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폐지된 선거구에 대한 내용은 교토부 제1구(중선거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가현 선거구 | 교토부 선거구 | 오사카부 선거구 | 효고현 선거구 | 나라현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가다 유키코 | 니시다 쇼지 | 우메무라 미즈호 | 공석 | 시미즈 다카유키 | 다카하시 미쓰오 | 호리이 이와오 | 공석 | ||
구라바야시 아키코 | 스기 히사타케 | 오타 후카에 | 가다 히로유키 | ||||||
2028년 개선 | |||||||||
고야리 다카시 | 요시이 아키라 | 다카기 가오리 | 마쓰카와 루이 | 가타야마 다이스케 | 스에마쓰 신스케 | 사토 게이 | 쓰루호 요스케 | ||
후쿠야마 데쓰로 | 아사다 히토시 | 이시카와 히로타카 | 이토 다카에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일본의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
교토부 제1구
京都府第1区 |
}}} | |||
|
||||||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389,304명 (2023) | |||||
상위 도도부현 | 교토부 | |||||
하위 행정구역 |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이전 선거구 | (구) 교토부 제1구 | |||||
국회의원 |
|
가쓰메 야스시 |
[clearfix]
1. 개요
교토부의 교토시 중심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가쓰메 야스시. 이전까지는 재무대신, 중의원 의장 등을 역임한 이부키 분메이가 역임하였다.
2. 상세
교토부 제2구와 함께 교토시 시내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다. 교토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킨카쿠지를 비롯해 교토역, 도지, 니시혼간지, 히가시혼간지, 니조 성, 기타노텐만구 등의 관광지들이 이 선거구에 위치하며, 교토고쇼와 교토부청, 교토시청, 그리고 도시샤대학, 리츠메이칸대학 등의 대학들도 이 선거구에 위치한다. 또한 지역 특성상 전통 산업 종사자들이 많다.일본공산당의 지지도가 강한 교토, 그 중에서도 교토시의 시내 한복판에 있는 선거구라 공산당의 지지도가 높지만, 전체적으로는 인물론으로 인해 자민당의 지지세가 조금 더 높은 상황이다. 때문에 선거 때마다 자민당과 공산당 후보의 매치가 벌어지고 있으며, 선거 결과도 자민당 후보가 지역구 당선, 공산당 후보가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당선되는 결과가 매번 벌어지고 있다. 게다가 43회, 45회 중의원 선거 때는 자민당, 민주당, 공산당 후보 모두 지역구, 비례대표 등으로 당선된 적도 있고, 49회 중원선 때는 자민당, 유신회, 공산당 후보 모두 당선됐다. 여러모로 주요 국정정당 출신의 전원생존이 흔한 곳.[1]
3. 역대 국회의원
교토부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이부키 분메이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다이라 도모유키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이부키 분메이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가쓰메 야스시 |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4년 |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63,094표 | 1위 | |
|
31.27% | 당선 | |
고쿠타 케이지 | 60,441표 | 2위 | |
29.95% | 비례당선 | ||
다케우치 유즈루 | 47,103표 | 3위 | |
|
23.34% | 낙선 | |
후쿠야마 데쓰로 | 29,275표 | 4위 | |
|
14.51% | 낙선 | |
니나가와 스미무라 | 1,877표 | 5위 | |
자유연합
|
0.9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01,790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86,490표 | 1위 | |
|
42.14% | 당선 | |
고쿠타 케이지 | 68,493표 | 2위 | |
33.37% | 비례당선 | ||
히시다 겐지 | 50,256표 | 3위 | |
|
24.4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05,239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83,644표 | 1위 | |
|
42.27% | 당선 | |
다마키 가즈야 | 63,487표 | 2위 | |
|
32.08% | 비례당선 | |
고쿠타 케이지 | 50,762표 | 3위 | |
25.65% | 비례당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97,893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112,848표 | 1위 | |
|
47.71% | 당선 | |
다마키 가즈야 | 68,563표 | 2위 | |
|
28.99% | 낙선 | |
고쿠타 케이지 | 55,097표 | 3위 | |
23.30% | 비례당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36,508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다이라 토모유키 | 105,818표 | 1위 | |
[2] |
