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금속공예 | <colbgcolor=#fff,#191919> 유기 · 숟가락 · 장도 · 떨잠 |
도자공예 | 가야토기 · 신라토기 · 고려청자 · 고려백자 · 분청사기 · 조선백자 ( 철화백자 · 청화백자 · 달항아리) · 조선청자 · 옹기 · 귀면와 · 청기와 · 잡상 · 토우 | |
목공예 | 병풍 · 솟대 · 상여 · 꼭두 · 장승 · 나막신 · 채상 | |
석공예 | 석탑 · 석등 · 돌하르방 | |
섬유공예 | 오방낭 · 제웅 · 청사초롱 · 금줄 · 조각보 · 매듭 ( 노리개 · 선추) · 갓 ( 흑립 · 삿갓) · 망건 | |
종이공예 | 탈 · 종이 우산 · 접부채( 합죽선 · 칠첩선) · 채화 | |
칠공예 | 나전칠기 | |
종합공예 | 열쇠패 | }}}}}}}}} |
1. 개요
高麗白磁.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백자. 고려 하면 고려청자를 떠올리고 백자 하면 조선백자를 떠올리나, 고려 시대에도 백자가 있었다.[1] 비슷한 케이스로 조선청자가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는 청자의 전성기로 제조된 수량은 고려청자에 비해 매우 적어서 현존하는 수량이 매우 희소하다.[2] 고려청자의 경우 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거만 쳐도 생각 외로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국가지정문화재 중에도 고려청자가 상당히 많다. 그만큼 많이 만들었고 많이 남았단 뜻이다. 반면에 박물관에 있는 고려백자는 손에 꼽을 정도이다.[3] 조선백자 중에도 고려백자의 전통을 계승한 유물들도 있다.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진양군 영인정씨 묘 출토유물 등이 그러하다.2. 소성 방법
고려백자 태토를 백토로 성형한뒤 청자유약을 입힌 후 청자가마에서 번조해서 만들었다. 그냥 청자 만드는 과정에서 흙만 백토로 바꾼 것이다. 그래서 조선백자와는 달리 순백이 아니라 푸른빛이나 누런색을 띄었다. 질감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석고 같은 느낌의 기물이 많다. 이렇듯 조선백자의 과도기에 가까운데, 고려청자를 만들 때 부수적으로 같이 만들었다. 오직 고려백자만 전문적으로 만든 가마터는 경기도 동남부의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4]와 여주 중암리 고려백자 요지 둘밖에 없을 정도이다. 나머지 고려백자 가마터는 고려청자 가마터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는 상황이 정반대가 되어서 조선청자를 만들 적에는 태토를 백토로 쓰고 청자유약을 바른 뒤 백자가마에서 구웠다. 그래서 조선청자는 고려청자와 색감이 다르고 좀 더 백색에 가깝다. 청자가마, 백자가마는 불의 온도에서 차이가 난다. 백자가마가 더 고화력으로 온도를 더 높인다. 이렇듯 고려백자와 조선청자는 당대의 주류에서 벗어난 마이너였다. 더욱 마이너한 것으로는 철유자기, 흑유자기, 연리무늬자기, 도칠자기, 잡유가 있다.3. 형태적 특징
일단 고려백자는 완성되지 않은 초기의 실험적인 단계라 기물들이 일정하지 않다. 어떤 기물은 청색이 강하고 어떤 기물은 우유빛이 강하다. 이렇듯 격차가 크다. 다만 비교적 많이 볼수 있는 고려백자의 특징은 색감이다. 조선백자와는 확연히 다른 경우가 많은데, 사실 색감의 질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석고 같은 빛깔이 나는것이 많다. 또한 색 자체를 잘 내지 못하여 한 도자기에서도 색깔이 균일하지 못한 것들이 많다. 어느 쪽은 푸르스름하고 어느 쪽은 누런면이 있는 형태와 같이 말이다. 