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1 17:11:02

에서 넘어옴
남을 잔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고등학교
4급
일본어 음독
ザン
일본어 훈독
のこ-る, のこ-す, そこ-なう
표준 중국어
c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언어·지역별 모양 차이4. 용례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殘은 '남을 잔'이라는 한자로, '남다', '잔인(殘忍)하다', '잔혹(殘酷)하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잔인할 잔'이라고도 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B9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NII(一弓戈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뼈앙상할 알, 나쁠 대)와 소리를 나타내는 (나머지 잔)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그래서 해쳐져 상한 뼈에서 잔인하다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남다'라는 뜻은 잔인한 것과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데 '남다'라는 의미도 함께 가지게 되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이 해쳐진 그 나머지 부분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언어·지역별 모양 차이

파일:殘변화.png

첫 번째가 정자, 두 번째(歹+6획)가 일본어 신자체, 세 번째(歹+5획)가 중국어 간체자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유니코드에서 통합돼 있기 때문에(U+6B8B 残) 일본어 글꼴을 적용하면 두 번째로, 간체 중국어 글꼴을 적용하면 세 번째로 표시되게 된다. (U+6D45)과 (U+8DF5)도 유니코드에서 통합돼 있다.

그런데 저 차이가 유니코드에서 언제나 통합돼 있는 건 또 아니다. 예를 들어 (U+6808)과 (U+685F) 등은 분리돼 있다.

4. 용례

4.1. 단어

4.1.1. 잔인할 잔

4.1.2. 남을 잔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4.7. 일본어

4.7.1. 훈독

4.7.2. 음독

ザン.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참다' 이외에 '잔인(殘忍)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2] (언치 천)의 동자 [3] (백황색 첨)의 동자