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
1. 노선 정보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6800번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광교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압구정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2:2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30분 | 주말배차 | 40분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5대 | ||
노선 | 광교차고지 - 상현중 - 성동마을 - 성복역.두산기술원 - 상현동현대홈타운아파트.서원마을 - 수지지역난방공사 - 신정마을(정평로) - 수지중학교 - 머내 - 궁안마을 - 낙생고교 - 화랑공원 - 한국도로공사 - 시흥사거리 -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압구정역 → 신사중학교 → 신사역 → 이후 역순 |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광교, 수지와 강남, 압구정을 오갔다.3. 역사
2000년 6월 경에 개통한 노선으로 개통 당시에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 압구정역으로 갔다. 이때는 노선 선형이 제법 좋았으나, 난개발로 인해 굴곡이 점점 심해졌는데, 상현지구가 개발되면서 상현지구 경유로 바뀌더니, 성복동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성복동까지 들어갔다 나오는, 직행좌석버스 치고는 기형적인 선형을 가지게 되었다. 2007년에 경부고속도로 정체 문제로 인해 내곡고속화도로 경유로 바뀌었다.하지만 이런 굴곡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었는지, 2011년 10월 광교차고지 개장에 맞춰 수지 직행좌석버스 개편에 따라 지금의 노선이 됐다. 상현지구와 성복동 구간을 자르고 풍덕천동 구간을 제외하면 비교적 직선에 가까운 선형이 됐다. 용인시 시정소식
2012년 9월 10일 8년여 만에 심야버스가 재개통 됐다. 5500번 심야버스 강남대로 구간을 대체하는 성격인데, 평일 토요일 광교차고지 기준으로 0시 막차에 압구정역 3번 출구에서는 01시 10분 막차에 일.공휴일에는 광교차고지 기준 23시 30분 막차에 압구정역 3번 출구에서 0시 50분 막차로 운행했다.
2016년 11월 15일에 심야버스 운행이 폐지됐다.
신분당선 개통에 의한 이용 수요 부족으로 인하여 2017년 1월 27일에 폐선됐다.
4. 특징
일반인들에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판교테크노밸리 등의 판교 산업단지에 있어서는 젖줄과도 같은 노선이었다. 2010년 판교디지털콘텐츠파크에 산업시설이 입주하기 시작하던 당시 이 노선은 판교(삼평교, 금토천교, 화랑공원동편 정류장)를 경유하지 않고 화랑지하차도를 이용했는데, 신분당선이 아직 개통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5800번 노선이나 1005-1번, 1005번을 이용해서 한 정거장 뒤인 한국도로공사 정류장으로 이동해 환승을 해서까지 6800번 노선을 이용해야 할 정도로 판교 지역의 6800번 노선 의존이 심했다. 그렇지 않으면 야탑역이나 서현역으로 20여분을 이동해서 강남 가는 광역버스를 이용해야만 하는 상황을 의식해서였는지 2012년 판교 경유로 노선을 변경했지만, 당시 이미 신분당선이 개통하고 난 뒤라 효과가 있었는지 의문. 당시 신분당선이 강남역까지만 운행하고 있는 반면 이 노선을 이용하면 강남역 이북 지역을 이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강남대로의 정체가 꽤 심한 것을 고려하면( 버스전용차선조차도!) 그리 좋은 조건은 아니었다. 그래도 노선 주위 또는 시흥동/내곡동에서 이용하기에는 나쁘지 않기에 여전히 미미하게나마 판교 수요는 존재하는 편이었다.동천동(머내)에서는 8201번, 1251번과 함께 강남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8201번을 제외하고는 다 배차간격이 그렇게까지 좋지 않다. 다만 이용하는 도로가 분당내곡고속화도로와 나머지의 경우 경부고속도로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양재동을 가야 하는 경우나 경부고속도로가 극심한 정체 상황인 경우에는 이 노선이 유리했다 할 수 있겠다.
다른 수지지역 직좌와 달리 2-1번처럼 정평로를 경유해 신정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이 정식 루트다. 8201번과 M4101번에서는 수지구청역 정체를 피하기 위한 스킬로만 쓰는 경우는 있긴 했다.[1]
5.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신사역, 압구정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역
- 신분당선: 상현역, 성복역, 수지구청역[2], 동천역, 판교역[3],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