그리고 고려청자의 다완이나 매병같이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기물이라 조선백자에서는 나올수 없는 형태인데 백색이라면 그것이 고려백자라 할 수 있다. 또한 화려한 청자와 고려, 순박한 백자와 조선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지만 사실 백자가 더 만들기 어려운 하이테크놀로지 기술이다. 실은 고려청자를 만드는 기술이 실전되어서 그냥 백자로 대체한 것이다. 즉 조선시대만큼 외면적 기술과 장인들의 노하우가 발전하지 않아 못 만들었다고 봐야 한다. 백자는 더 높은 온도에서 구워야 한다. 그렇지 못한 고려백자들은 소성이 완벽하지 못했다.태토를 성형할 때는 그 두께가 상당히 얇으며 바닥은 편평하게 만들고 유약을 바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고려 청자를 만들 때에는 굽받침에서 내부 깊은 곳까지 손이 닿는 부분이라면 어느 한 곳 빠지지 않고 유약을 발랐다.4. 가치
앞서 기술적으로 볼때 조선백자보다 질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다 하였으나, 어디까지나 중세의 고려가 근세의 조선보다 더 옛날이라 기술발전 단계가 아직 미치지 못했을 뿐, 고려백자도 청자만큼이나 고급스러운 명품들이었다. 색감이 순백이 아니고 균일하지 못할 뿐, 성형부분에선 사치스러운 귀족 취향 도자기였다.[5] 고려백자는 오직 귀족들에게만 사용되는 고가의 제품이었다. 그러나 조선 백자는 양반과 서민 모두 사용한 도자기로 아무 여염집에서나 발견할 수 있었다.고려시대의 장인들에게만 전수되어오던 고도의 기술의 집합체인 청자는 끝내 실전되어버리고 말았다. 고려백자도 고려청자처럼 귀족문화의 유산인 것이다. 현재도 완형으로 남은 고려백자 유물은 매우 드물어 희소성이 있으므로 가치가 높으며, 대체적으로 유물들의 예술적 수준 역시도 높다.
5. 고려백자 고미술품 목록
5.1. 국가 지정 문화재
5.1.1. 국보
5.1.2. 보물
- 보물 제238호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 보물 제345호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
5.2. 시도 지정 문화재
5.3. 일반 동산 문화재
- 고려 백자철화 국화나비무늬 매병
- 고려백자향합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고려 백자 일괄
5.4. 해외 소재 문화재
6. 같이보기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선사 | 원/ 삼국 ~ 남북국 | 고려 | 조선 | |
토기 500℃~1100℃ |
도자기 1000℃ 이상 |
||||
선사 | 와질→경질/도질 | ||||
즐문토기 무문토기 |
고구려토기 백제토기 신라토기 가야토기 |
자연유도기 연유도기 회유도기 신라청자 신라백자 삼채(신라삼채 발해삼채) |
고려청자 | 조선청자 | |
분청사기 | |||||
고려백자 | 조선백자 | ||||
청화백자 철화백자 |
[1]
사실 국산 백자 자체는
통일신라 후기부터 있었다. 이 쪽은 고려백자보다 더더욱 마이너하다.
#
[2]
사실
고려청자는 남아있는 수량이 일반인들의 생각보다도 상당히 많다. 사람들은 고려청자라 하면 다 귀하고 비싸리라 생각하지만,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하품의 경우에 접시는 너무 많아 천 년 전 유물인데도 가격이 고작 몇만 원에 불과하고, 현존수량이 많은 개합은 그보다 비싼 정도이다. 심지어 상감청자라 하더래도 엉성한 하품들도 많은데, 그런 것들도 상감청자란 이름이 무색하게 박한 대접을 받는다.
[3]
물론 개인소장품은 더 있을 것이다.
[4]
사적 326호
[5]
오히려 기술이 더 발달된 조선시대의 백자보다도 더 화려한 면이 있다. 고려는 화려한 귀족문화였으나 조선은 사대부문화여서 검소하고 질박한 것을 추구하는 사상적 차이에서 기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