43.03% | 당선 | |
이부키 분메이 | 81,913표 | 2위 | |
[공1] |
33.31% | 비례당선 | |
고쿠타 케이지 | 54,605표 | 3위 | |
22.21% | 비례당선 | ||
시네무라 유미코 | 3,576표 | 4위 |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1.4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45,912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69,287표 | 1위 | |
[공2] |
33.32% | 당선 | |
타사카 이쿠타 | 47,273표 | 2위 | |
|
22.67% | 낙선 | |
고쿠타 케이지 | 41,349표 | 3위 | |
19.83% | 비례당선 | ||
다이라 토모유키 | 24,591표 | 4위 | |
|
11.79% | 낙선 | |
유노 메구미 | 24,129표 | 5위 | |
|
11.57% | 낙선 | |
타베 유지 | 1,932표 | 6위 |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0.9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08,561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73,684표 | 1위 | |
[공2] |
40.56% | 당선 | |
고쿠타 케이지 | 53,379표 | 2위 | |
29.38% | 비례당선 | ||
다사카 이쿠타 | 36,353표 | 3위 | |
[include(틀:유신당)] | 20.01% | 낙선 | |
無 | 다이라 도모유키 | 17,307표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53% | 낙선 | |
無 | 니나가와 스미무라 | 960표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5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81,683표 |
투표율 48.7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부키 분메이 | 88,106표 | 1위 | |
[공2] |
47.32% | 당선 | |
고쿠타 케이지 | 61,938표 | 2위 | |
33.27% | 비례당선 | ||
시마무라 세이코 | 36,134표 | 3위 | |
|
19.4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86,178표 |
투표율 48.84%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93,178인 |
|
당선 확정 후 환호하는 이부키 분메이 진영 |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가쓰메 야스시 (勝目康) |
86,238표 | 1위 | |
[공2] |
40.40% | 당선 | |
고쿠타 케이지 (穀田恵二) |
65,201표 | 2위 | |
30.55% | 비례당선 | ||
호리바 사치코 (堀場幸子) |
62,007표 | 3위 | |
|
29.05% | 비례당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13,446표 |
투표율 55.9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90,373인 |
49회 중원선 교토부 제1구 개표 결과 | |||||||||
정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가쓰메 야스시 | 고쿠타 케이지 | 호리바 사치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86,238 (40.40%) |
65,201 (30.55%) |
62,007 (29.05%) |
+ 21,037 (△9.85) |
390,373 (55.90%) |
||||
교토시 키타구 | 38.89% | 34.35% | 26.76% | △4.54 | 57.71 | ||||
교토시 카미교구 | 42.33% | 31.49% | 26.18% | △10.84 | 59.56 | ||||
교토시 나카교구 | 39.68% | 30.21% | 30.11% | △9.47 | 58.02 | ||||
교토시 시모교구 | 41.52% | 30.75% | 27.73% | △10.77 | 54.66 | ||||
교토시 미나미구 | 40.53% | 31.89% | 27.58% | △8.64 | 49.68 |
|
선거 당시의 교토 1구 관련 뉴스 영상 |
만 83세인 현역 이부키 분메이 의원이 중의원 최고령 의원인지라 불출마 및 정계은퇴를 선언했고, 자민당에선 새로운 인물이 후보로 출마하게 되었다. 특히, 스가 내각의 지지율이 낮아지고, 자민당 내에서 고심을 하는 와중에 공산당 고쿠타 케이지 국회대책위원장의 존재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
그러나 일본 사회에서 공산당에 대한 확실한 비토층이 있기 때문에 고쿠타 의원의 득표율은 30-35% 선을 벗어나지 못할것이란 전망도 있다. 이 지역구에서 당선되려면 4인 이상의 유력후보가 출마하지 않는 한 그래도 40%까지는 득표율을 끌어올려야 하는데, 공산당이 그것을 해내기는 매우 어렵고 결국 지역구 탈환은 실패할거라는 반론이다.
현역 공산당 고쿠타 의원이 최초의 지역구 승리를 위해 재공천을 받은 가운데, 자민당은 총무성 관료 출신인 카츠메 야스시 후보를 새롭게 공천했다. 일본유신회는 호리바 사치코 후보를 공천했다. 입헌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않으며 고쿠타 후보로 야권단일화를 했다.
개표 결과, 자민당의 카츠메 야스시가 40% 득표율로 승리를 거뒀다. 공산당의 고쿠타 게이지 후보는 끝내 30%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다시 한번 패배 석패율제 구제에 만족해야 했다.
