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궁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경 | ||||||||||||
만월대 / 개경 본궐 | 수창궁 | 북천동궁 | 수춘궁 | 연경궁 | 명복궁 | 양화궁 | 현덕궁 | 북궁 | |||||
승천부 | 강도 | 서경 | 동경 | ||||||||||
승천궐 | 고려궁지 / 강도 본궐 | 서궁 | 장락궁 | 대화궁 | 용덕궁 | 구제궁 | 좌우궁궐 | 조유궁 | |||||
남경 | 동주 | 그 외 | 사찰 내 재궁 | ||||||||||
남경 별궁 | 태봉국 철원성 | 만월대 내 별궁 | 고려의 궁원 | 남궁 | 의종 대 별궁 | 삼소궁궐 | 흥왕사 | 안화사 | }}}}}}}}} |
1. 개요
고려 왕조가 후비, 왕족을 위해 건설한 궁(宮)과 원(院)을 모아둔 문서.2. 설명
고려는 궁궐과 그에 수반되는 거주자의 서열을 전(殿) >= 궁(宮) > 원(院) > 택(宅)으로 두었다. 궁(宮)은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건축으로 고위왕족만 자신의 관저에 궁호를 붙일 수 있었다.[1] 고려의 태후들은 궁보다 높은 전(殿)을 관저로 삼았다.원(院)은 고려 초기, 후기에 쓰였고 중기엔 쓰이지 않았다. 원은 궁전보단 낮되 택보단 높은 대우를 받았고, 고려 초기엔 여러 호족들의 거점지로 사용되었다. 고려 후기엔 원 간섭기에 들어서 왕비의 관저로 사용되기도 했다. 전, 궁, 원 산하에는 부(府)를 설치해 산하기관을 구성할 수 있었다[2]. 택(宅)은 관저 중 가장 낮은 단계의 호칭으로, 양인의 처나 왕의 서녀들이 받는 호칭이었다.
3. 궁원 목록
3.1. 원
고려의 태조는 호족을 모아 건국했기에 이들을 우대해줘야했다. 여기서 나온 것이 지역명을 딴 원 건설이다. 예를 들어 황주 황보씨 호족은 황주원을 받아 고려의 중심지인 개경에서 입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고려 초기 원 건설은 호족들과 긴밀히 연결 돼 있는 셈이다.- 황주원(黃州院) → 명복궁(明福宮)
역대 황주원 주인 | ||||
대수 | 시호 | 배우자 | 봉위기간 | 비고 |
초대 |
명복궁대부인(본궁) 소황주원부인(별궁) |
태조 신성대왕 |
? ~ 976.06 ? ~ ? |
976년 명복궁으로 승격 |
- 동양원(東陽院)
역대 동양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유O | 동양원부인 | ? ~ ? | |
2대 | 왕원 | 효은태자 | ? ~ ? |
- 대량원(大良院)
역대 대량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김O | 대량원부인 | ? ~ ? | |
2대 | 이O | 후대량원부인 | ? ~ ? | |
3대 | 왕순 | 대량원군 | ? ~ 1009.02.03 |
- 광주원(廣州院)
역대 광주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함O 함O(별궁) |
광주원부인 소광주원부인(별궁) |
? ~ ? | |
2대 | 함O | 후광주원부인 | ? ~ ? | |
3대 | 왕O | 광주원군 | ? ~ ? |
- 서원(西院)
역대 서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김O(본궁) 김O(별궁) 박O(전각) |
대서원부인(본궁) 소서원부인(별궁) 서전원부인(전각) |
? ~ ? |
- 동산원(東山院)
- 흥복원(興福院)
- 명주원(溟州院)
역대 명주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김O(본궁) 김O(별궁) |
대명주원부인(본궁) 정목부인(별궁) |
? ~ ? |
- 천안부원(天安府院)
역대 천안부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유O | 천안부원부인 | ? ~ ? | |
2대 | 왕O | 효성태자 | ? ~ ? |
- 몽량원(夢良院)
- 월경원(月鏡院)
- 의성부원(義城府院)
역대 의성부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홍O | 의성부원부인 | ? ~ ? | |
2대 | 왕O | 의성부원대군 | ? ~ ? |
- 해량원(海良院)
- 신주원(信州院)
- 월화원(月華院)
- 홍덕원(弘德院)
- 청주원(淸州院)
역대 청주원 주인 | ||||
대수 | 이름 | 봉호 | 봉위기간 | 비고 |
1대 |
김O 김O(남궁) |
청주원부인 청주남원부인(남궁) |
? ~ ? |
- 경흥원(景興院)
- 연경원(延慶院)
- 복창원(福昌院)
- 경창원(敬昌院) - 금석문 기록. 고려사 식화지에서는 경창원(景昌院)으로 나온다.
