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래의 뜻
관심법( 觀 心 法)은 불교의 마음 수련법 가운데 하나로,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성찰해 본래 자신의 마음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참선과 비슷한 개념이다.2번 문단의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것'은 타심통이라고 부른다. 다만 2번 문단이 너무 유명해지면서 대중적으로는 2번 뜻으로 많이 쓰인다. 옴 마니 반메 훔 또한 2번 문단처럼 다른 의미로 유명해진 경우라고 간주해도 무방하다.
2. 궁예가 스스로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던 초능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52a2a, #a52a2a 20%, #a52a2a 80%, #a52a2a)"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
궁예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fff,#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 생애 | |
관련 문서 | 후고구려 · 마진 · 태봉 | ||
기타 | 관심법 · 태봉국 철원성 |
궁예가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한 초능력으로, 볼 관(觀), 마음 심(心), 즉 남의 속마음을 읽어내는 일종의 독심술이다. 정확히는 고려사에서는 ' 미륵관심법'이라 기록되어 있고 삼국사기에서는 ' 신통력'이라 불렀다.
궁예는 스스로 이것이 있어서 역심을 품은 사람의 마음을 모두 꿰뚫어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실은 그런 거 없고 정적 제거에 아주 유용하게 써먹기 위한 핑계거리에 불과했지만. 왕건도 이 관심법에 휘말린 적이 있었으나, 최응이 반역을 계획했다고 거짓 자수하라고 넌지시 알려준 덕분에 자신이 역심을 품었음을 순순히 인정하였고, 이에 흡족한 궁예가 오히려 정직하다고 하면서 용서했다고 전한다. 만약 왕건이 여기서 인정하지 않았다면 고려라는 나라가 나오지 못할 수도 있었을지 모른다.
물론 궁예에겐 그가 총애하던 신하인 왕건의 목숨을 거둘 생각이 애초부터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궁예는 이후 아무렇지 않게 해군 증강 계획을 왕건과 논의하는데, 당시 태봉의 해군은 사실상 송악의 호족이었던 왕건의 사병이었다. 즉, 궁예는 2인자 왕건에게 전적으로 힘을 실어 주는 동시에 보여주기식으로나마 적당히 겁을 줘서 대외적으로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것이다. 그 방식이 너무 조악해 시간이 갈수록 더 큰 부작용만 낳았을 뿐.[1] 임용한의 《전쟁과 역사》 1권에서도 이를 지적한 바 있다.
정리하자면 궁예의 관심법 운운은 아마도 왕권 강화책의 일환이었던 듯하며, 자신의 왕권에 도전하는 자들에게 한 암묵적 경고의 뜻이라고 추측된다. 다만 다른 이들이 보기에는 그냥 '아 왕이 미쳐가는구나' 정도로 해석될 수준이었던 게 문제.
자세한 내용은 궁예/생애 문서
의
몰락 징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여담으로 실제 역사에서는 궁예의 허세에 지나지 않았지만 궁예가 주인공인 궁예를 모티브로 한 작품 룸메가 관심법을 쓰는 건에 대하여에 등장하는 궁예는 실제로 관심법을 사용한다.
2.1. 태조 왕건
관심법… 관심법이라… 그렇지. 도를 깨닫고, 일정한 경지에 이르면 참 나를 돌아볼 수 있다 하였다. 옳은 말이다. 나를 본다. 그리고 상대를 본다. 그리고 천하를 본다. 그렇다. 이건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볼 수 있는 것이다. 고요히 입정에 인해 있으면 참으로 깨달은 자는 다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관심법이 아닌가? 관심법… 관심법이라… 내가 여태 왜 이거에 관심을 두지 않았을고…. 관심법이라… 관심법….
태조 왕건 69화, 궁예의 독백
태조 왕건 69화, 궁예의 독백
그동안, 짐은 중생들을 가엾이 여겨 모든 것을 순리로써 대해 왔소이다. 그러나 이젠 그렇지 않을 것이오.
난 내가 지은 경전의 법에 따라 그 이치를 깨닫게 할 것이오. 그리고 지금까지는 쓰지 않았던 '관심'법을 동원 하여 흑과 백을 가리고 정의와 불의를 갈라 내어 진리의 세상을 천하에 드러낼 것이외다.
짐의… '미륵 관심법'으로 말이오!
태조 왕건 69화, 궁예가 주요 조정 인사들을 모아놓고 관심법을 사용할 것을 선언하며
난 내가 지은 경전의 법에 따라 그 이치를 깨닫게 할 것이오. 그리고 지금까지는 쓰지 않았던 '관심'법을 동원 하여 흑과 백을 가리고 정의와 불의를 갈라 내어 진리의 세상을 천하에 드러낼 것이외다.
짐의… '미륵 관심법'으로 말이오!
태조 왕건 69화, 궁예가 주요 조정 인사들을 모아놓고 관심법을 사용할 것을 선언하며
드라마 전반부 1부 중반부 75화부터 타락한 궁예의 필살기로 등장한다. 궁예가 타락하기 한참 전에 이 능력이 언급된 적이 있는데, 송악왕궁 공사에 보급이 늦어지자 종간은 패서 호족들을 불러모아 질타하면서 '대왕 폐하께서는 살아 있는 미륵이자 부처이시며 천 리를 내다보는 눈을 가지고 있어 누가 거짓 충성을 하고 누가 다른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다'고 말한다(25화). 물론 이는 생색만 내지 말고 송악성 공사에 재물을 아끼지 말라는 소리지 궁예가 진짜 초능력자라는 뜻은 아니지만.