한편 지역구 당선과 석패율제 구제를 통해 출마했던 3명이 모두 중의원 뱃지를 달게되면서 2003년 이후 18년만에 처음으로 이 지역구에서는 완전 낙선자가 발생하지 않게 됐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fff> 교토부 제1구 교토시 키타구, 카미교구, 나카교구, 시모교구, 미나미구 |
|||
<rowcolor=#373a3c,#dddddd> 득표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가쓰메 야스시 (勝目康) |
63,057표 | 1위 | |
[공2] |
31.86% | 당선 | |
호리바 사치코 (堀場幸子) |
37,876표 | 2위 | |
|
19.14% | 낙선 | |
히라타케 코조 (平竹耕三) |
36,232표 | 3위 | |
|
18.31% | 낙선 | |
이사카 히로후미 (井坂博文) |
29,988표 | 4위 | |
15.15% | 낙선 | ||
야스모치 나루미 (安持成美) |
14,531표 | 5위 | |
|
7.34% | 낙선 | |
아다치 유지 (安達悠司) |
13,825표 | 6위 | |
[[참정당| 참정당 ]]
|
6.99% | 낙선 | |
無 |
야마시타 히로코 (山下博子) |
2,385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97,894표 |
투표율 52.2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87,109인 |
국회의원 선거 (교토 1구)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無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가쓰메 야스시 |
호리바 사치코 |
히라타케 코조 |
이사카 히로후미 |
야스모치 나루미 |
아다치 유지 |
야마시타 히로코 |
||
득표수 (득표율) |
63,057 (31.86%) |
37,876 (19.14%) |
36,232 (18.31%) |
29,988 (15.15%) |
14,531 (7.34%) |
13,825 (6.99%) |
2,385 (1.21%) |
+25,181 (△12.72) |
387,109 (52.25%) |
교토시 키타구 | 30.59% | 17.24% | 18.56% | 18.89% | 6.65% | 6.58% | 1.49% | △11.70 | 54.31% |
교토시 카미교구 | 34.14% | 16.27% | 18.64% | 16.15% | 6.85% | 6.89% | 1.06% | △15.50 | 55.89% |
교토시 나카교구 | 31.65% | 18.84% | 20.18% | 14.30% | 7.00% | 7.15% | 0.88% | △11.47 | 53.75% |
교토시 시모교구 | 31.80% | 21.57% | 18.09% | 11.42% | 7.97% | 7.52% | 1.63% | △10.23 | 51.37% |
교토시 미나미구 | 31.73% | 22.48% | 15.51% | 13.77% | 8.57% | 6.93% | 1.01% | △9.25 | 46.32% |
자민당에서는 가쓰메 야스시 의원이 재선 도전에 나서며, 일본유신회에서도 지난 중의원 선거에서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 호리바 사치코 의원이 재선에 도전한다.
공산당의 고쿠타 케이지 국회대책위원장은 불출마 및 정계은퇴 선언을 하였다. 따라서 공산당에서는 새로운 후보가 나오게 되었는데, 교토시의회 의원 및 당 교토시의원단 단장을 역임한 이사카 히로후미 후보가 출마한다. 이사카 후보는 중복 입후보가 안 됐기 때문에 곧 석패율 부활이 없다. 따라서 공산당이 강한 지역구일지라도 중의원 입성을 할려면 무조건 당선되어야 한다.
한편 입헌민주당에서는 히라타케 코조 전 교토산업대학 교수를 후보로 옹립할 방침이라고 한다. 교토 1구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후보를 내는 것은 지난 2012년 46회 중원선 이후 처음이다. 아무래도 노다 요시히코 대표 당선 이후 입민-공산 간에 협력관계가 해소된 것의 영향으로 보인다.
레이와 신센구미는 라이프 플래너 출신인 야스모치 나루미 후보를 공천했다. 참정당은 26회 참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아다치 유지 변호사를 공천했다. 무소속으로는 주부인 야마시타 히로코가 입후보하였다.
개표 결과, 자민당 가쓰메 후보가 30% 초반의 득표율로 당선에 성공하였다. 본래라면 자민당 정치자금 파문으로 인한 역풍을 맞았을 가능성이 높았지만, 야당 및 무소속 후보가 다수 난립하면서 표가 결집되지 못하고 분산된 점이 컸다. 더군다나 야당 후보들의 석패율도 그다지 높게 나오지 않으면서[9], 가쓰메 후보의 낮은 득표율에도 불구하고 소선거구제 시행 이래 처음으로 야당 후보의 비례당선도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1]
43회 중원선때는 자민당 후보, 45회 중원선때는 민주당 후보가 지역구에서 당선되었고, 나머지 두 후보가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43회 중원선에서는 자민, 민주, 공산 이외에는 후보가 없었고, 49회 총원선에서는 자민, 유신, 공산 이외엔 후보가 없었기에 이 두 선거의 경우는 출마자 전원 당선...
[2]
추천
[공1]
추천
[공2]
추천
[공2]
추천
[공2]
추천
[공2]
추천
[공2]
추천
[9]
석패율이 가장 높았던 유신회 호리바 후보조차 60.0%에 그쳤다. 유신회 내 석패율 순위로는 11위(50회 중원선 긴키 권역의 유신회 비례당선은 7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