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18:56:17

광양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광양항
光陽港 | Gwangyang Port
파일:external/ncc.phinf.naver.net/02.jpg
광양항의 모습
<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위치 전라남도 광양시
개항 1986년
관리 여수광양항만관리

1. 개요2.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3. 주변 교통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광양시 황길동과 도이동에 있는 무역항이다. 1969년에 개항했던 삼일항을 1986년에 흡수함으로써 여수시 지역 항만과 광양시 지역 항만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본 문서는 광양시 지역 항만을 위주로 설명한다.

여수항과 광양항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 2011년 8월 19일 광양시 황길동 광양항 내 마린센터를 마련하고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항만의 광양항은 항내 수면적이 145.19㎢로, 총 99개 선석, 컨테이너선, 유조선, 산물선, 케미컬선, LNG선 등 연간 4만 3천여척, 하루 평균 118척이 입출항하며 연간 약 2억톤 이상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다. 2018년을 기준으로 일반 화물의 물동량은 국내 1위, 컨테이너 물동량은 부산항, 부산신항 인천항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약 223만 TEU 수준이다. 2010년대부터는 자동차 환적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광양항 인근에는 자동차 생산 기지가 없지만, 울산항이나 평택·당진항등에서 자동차를 선박으로 운반해 온 뒤 광양항에서 이를 환적해서 수출하는 형태.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도 광양항을 통해 선적되어 유럽 수출을 시작한다.

군사시설이 없는 순수 상업항구이지만, 미군 한반도에 대한 군수 물자 및 병력을 증파하는 훈련을 광양항에서 행하기도 한다. 사실 국민의 정부 이래 갖은 비판에도 Two-Port 정책을 추진하며 광양항을 육성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전시에 부산항을 대체할 보급 기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산항에 이은 제2항만인 인천항은 전선에서 너무 가까워서 언제든지 여러 방식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니 상대적으로 안전한 남부지방에 대체 항구를 마련해야 하고, 그 중에서도 하역 조건과 교통 여건 등 여러모로 광양항이 최적지인 것이다. 심지어 부산항이 봉쇄되어 광양항만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가정하여 훈련하기도 한다.

물동량 규모에 비해 품목이 아직까지 특정 분야에 편중된 상태다. 광양항을 통과한 누적 수출 물량 중 철강이 50%에 육박하고, 수입 품목에선 슬래그 석회와 코크스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광양항이 활성화되기 전부터 인근의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광양항을 주로 이용하다 보니 생긴 일.

한진해운이 파산하면서 해운동맹이 재편되고 환적화물 1/3이 빠져나가면서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이후 어느 정도 회복했다.

2.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

동쪽 끝 광양제철소 인근에 존재한다. 예전에 일본행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었으나, 2023년 기준 운항 중단 중.

3. 주변 교통

광양항선 광양항역과 서쪽에 신광양항선 신광양항역이 있다.

주변에는 망덕포구, 길호포구, 와우포구, 도촌포구, 장내포구(태인동)등 어항들이 소재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