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노선 정보
고양시 일반형버스 72번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현대백화점) | ||
종점행 | 첫차 | 04:20 | 기점행 | 첫차 | 05:20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
배차간격 | 1일 6회 | ||||
운수사명 | 명성 | 인가대수 | 3대[1] | ||
노선 | 대화동(명성운수 본사)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 - 대화역 - 백병원 - 문촌마을6·7단지·쌍용아파트·기산아파트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강촌마을8단지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 대곡역 - 무원마을·단독주택단지 - (→ 행신역 →) - 소만마을6·7 - 가라뫼·소만마을1단지 - 서정마을 - 항공대학교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모래내시장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앞 → 연세로·스타광장 →/← 연희동대우아파트 ←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 - 현대백화점 |
2. 개요
명성에서 운행했던 일반형버스 노선.3. 역사
- 1990년대 중반 77번 좌석버스로부터 파생된 77-2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 2000년 5월경에 호수공원 경유에서 일산동구청(당시 일산구청)으로 변경되었다.
- 2001년 5월 2일, 일반좌석버스에서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고, 이후 노선이 문촌마을 19단지에서 대화역.일산백병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11월 1일 고양시 버스 번호 개편으로 번호가 72번으로 바뀌었다.
- 행신역 바로 앞은 아니지만 행신역에서 약간 북쪽으로 다니다보니, 이 노선도 예전에는 KTX가 도착하는 시간에 맞춰서 행신역 경유 노선을 운행했었다. 그러나 11번의 행신역 연장과 더불어 97번이 개통되면서 이 두 노선으로 행신역 연계 기능을 넘기고, 행신역 경유 노선은 폐지되었다. 다만 여전히 무원마을.단독주택단지 정류장이나 무원마을2.3단지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5분 정도를 걸어가면 행신역이 나오기에 간접 연계가 된다.
- 2017년 2월 중순경에 1대가 감차되어 11번으로 갔다.
- 2018년 2월 26일부터 신촌 방향은 행신역을 다시 경유한다.
- 2020년 일자 미상으로 첫차 수요 감소로 인해 평일/휴일 첫차를 나누며 운행한다.
- 2021년 1월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유지되어 21시 이후 수요가 없자 1대로 1일 6회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5월 23일에 기종점은 동일하나 중앙로 직통으로 운행하는 75번이 분리신설되었다.
- 2022년 7월 18일부터 8월 20일까지 하수관로 공사로 인해 기존 '화전역앞 ~ 화전동행정복지센터'(화랑로 경유) 대신 항공대입구(중) 정류장(중앙로 경유)으로 우회했다. [2]
4. 특징
- 경의선이 없었던 77-2번 시절에는 행신동 특히 행신역 근처에서는 서울 시내인 신촌으로 바로 들어 갈 수 있는 대표적인 교통 수단이였다. 그러나 경의선 행신역 개통 이후 절반 이하의 시간으로 홍대입구역까지 갈 수 있게 되었고, 버스 번호도 바뀌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후속인 72번 역시 결국 배차 간격도 늘어나고 2023년 결국 폐지까지 이르게 된다.
- 크게 보면 대화고교 - 연대정문 구간은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1000번 버스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시내 일반버스인만큼 고양시 구간에서 4번[3]에 걸쳐서 중앙로를 벗어나서 아파트 단지 안쪽까지 들어갔다 나오고, 경유지 단락에서 생략된 수많은 정류장에 정차했다.[4] 문촌, 강선, 강촌마을, 그리고 샘터, 무원마을 주민들은 바로 집 앞에서 신촌 가는 버스를 탈 수 있었던 것이다. 한 마디로 많이 돌아서 갔다. 경유지 단락을 보면 알겠지만, 그래도 서울에 진입하여 연희IC 이후 구간을 제외하면 수색로- 성산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했다.
