승객이 많은 이유는 구례구역의 주 이용객이 구례군 주민들만 이용하는게 아니라 경상남도 하동군 주민들과 지리산 방문객들도 많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동군은 이미 경전선 하동역이 있지만 하동 이북 지역에서의 접근성 문제로 인해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객이 대부분이라 수도권이나 다른 지역으로의 접근이 편한 구례구역을 더 선호하고 있다.

더욱이 하동군을 방문하는 관광객도 증가하며, 구례구역을 이용하는 승객은 갈수록 더욱 늘어나고 있다. 물론 시간은 오래 걸려도 상관없지만 돈을 아끼려는 순천 시민이 이용할 수도 있다.(순천역에서 최종 목적지가 걸어갈 만한 거리가 아니라면 시내버스를 타야 하는데 순천역에서 타나 구례구역에서 타나 버스비는 같으므로 구례구-순천 구간 열차비가 굳는다.)

2023년 9월 1일부터 SRT(일 2왕복)와 ITX-마음이 정차한다.

2.1. 역명

역 이름에는 구례가 들어가지만 행정구역상 구례군 이 아닌 순천시 황전면에 위치해 있다. 역 광장 앞에 친절하게도 "어서 오십시오 순천시 황전면 구례구역입니다"라는 표지석이 있다. 사실 애초에 전라선 구례군 땅을 섬진강 하나 사이를 두고 단 한 뼘도 지나가지 않는다.[1] 과거 1박 2일 시즌1 광양편에서 양팀 베이스캠프 찾아가기의 출발지가 순천시였는데, 당시 출발지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 역이었다.[2]

그럼에도 역명에 황전면이나 지번주소상 소재지인 선변리의 이름이 아닌 구례군의 이름을 쓴 것이 납득될 정도로 구례군은 물론, 구례군의 중심지인 구례읍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 실제로 이 구례구역 광장 바로 앞에는 섬진강을 건너는 구례교가 있는데, 이 다리 하나만 건너가면 행정구역이 순천시 황전면에서 구례군 구례읍으로 변한다. 구례교 앞에도 "다리를 건너시면 구례입니다. 구례읍 6㎞"라는 표지판이 있다.

단순히 거리만 가까웠으면 역명 선정 과정에서 분쟁이 생기거나, 이후로도 개정 요구가 꾸준히 나올법도 했음에도 이 역의 이름이 유지되는 이유는 하나 더 있으니, 이 역이 위치한 황전면 선변리, 비촌리 일대는 순천시의 최북단으로써 순천시 소재임에도 구례군 생활권이기 때문. 과거 구례군으로의 편입을 요구한 적도 있고[3] 전화번호 국번도 순천이 아닌 구례 쪽 국번을 사용할 정도로 구례 생활권에 가깝다. 실제로 이 역에서 출발하면 순천 시내는 고사하고 황전면소재지가 있는 괴목리 일대보다도 구례읍이 더 가까울 정도.

이러다보니 역명을 정할때 순천이나 황전면, 선변리의 이름을 따는 대신 실질적인 생활권 중심지면서 기초자치단체이기도 한 구례의 이름을 따되, 구례군 안에 있진 않으니 입구를 뜻하는 '구'(口)를 뒤에 붙여 '구례구역\'이라고 명명된 것이다. 역이 비교적 최근에 조성됐다면 아예 '구례 입구역'이라는 이름이 됐을지도 모르는 노릇. 주변 지역에서는 그냥 '구례역'이라고만 해도 다 알아들으며, 아예 구례구역이 구례 관내에 있는 줄로 아는 사람도 상당하다.

한편 구례구의 구(口)가 행정구역의 구(區)인 줄 알고 '순천이 그렇게나 큰 도시였던가\' 하며 갸웃거리는 승객들도 종종 볼 수 있다.[4] 물론 순천시는 전라남도 최대도시이기는 하지만 일반구 설치 기준을 충족할 만큼 큰 도시는 아니다. 일반구 설치가 가능하려면 인구가 50만 명 이상, 또는 면적이 1,000㎢ 이상이고 인구가 30만 명 이상이어야 하는데, 순천시는 인구수 28만 명으로 30만 명에 약간 못미치고, 면적은 단 90㎢ 차이로 1,000㎢가 안된다.

2.2. 열차 운행 정보

모든 무궁화호 열차와 ITX-새마을, SRT 열차가 필수정차하고 KTX, ITX-마음은 선택정차한다.

2011년 10월부터 곡성역과 함께 KTX-산천이 하루 상행 2회, 하행 2회씩 정차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이외에 용산 ITX-새마을 2왕복과 무궁화호 7왕복, 익산역 시종점의 무궁화호 5왕복 편성도 정차한다. 호남고속선 합류 KTX로 개편된 이후에는 상하행 각각 4회씩 정차하여 KTX 정차가 2배 늘어났다. 그리고 2017년경 부터는 2편이 더 늘어났고, 2022년 4월 현재 상행 7회(주말 8회), 하행 6회가 정차하고 있다. 그 중 상행 2회, 하행 1회는 서대전역 경유 열차이다.[5]

3. 승강장

곡성
6 5 4 3
순천
3·4 전라선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순천· 여천· 여수 방면
5·6 익산· 용산· 수서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연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wiki style="margin: -0px -9px"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 비고
2004년 미개통 미개통 81명 487명 568명
2005년 91명 510명 601명
2006년 90명 504명 594명
2007년 91명 469명 560명
2008년 93명 503명 596명
2009년 92명 489명 581명
2010년 104명 497명 601명
2011년 35명 98명 468명 601명 [6]
2012년 34명 56명 505명 595명
2013년 40명 52명 474명 566명
2014년 39명 60명 455명 554명
2015년 80명 63명 439명 582명
2016년 111명 56명 351명 518명
2017년 179명 48명 329명 556명
2018년 196명 46명 306명 548명
2019년 210명 47명 318명 575명
2020년 150명 26명 183명 359명
2021년 199명 32명 191명 422명
2022년 257명 50명 236명 542명
2023년 291명 31명 41명 67명 226명 656명 [7]
출처
철도통계연보
}}}

