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00:20:06

에서 넘어옴
등나무 등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9획
미배정
[A]
일본어 음독
トウ
일본어 훈독
ふじ
[A]
표준 중국어
té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2.2. 이체자
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藤은 '등나무 등'이라는 한자로, ' 등나무'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등나무
중국어 표준어 téng
광동어 tang4
객가어 ten2
일본어 음독 トウ
훈독 ふじ
베트남어 đổąng
유니코드에는 U+85E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BFE(廿月火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물솟아오를 등)을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는 佐藤, 藤村 등 성씨로 굉장히 많이 쓰인다. 주로 とう, ふじ 등으로 읽히나 연탁의 영향으로 どう로 읽히는 경우도 있다.

중국에서는 藤이라고 하면 등가구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라탄'을 나타낸다. 등갑, 등패것은 이 '라탄'이다. '라탄'이 목재 가운데서 가장 질긴 재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죽제품처럼 엮어서 가구나 바구니 등으로 사용하는 것, 중국에서 등나무는 多花紫藤라고 한다.

참고로 라탄은 이렇게 야자수처럼 생겼다. 옆에 있는 건 고무나무

2.1.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파일:attachment/u85E4.png
(G: 중국, T: 대만,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

2.2. 이체자

籐(유니코드 7C50, 竹부 15획, HBFE)
䕨(유니코드 4568, 艸부 16획, TBFF)
𦸝(유니코드 26E1D, 艸부 11획, THDP)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3.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일본의 4대 본성인 겐페이토키쓰(源平藤橘) 중 하나가 이 藤을 쓰는 후지와라다. 후지와라씨는 세부 구분을 위해 藤에 각 분파의 특징을 나타내는 글자를 붙여 썼고 이것이 후세에 씨로 정착했다.[3] 그래서 일본인의 씨에는 藤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으며, 아래 외에도 상당히 많다.

3.3. 일본어

3.3.1. 훈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A] 龹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 [A] 龹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 [3] 예로, 사이토(斎藤)는 재궁(宮)을 맡은 후지와라(原), 곤도(近藤)는 오미(江)에 사는 후지와라(原) [4] 오카다 유키코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 [5] 일본식 이름은 후지모리 겐야(藤森謙也)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