널리 알려진 그 관심법은 68화 법회 신에서 궁예가 잠깐 언급하는 것으로 첫 등장하였고, 다음화인 69화에서 본격적으로 궁예가 관심법을 언급하기 시작한다. 69화에서 궁예가 관심법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으로 보아, 68화에서 관심법을 언급한 것은 진짜로 궁예가 마음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라기보단 일종의 협박의 의미였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궁예를 암살하려 한 첩자들을 심문할 때 강렬하게 등장 신을 보임으로써 방영 당시에는 거의 인터넷 유행어 비슷한 트렌드가 되었다. 당시 궁예 하면 옴 마니 반메 훔, 신하들을 때려죽일 때 쓰던 법봉(法棒)과 함께 연상되는 아이콘이었다. 작중 드라마에서 궁예가 관심법을 상대에게 공포심을 심어주려는, 또는 원하는 대답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다 보니, 궁예의 관심법은 주변 인물들의 사망 플래그라고 봐도 무방했다. 예외적으로 궁예가 원하는 대답을 거짓으로라도 해준 상대(자신들이 백제에서 왔다고 밝힌 첩자, 그리고 왕건)는 살려주기도 했지만. 왕건의 경우 사실 추궁받은 원인이 궁예 암살범과 연관된 사건, 나중에 나오게 되는 연화와 연관된 역모 및 모반 혐의였는데 당시 이는 즉결 처형당해도 이상하지 않은 것이었다. 그러나 왕건을 살려준 의미를 해석해보자면 역모보단 자신의 상징성이 더 중요했다는 게 아닌가 하는 해석도 있다.
다만 이미 정황 증거가 확실할 때 죄인들의 자백을 다그치는 데는 나름대로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최승우의 사주를 받은 양길의 옛 부하들 중 한 명으로부터 자백을 받아 왕건을 구해낼 때가 그랬고,[2] 강 장자를 죽일 때에도 관심법 운운은 거짓이었다고 해도 역모 자체는 사실이었기 때문에 앞선 2명이 죽어나가는 걸 본 강 장자가 겁에 질려 뒤늦게 자신의 소행을 실토하기도 했다. 아지태의 역모가 사전에 발각된 것도 그 일당 중 일부가 궁예의 관심법을 두려워하여,[3] 사전에 밀고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런 면에서는 분명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었다. 하지만 폭압과 북벌을 밀어붙이려고 신료들을 다그칠 때 기침한 신하를 트집 잡아 죽이거나, 나중에는 구실로 황후 강비와 두 태자까지 죽이는 등 인심을 크게 잃을 짓을 많이 했기에 따져보면 주변인물은 물론 본인에게도 큰 화를 초래했다.
결국 이 드라마에서 궁예가 남발한 관심법의 본질은 불교의 대단한 깨달음이나 진실 따위와는 전혀 상관없이 원하는 대답을 얻어내기 위해 공포감을 조장하는 조잡한 방식에 불과하며 극중에서 궁예의 아집과 독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사람 심리를 교묘하게 이용하는 것.
궁예 편이 끝나기 전 무시무시한 분위기에서 유일하게 관심법으로부터 무사했던 건 주인공인 왕건으로 반역죄로 강 장자가 앞서 희생당하고 화를 자초한 황후 강씨와 태자들의 처형 후 왕건에게 반역을 했느냐, 음모를 꾸몄느냐고 추궁하자 관심법을 하는 사이 최응이 정사에서처럼 몰래 붓을 떨어트린 후 줍는 척하여 인정하고 용서를 빌라고 조언하자 왕건은 그렇게 그러했다며 모반을 꾀했다고 죄를 청하였다. 그러자 궁예는 흡족해하며 다시는 그러지 말라, 반성하라고 한 후 쿨하게 넘어가준다. 그래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태조 왕건 드라마가 끝난 이후로도 독심술 비슷한 것을 가끔 관심법이라고 부르는 때가 있다. 거기에 한 술 더 얹어서 아예 궁예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자면 연예인 등이 SNS 등지에 올라온 글이나 사진만 보고 '이건 이런 의도로 올린 것일 것이다' 식으로 해석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용도. 이 궁예질이라는 단어는 드라마가 끝난 지 20년도 더 넘은 2020년대에도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넥슨의 온라인 게임인 바람의나라에서 도사의 스킬중 심안투영 이라는 스킬이 있는데 마음의 눈으로 상대방을 꿰뚫어본다라는 궁예가 언급했던 관심법의 정의를 문자 그대로 한문으로 직역한것에 가까운 표현이다. 그러나 게임 내 실제 용도는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무한장 같은 대인전 전용 스킬로 묘사된다.
태조 왕건이 방영했던 같은 시기에 타 지상파인 문화방송에서 방영했던 뉴 논스톱에서 이민우가 이 관심법 능력을 얻게 되는 에피소드로 패러디되었다.
궁예의 관심법을 모티프로 삼은 관심법이라는 노래도 있다. 피해의식 이라는 록밴드의 노래로 뮤직비디오에서 궁예 코스프레를 하고 노래를 부른다. 뮤비 내용도 《 태조 왕건》에서 묘사한 관심법과 그리 다르지 않게, 결국 자신이 원하는 답을 내놓지 않으면 철퇴로 다스리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