- 정녕원(靖寧院)
- 명순원(明順院)
- 숙창원(淑昌院)
- 순화원(順和院)
3.2. 궁
궁부인宮夫人- 명복궁대부인明福宮大夫人 : 태조 제4비 신정왕태후 황보씨神靜王太后 皇甫氏
-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혼인 전)-> 낙랑공주樂浪公主(혼인 후)
-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 林氏 : 혜종과 의화왕후 임씨義和王后 林氏의 딸이자 광종의 제2비
-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 광종과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의 딸
- 대명궁부인 류씨大明宮夫人 柳氏 : 원장태자元莊太子[3]와 흥방궁주興芳宮主[4]의 딸로 경종 제5비
- 연창궁부인 최씨延昌宮夫人 崔氏 : 성종 제3비, 이후 낙랑군대부인이 됨
궁대군宮大君
궁왕자宮王子
궁주宮主(고려) - 원칙적으로 앞뒤 글자를 바꿔써도 동일한 인물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 연흥궁주延興宮主
- 성종 제2비 문화왕후 김씨文和王后 金氏, 현덕궁玄德宮으로 옮김
- 정종 제1비 용신왕후 한씨容信王后 韓氏
- 정종 제4비 용절덕비 김씨容節德妃 金氏
- 현덕궁주玄德宮主
- 대명궁주大明宮主
- 별칭 항춘전왕비恒春殿王妃, 현종 제2비 원화왕후 최씨元和王后 崔氏
- 연경원주延慶院主-> 연경궁주延慶宮主
- 현종 제3비 원성태후 김씨元成太后 金氏, 장경궁長慶宮으로 옮김
- 별칭 연경궁장공주延慶宮長公主, 덕종의 누나(1034년 책봉)
- 이후 왕의 별궁이 되었다.
- 안복궁주安福宮主-> 연덕궁주延德宮主->흥덕궁주興德宮主
- 흥성궁주興盛宮主
- 현종 제6비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헌종에 따르면 선종이 국원공인 시절 잠저였다고 한다. 계림공의 잠저 명복궁에 기거하던 명의태후가 명복궁주로 불린 것을 생각하면, 국원공비로 불린 정신현비가 흥성궁주였을 가능성이 있다. 정신현비는 원목왕후의 외조카손녀이기도 하다.
- 창성궁주昌盛宮主
- 정종 제2비 용의왕후 한씨容懿王后 韓氏, 현덕궁玄德宮으로 옮김
- 정종 제3비 용목왕후 이씨容穆王后 李氏
- 연창궁주延昌宮主
- 정종 제5비 연창궁주 노씨延昌宮主 盧氏
- 수령궁주壽寧宮主->대령궁주大寧宮主
- 문종 제3비 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 숙종과 명의태후의 장녀
- 강종과 제1비 사평왕후 이씨思平王后 李氏의 딸
- 수창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할 때가 더 많은데, 이 명칭으로 쓰일 경우 국왕의 별궁이다.