고속열차가 다니게 된 이후 고속열차 수요는 점차 늘어난 데 반해 무궁화호 수요는 줄어들었다.
이는 물론 무궁화호가 차령 노후화로 퇴역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칸수 자체가 줄어든 여파가 크다.
즉 남아있는 무궁화호 수요도 수도권 또는 충청권에서 쭉 내려오는 수요가 아니라 순천시내-구례구 단거리 승객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8]

5. 연계 교통

지리산 노고단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지리산 등반객들이 주로 하차하는 역이기도 하다. 특히 전라선 최후의 야간열차였던 막차(#1513, 01:52 도착)는 실제로 승객의 대부분이 등반객들로, 이 열차를 타면 객차의 짐 선반 위에 등산 가방과 장비가 수두룩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 열차의 도착 시간에 맞춰 구례터미널을 경유하여 노고단 성삼재까지 운행하는 구례여객 버스가 절찬리에 운행중이었다. (노고단로가 통제되는 11월 말부터 4월 중순 제외)

덕분에 이 역에서 순천 택시와 구례 택시의 알력 싸움이 장난이 아니다. 대개 역 앞에는 순천 택시들이 진을 치고 있고, 구례 택시들이 시군계에 택시를 세운 뒤 역 앞에서 호객을 하면서 손님을 잡으면 택시를 몰고 오는 방식.
근데 멀리 갈수록 순천 택시가 더 저렴하다. 순천 택시가 시외할증 35%임에도 불구하고 구례 택시 정규요금보다 저렴하다. 구례읍까지는 순천 택시나 구례 택시나 별 차이가 없는데, 구례읍보다 멀면 순천 택시가 더 저렴하다. 굳이 구례 택시의 꼬임에 넘어갈 필요는 없을 듯.

가끔씩 구례읍내에서 구례구역까지 왔다가 가는 택시기사가 역앞에서 500원 내고 읍내로 타고 가자고 꼬시는 경우도 있다.

하동군 주민들도[9] 철도로 서울을 갈때 구례구역을 주로 이용하는 편이며, 하동 택시 기사들도 그냥 구례구역으로 유도를 한다. 그래서 열차시간이 되면 일부 하동택시도 볼 수 있다. 단 하동 택시는 하동으로 들어갈 때만 이용 가능하며, 구례로 이동할 때는 구례 택시를 불러야 한다.

구례 방향으로는 압록방향, 회룡리(구룡)방향, 상한마을(죽곡면)행 버스들이 운행하고 있으며, 이 버스를 타면 구례읍내를 경유하여 구례터미널까지 갈 수 있다.

순천 방향으로 비촌마을을 출발하는 33번 버스가 일 10회 들어온다. 구례여객 버스와 시간이 거의 맞닿기 때문에 버스를 놓칠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 시내버스, 구례여객운수사 항목 참조.

6. 둘러보기

전라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

파일:순천시 CI.svg 순천시 교통체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443F4D><colcolor=#ffffff> 철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S-train
순천역, 구례구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svg 남해( 순천만IC8, 도롱IC9, 서순천IC10, 순천IC11, 순천JC12)
파일:Expressway_kor_25.svg 호남( 서순천IC1, 승주IC2, 주암IC3)
파일:Expressway_kor_27.svg 순천완주( 동순천IC1, 순천JC2)
국도 2번 · 15번 · 17번 · 18번 · 22번 · 27번
지방도 22번 · 58번 · 840번 · 857번 · 863번
버스 시내버스 순천시 시내버스
광양 990, 991 · 여수 330
시외 ㆍ 고속버스 순천종합버스터미널, 곡천정류장, 주암공용버스터미널, 송광사공용버스터미널
시외 ㆍ 고속버스 노선
전라남도의 교통 }}}}}}}}}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교통체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0a50a1><colcolor=#ffffff> 철도 전라선 구례구역[1]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27.svg 순천완주고속도로
국도 18번 국도 · 19번 국도
지방도 861번 · 865번
버스 시내버스 구례군 농어촌버스 하동군 농어촌버스
시외버스 구례공영버스터미널
}}}}}}}}} ||


[1] 주소지상 순천시 황전면에 소재하나 구례군과 붙어 있다.



[1] 반대로 순천완주고속도로 구례화엄사 나들목 구례군에 위치한다. [2] 강호동, 이승기, 김C팀은 구례구역에서 출발하고 이수근, 은지원, MC몽팀은 순천역에서 출발했다. [3] <[전남] 행정구역―생활권 달라 섬진강 유역 주민 불편>, 2001-12-13 [4] 사실 전국에 구(區) 이름에서 역명을 따온 역은 많지만 구(區)자까지 역명에 같이 넣은 경우는 금천구청역, 강서구청역, 서구청역 등 구청의 이름을 딴 경우를 제외하면 없다. 구로역, 강남역, 강동역, 사상역, 사하역, 노원역, 중랑역, 동래역, 해운대역 등등 '구' 자를 빼고서 이름을 따왔다. [5] 상행: KTX #582, #4056[10], 하행: KTX-산천 #583 [6]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0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7] SRT 및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으로, ITX-마음에는 S-train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8] 이들은 장날( 순천 아랫장 2,7일, 웃장 5,10일)에 승객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9] 주로 하동읍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