- 이 노선 역시 경의선 개통 이후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고 한다. 하지만 본사 바로 건너편에 대화고등학교가 생기면서, 등하교 시간에는 꽉꽉 채워서 콩나물수송을 했다. 차가 1대로 줄어들은 지금은 75번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그러나 75번마저도 2023년 6월 이후로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2대까지 감차되어 버렸다.
-
인가상으로 서울 방향 소만마을(중) 정류장은 무정차로, 실제로 신촌역 방면은 가라뫼.소만마을1단지 정류장에서 내려 중앙차로 정류장으로 걸어가야 했다. 여기서 중앙차로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면, 가라뫼사거리에서 튀어나온 72번이
안 그래도 평시에도 통행량 많은4개 차로를 횡단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다만, 대화동 방면의 경우 소만마을(중)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했다.[5]
- 고양ㆍ파주시에서 신촌으로 가는 버스들 중에 첫차가 가장 빠른 편이라 이 노선 첫차에 타는 승객들도 적지 않았다. 백석동과 행신동에서 신촌 방면으로 가는 첫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첫차는 다른 노선에 비해 승객이 많은 편이었다. 이 다른 노선들은 신촌 회차하는 첫차가 늦기 때문이다.
- 하이마트사거리를 지나가지만, 하이마트사거리 정류소는 무정차 통과했다.
- 코로나 전에도 배차간격이 좋은 편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52시간제 시행 이후 인력난과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감소가 겹치면서 운행횟수도 하루 6회라는 농어촌버스 수준의 배차로 크게 줄어들더니, 결국 폐선의 길을 걷게 됐다. 이용 시 버스위치정보를 확인하고 못 기다리겠다 싶으면 다른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나았다.[6][7]
- 기본요금제 노선이었다.
- 이 노선의 폐지를 끝으로 경의선 복선전철 개통 전부터 다녔던 일산신도시-신촌 간 70번대 시리즈의 버스 노선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원조 노선격인 77번이 오랫동안 좌석버스로 버텼지만 줄어든 수요로 인해 형간전환 이후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5월 운휴, 초창기에는 번호가 77-1번이었던 76번은 수요 감소와 회사의 나쁜 재정상황으로 2014년 운행중단 후 결국 폐선, 2009년까지 77-2번으로 다닌 이 노선은 그나마 오랫동안 일반시내버스로 버텼지만 결국 2023년 9월 23일 폐선되었다.[8] 이 노선에서 분리된 노선이자 이 노선과 통합한 75번마저도 농어촌버스 수준의 배차간격을 보여주다가 교하차고지까지 연장되었고, 65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홍대입구역[A]
-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정발산역, 백석역, 대곡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행신역[B], 화전역,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 고속철도 : 행신역 [B]
[1]
실제로는 1대만 운행했다.
[2]
이후 몇 차례 중앙로 경유로 우회했으나 다시 화랑로 경유로 환원되었다.
[3]
일산신도시에서는 문촌+강선마을 구간, 강촌마을 구간,
덕양구에서는 샘터+무원+소만마을 구간, 항공대 입구 구간
[4]
실제로 일산 쪽에서 DMC나 신촌 방면으로 가냐고 기사님께 물어보는 손님이 있으면 돌아가니깐 다른 노선을 이용하라고 했다.
[5]
이는 가라뫼사거리에서 동일하게 회전하는
760번과 같다.
[6]
강촌마을 8단지부터 일산병원,
고양종합터미널로 가려면
773번을 이용하면 된다. 단, 773번도 배차간격이 15~20분이라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다.
[7]
소만마을이나 무원마을 일대에서 신촌으로 간다면 마을버스
060번이나
065번을 타고
행신역으로 이동하여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8]
다만, 75번과의 통합으로 완전히 폐선된 72번과 달리 77번은 인가 자체는 아직 남아 있는 휴업 노선이지만, 다시 운행할 확률은 0%에 가깝다.
[A]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하차
[B]
신촌 방면만 경유.
[A]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