- 숭경궁주崇慶宮主/승경궁주承慶宮主->보령궁주保寧宮主
- 문종 제4비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숭경궁주崇慶宮主로도 기록됨
- 문종과 인예태후의 차녀
- 인종과 공예태후의 장녀
- 숭화궁주崇化宮主
- 문종 제5비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 적경궁주積慶宮主
- 현종과 원정왕후의 장녀
- 현종과 원화왕후의 장녀
- 문종과 인예태후의 장녀
- 예종 제3비 문정왕후 왕씨文貞王后 王氏
- 장녕궁주長寧宮主
- 정간왕 제1비 장녕궁주 이씨長寧宮主 李氏, 거신의 난으로 폐출
- 연복궁주延福宮主
- 순종 제2비 선희왕후 김씨宣禧王后 金氏
- 장경궁주長慶宮主->숭덕궁주崇德宮主/ 승덕공주承德公主
- 연화궁주延和宮主
- 선종 제1비 사숙태후 이씨思肅太后 李氏
- 경흥원주景興院主->원희궁비元禧宮妃->원신궁주元信宮主
- 현종 제8비 원순숙비 김씨元順淑妃 金氏
- 선종 제3비 원신궁주 이씨元信宮主 李氏
- 명복궁주明福宮主
- 계림공 시절 숙종의 거처였다.
- 숙종 제1비 명의태후 류씨明懿太后 柳氏, 연덕궁延德宮으로 옮김
- 이후 왕의 별궁이 되었다.
- 연평궁주延平宮主->안수궁주安壽宮主
- 안수궁 자체는 연평궁에서 개칭된 것인데 정작 사서에서 연평궁주인 인물은 나오지 않는다. 같이 개칭된 수녕궁과 장경궁이 본래 현종의 왕후와 순종 왕후를 위한 궁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평궁 역시 현종~순종 시기 왕후가 기거하던 궁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 숙종과 명의태후의 3녀
- 복녕궁주福寧宮主
- 숙종과 명의태후의 4녀
- 공양왕의 어머니 국대비 왕씨
- 장신궁주長信宮主
- 예종 제4비 숙비 최씨淑妃 崔氏
- 연수궁주延壽宮主
- 인종 제4비 선평왕후 김씨宣平王后 金氏
- 덕녕궁주德寧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차녀
- 창락궁주昌樂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3녀
- 명종이 폐위된 후 유폐된 곳이다. 창락궁주는 1216년 사망하니 명종이 폐위된 1197년에는 이미 거처를 옮긴 상태(아마도 시가인 숭덕궁)였던 듯하다.
- 영화궁주永和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4녀
- 경덕궁주敬德宮主
- 의종과 장경왕후의 장녀
- 안정궁주安貞宮主
- 의종과 장경왕후의 차녀
- 화순궁주和順宮主->순화원비順和院妃
- 의종과 장경왕후의 3녀, 순화궁주順和宮主로도 기록됨
- 수춘궁주壽春宮主
- 대령후의 딸
- 본래 수춘궁은 고려의 동궁이지만 이 시기에는 여정궁으로 개명된 상태였으므로, 이름만 같은 다른 시설이거나 여정궁의 일부를 분할해 만든 별궁으로 생각된다.
- 연희궁주延禧宮主
- 명종과 광정태후 김씨光靖太后 金氏의 장녀
- 수안궁주壽安宮主
- 명종과 광정태후의 차녀
- 경녕궁주敬寧宮主->정화원주貞和院主->정화궁주貞和宮主
- 신종과 선정태후의 차녀
- 충렬왕 제2비 정화궁주 왕씨貞和宮主 王氏
- 함평궁주咸平宮主
- 희종의 아내 성평왕후 임씨成平王后 任氏
- 승복궁주承福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장녀이자 고종의 왕비 안혜태후 류씨安惠太后 柳氏
- 덕창궁주德昌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3녀
- 가순궁주嘉順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4녀
- 정희궁주貞禧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5녀
- 수흥궁주壽興宮主
- 고종과 안혜태후의 딸
- 경창궁주慶昌宮主
- 원종 제2비 경창궁주 류씨慶昌宮主 柳氏, 충렬왕 대 무고로 폐위
- 경안궁주慶安宮主
- 원종과 경창궁주의 장녀
- 함녕궁주咸寧宮主
- 원종과 경창궁주의 차녀
- 정신궁주貞信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차녀
- 경화궁주敬和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3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